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오일뱅크 EV 8년 만에 '6조→13조' [현대오일뱅크 프리IPO]비정유 부문 포트폴리오 확대 한 몫…EBITDA 창출력 강화
박기수 기자공개 2019-01-29 11:26:43
이 기사는 2019년 01월 28일 15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오일뱅크의 기업 가치(Enterprise Value)가 8년 만에 2배 이상 뛰어오른 것으로 파악됐다.28일 현대중공업그룹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기업인 아람코(Aramco)사는 현대오일뱅크의 시가총액으로 10조원을 책정했다.
통상 기업 가치는 발행한 총 주식 가치(Equity Value)와 순차입금을 더한 값으로 산출한다. 지난해 9월 말 현대오일뱅크의 연결 기준 순차입금은 총 3조257억원이다. 총차입금 3조1780억원에서 현금성 자산 1523억원을 뺀 값이다. 이를 토대로 기업 가치를 산출하면 현대오일뱅크의 기업 가치는 13조원가량이 나온다.
현대오일뱅크의 기업 가치 13조원은 모회사인 현대중공업지주(당시 현대중공업)가 IPIC(아부다비국영주식회사)로부터 지분을 재탈환했던 2010년보다 2배 이상 뛴 수치다.
2010년 당시 현대오일뱅크의 지분 20%만을 보유하고 있던 현대중공업은 IPIC가 보유한 현대오일뱅크 주식 1억7155만여 주(70%)를 2조5732억원에 양도받으며 경영권을 재탈환했다. 현대중공업이 산출한 당시 현대오일뱅크의 주당 가치는 1만5000원이다. 총 발행 주식 수인 2억4508만2422주로 환산했을 때 총 지분 가치(Equity Value)는 3조6763억원이 나온다.
여기에 2010년 말 현대오일뱅크가 보유 중인 순차입금이 2조5239억원이었다. 지분 가치와 순차입금을 합친 기업 가치는 6조2002억원이다. 아람코가 매긴 지분 가치를 포함한 현재 기업 가치보다 52%가량 낮은 수치다.
기업 가치의 상승은 수익성 확대와 연관이 깊다. 2010년 당시와 비교했을 때 현대오일뱅크의 수익성은 크게 높아졌다. 현대오일뱅크는 지난해 9월 말 누적 기준 매출 15조3862억원, 영업이익 8363억원으로 영업이익률 5.44%를 기록했다. 누적 EBITDA는 1조810억원이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도 5849억원을 뽑아냈다.
2010년만 하더라도 매출과 영업이익은 13조2959억원, 2357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이 1.77%에 그쳤다. EBITDA와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각각 3931억원, 3409억원이었다. 2010년 한해에 거뒀던 2.75배의 EBITDA를 지난해 9개월 만에 벌어들인 셈이다.
실적 상승의 요인 중 하나는 비정유 사업 부문의 강화를 꼽을 수 있다. 2010년 이후 현대오일뱅크는 불안정한 정유 시황에도 흔들리지 않는 수익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고심했다. 2014년 6:4 비율로 롯데케미칼과 세운 합작사 '현대케미칼'과 2016년 OCI와 합작해 세운 '현대OCI' 등 비정유부문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두 회사 모두 현대오일뱅크가 각각 60%, 51%의 지분을 가져 최대주주로 있다.
콘덴세이트를 원료로 혼합자일렌(MX)과 경질나프타 등을 생산하던 현대케미칼은 지난해 5월 올레핀과 폴리올레핀을 생산하는 HPC 시설 설립을 결정하며 정유 사업에 대한 의존도를 한층 더 떨어뜨렸다. 지난해 9월 말 누적 현대케미칼은 매출 3조3736억원, 순이익 1866억원을 내며 현대오일뱅크 수익 창출에 한몫했다. 현대OCI 역시 매출 536억원, 순이익 30억원을 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글랜우드PE, 3호 펀드 1조 규모로 내달 1차 클로징
- [i-point]미래아이앤지 "단순 세무조사 진행 중"
- [Deal Story]SK네트웍스, 렌터카 매각에도 공모채 투심 견조했다
- [Deal Story]세아제강, 3년물 회사채 흥행 이어갔다
- [Deal Story]LX인터, 복귀전서 1조 수요…언더금리 확보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그룹내 자금 에어로 투입, 투자자 달랠수 있을까
- '첫 선' 모태 과기부 AI 출자, 정시 서류탈락자 '북적'
- [윤석열 대통령 탄핵]UAE국부펀드, '토종 헤지펀드' 출자 속도낸다
- [thebell note]리브스메드, 한국의 포드될까
- IPO 개선안에 코벤·하이일드펀드 투자자 불만 고조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오션, 그룹 상장사 중 매출 성장률 '1위'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에어로, TSR 압도적 선두…솔루션 주주는 '근심'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그룹, 방산·조선 빼면 전부 PBR 0.5배 미만
- [Financial Index/한화그룹]방산·태양광 희비 '극명'…솔루션 ROE 악화 심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잉여현금흐름 '20조' 육박…계열사 대부분 흑자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