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적 전략' 호반그룹, 눈에 띄는 재무 건전성 부채비율 '46→37%', 공시대상 대기업집단서 9번째 낮은 수치
이명관 기자공개 2019-05-21 09:31:29
이 기사는 2019년 05월 20일 13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호반그룹이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둔 전략기조가 기반이 되면서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나타냈다. 공시대상 기업집단 중 전체에서 9번째로 부채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업을 주력으로 하는 7곳 중 호반그룹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올해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은 총 59곳이다. 이들 중 대표적인 재무 건전성 지표인 부채비율이 50% 미만인 곳은 12곳이었다. 넥슨이 9.31%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고, 아모레퍼시픽, 넷마블, KT&G 등이 뒤를 이었다.
호반그룹의 자산총액(공정자산)은 총 8조472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중 자본총계는 6조1570억원, 부채총계는 2조3160억원으로 부채비율은 37.61%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에서 9번째로 낮은 수치다.
|
통상 건설업종은 사업 특성상 다른 산업군과 비교했을 때 부채비율이 높은 편이다. 도급사업의 경우 선제적으로 자금이 투입되고 이후 기성에 따라 대금을 지급받는 형태가 많다. 개발사업의 경우엔 초기 사업비 대부분을 금융권 차입을 통해 조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연스레 부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거기다 작년부터 도입된 IFRS15도 건설사들의 부채비율을 더욱 상승하게 하는 요인이 됐다. IFRS15의 수익인식 기준은 고객으로 자산의 통제권이 완전히 넘어간 상태일 때다. 아파트가 준공되기 전까지 수익을 인식할 수 없다는 얘기다. 대신 그동안 수익으로 인식됐던 미리 받은 분양대금과 중도금은 부채로 잡힌다.
이렇다 보니 호반그룹을 비롯해 주택개발 사업에 대한 비중이 높은 중견 건설사들의 경우엔 IFRS15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수 있다.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된 건설업이 주력인 기업집단들의 경우 부채비율이 호반그룹을 제외하면 모두 100%를 상회했다. 건설업이 주력인 기업집단은 대림그룹을 비롯해 부영그룹, HDC그룹, 대우건설, 중흥그룹, 호반그룹, 태영그룹 등 7곳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대림그룹이 105.84%로 호반그룹의 뒤를 이었고, 이 외에 HDC그룹(123.58%), 중흥그룹(131.05%), 태영그룹(144.06%), 부영그룹(219.32%), 대우건설(289.62%) 순이었다.
이처럼 호반그룹의 부채비율이 눈에 띄게 낮은 것은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둔 전략기조와 맞닿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호반그룹은 개발사업과 M&A 전략을 구사할 때 보수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 무리하는 일이 없다. 2014년 이후 부동산 훈풍에 편승해 급성장해온 것도 맞지만, 다른 건설사와 달리 실패한 사업을 찾아보기 힘들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자체주택 개발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건설사의 경우 자금조달을 직접 해야 하기 때문에 차입 부담이 높은 편"이라며 "예외적으로 호반건설은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 하지 않으면서 재무부담을 최소화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보수적인 기조 영향으로 대부분의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돼 왔다"고 덧붙였다.
실제 호반그룹은 최근 다수의 M&A를 통해 몸집을 불렸지만, 부채비율은 오히려 낮아졌다. 호반그룹은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레저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면서 몸집이 불어났다. 호반그룹은 최근 2년 동안 4000억원을 쏟아부어 리조트와 골프장을 대거 사들였다. 대부분 자체 자금을 투입하면서 차입 부담은 거의 없었다. 그 결과 부채비율이 올해 들어 전년 46.14%에서 올해 8.5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앤오운용, 첫 딜 '상암 드림타워' 끝내 무산
- '이지스운용' 1대주주 지분 매각, 경영권 딜로 진화?
- 더제이운용, 채널 다양화 기조…아이엠증권 '눈길'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단기채 '100% 변제'의 진실, 핵심은 기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미래에셋운용, '고위험 ETF' 수수료 인하 검토 배경은
- 글로벌 최초 패시브형 상품…'노후' 솔루션 대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