"북핵리스크 완화, 한국물 변동성 줄였다" [패널 토론]투자자 스펙트럼 향상…美 금리 추가 인상 '한목소리'
홍콩=민경문 기자공개 2018-11-05 08:38:00
이 기사는 2018년 11월 01일 18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더벨과 국내 5대 증권사가 공동주최한 '2018 Korean Corporate Global IR'에서 패널 토론자들은 하나같이 한국물(Korean paper)의 낮아진 변동성에 주목했다. 미중 무역전쟁, 금리 인상 등 급변하는 시장 정세에도 강세를 보이는 한국물의 크레딧 스프레드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는 것. 수출 실적에 기반한 대한민국 정부의 탄탄한 신용도, 완화된 북핵 리스크 등이 복합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류태호 피델리티 수석 트레이더는 "한국물에 대한 투자자의 시각이 분명히 바뀌었다"며 "과거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상당했다면 지금은 뉴이슈프리미엄(NIP)을 스프레드에 덧붙이는 수준이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투자자 스펙트럼도 그만큼 질적으로 향상됐다는 분석이다.
류 트레이더는 "북핵리스크가 일정 부분 해소되면서 그만큼 변동성도 적어졌다(low Beta name)는 얘기"라며 "지금과 같은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에 한국물이 인기를 얻는 이유"라고 말했다. 한국물의 최근 크레딧 스프레드가 강세(tighten)를 보이는 점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것. 반대로 하이일드 채권의 매력도는 떨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
한국물의 장점을 얘기해 달라는 질문에 그는 "한국물은 금융위기에도 생존(survival)했을 정도로 트랙레코드가 나쁘지 않고 법 집행 등 제도적 측면의 투명성이 높다"고 했다. 물론 변동성 장세가 낮아지면 그만큼 한국물의 매력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미국 금리는 패널리스트 대부분이 상승 추세라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하워드 추(Howard Chu) JP모간 아시아 신디케이트 헤드는 "연말까지 Fed가 한번쯤은 금리를 더 올릴 것 같다"며 "내년에도 세 번 정도 추가 상승이 예상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머징(emerging) 국가들의 경우 크레딧 스프레드가 벌어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
내년 한국물 윈도우(window)를 둘러싼 청중들의 관심도 적지 않았다. 윈스턴 테이(Winston Tay) ING 아시아 신디케이트 헤드는 "1월 두번째 주와 세번째 주를 굿 윈도우로 보지만 다소 발행량이 과할 수 있다"며 "1월 마지막주는 중국 휴일과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일정 때문에 바람직한 윈도우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구자영 수출입은행 외화자금 1팀장의 경우 "최근 US달러 뿐만 아니라 호주 달러, 스위스 프랑, 위안화 등을 통해 조달처 다변화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