떼어낸 CJ올리브영, 여전히 승계 핵심 재원 [지배구조 분석]기업가치 키워 IPO 시나리오…오너가 추가 실탄 확보 가능
이충희 기자공개 2019-05-03 10:11:10
이 기사는 2019년 04월 30일 11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CJ올리브네트웍스가 인적 분할 방식으로 분리되면서 기존 주주들은 신설법인 CJ올리브영 지분도 보유하게 된다. 최대주주 CJ주식회사(55.01%)에 이어 이선호 CJ제일제당 부장(17.97%), 이재환 CJ파워캐스트 대표(14.83%), 이경후 CJ ENM 상무(6.91%) 등 오너일가가 그대로 주주 명단에 등재될 예정이다.따라서 분리된 CJ올리브영은 앞으로도 오너가 3세의 다양한 승계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CJ올리브영이 추후 기업공개(IPO)를 하면 3세들이 승계 실탄을 추가로 손에 쥘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회사의 기업 가치는 CJ시스템즈와 CJ올리브영이 처음 합병했던 2014년 말과 비교해 크게 상승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4년까지 400여개 였던 올리브영 매장은 작년 말 1100여개로 세 배 가까이 늘어났다. 지난해 올리브영의 단독 매출은 1조6400억원, 영업이익은 약 385억원으로 추정된다. 합병 직전이었던 2014년 매출액이 약 5000억원, 영업이익이 150억원 안팎이었던 것과 비교해 외형과 내실이 모두 커졌다.
CJ올리브영은 그러나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기업가치를 더욱 키우는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주주들이 IPO를 활용해 구주를 매각할 때 더 큰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발판이 되기 때문이다.
|
CJ그룹 관계자는 "올리브영은 글로벌 유수 유통 플랫폼과 제휴하고 동남아 중심으로 신규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라며 "글로벌 시장과 온라인을 중심으로 회사 성장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IPO 전 단계로 국내외 재무적투자자(FI)나 해외 전략적투자자(SI)를 유치하는 방식도 거론될 전망이다. 자금을 외부에서 조달해 신사업 확장을 위한 발판으로 삼는 한편, 시장이 회사를 어느 정도 수준으로 평가하는지 가늠해볼 수 있는 잣대가 될 수 있다.
일각에서는 CJ주식회사가 남아있는 자사주를 CJ올리브영 주식과 또다시 교환 하는 방식도 추진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CJ주식회사는 이번 CJ올리브네트웍스를 분리하면서 존속된 IT부문 주식과 자사주를 교환해 100% 자회사로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이선호 부장과 이경후 상무가 CJ주식회사의 지분을 각각 2.8%, 0.9%씩 보유하게 됐다.
신설된 CJ올리브영 주식과 CJ주식회사의 자사주를 다시 한번 맞교환 하면 두 오너 3세들의 CJ주식회사 지분율은 더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CJ주식회사는 현재 자사주를 약 326만주 보유하고 있다. 이중 약 201만주를 이번 IT부문과의 주식 교환에 사용했고 125만주 가량이 남아 있는 것으로 집계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