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넥스 신규상장 역대최저…이전상장은 활발 [Adieu 2019]바이오기업 데뷔 잇달아…시총 1조 증발, 이전상장 영향?
이지혜 기자공개 2019-12-06 13:57:05
이 기사는 2019년 12월 05일 07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넥스 신규상장 기업이 급감했다. 코넥스 상장기업 수도 150여 곳에서 정체됐다. 증시가 전반적으로 침체된 데다 코스닥 상장요건까지 완화하면서 코넥스가 타격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코넥스의 시가총액도 지난해보다 1조원 가까이 줄었다. ‘대어’가 줄어든 데다 바이오업종에 대한 투자심리도 위축됐기 때문이다. 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다. 이전상장이 늘어났기 때문이므로 코넥스가 제역할을 해낸 결과라는 해석이다.
◇코넥스 신규상장기업 ‘역대 최저’…‘바이오’ 대세 여전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코넥스 신규상장 기업이 역대 최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까지 코넥스 신규상장 기업 수는 모두 13곳이다. 지난해보다 8건가량 줄었다. 12월 상장 대기 중인 기업까지 고려해도 지난해보다 신규상장 기업 수가 적을 가능성이 유력하다. 2013년 7월 코넥스 시장이 열린 이후 신규상장 기업 수는 2016년 50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그 뒤로 부진을 이어갔다.
상장되어 있는 기업 수는 151곳으로 지난해보다 소폭 줄었다. 코넥스 상장기업 수는 2017년 사상 처음으로 150곳을 넘어섰지만 3년째 정체됐다.

코넥스 신규상장 키워드는 올해도 바이오였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통계청 기준에 따라 명확히 분류된 것은 아니다”면서도 “신규상장 기업 중 시가총액 상위기업은 물론 수적으로도 바이오가 많았다”고 말했다. 올해 신규상장 기업 중 시가총액 상위 5위 기업 중 3곳이 바이오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코넥스 신규상장 기업 중 시가총액 1위는 티티씨디펜스로 과학기술 서비스업을 주력으로 영위하지만 2위인 아퓨어스는 실험동물·연구용피부 및 연구용세포가 주력제품이다. 3위 펨토바이오메드는 세포치료제 제조 공정 기술을 개발했고 4위 이도바이오는 당뇨질환 세포치료제를 개발한다. 5위인 유엑스엔은 신약개발 등을 진행하지 않지만 혈당센서 등 의료용 기기 제조업종에 속해있다.
◇시가총액 1조 증발…‘역대 최대’ 이전상장 영향?
2019년 코넥스는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이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기준 코넥스 시가총액은 5조2946억원이다. 지난해 말보다 9558억원(15%) 줄었다. 연말까지 신규상장 대기 중인 기업이 있긴 하지만 시가총액 감소흐름을 되돌려놓기는 역부족일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코넥스의 시가총액 감소를 시장 침체만으로 해석하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증시 침체, ‘대어’ 상장기업 부재 등이 영향을 미쳤다”면서도 “코스닥 이전상장이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큰 요인”이라고 말했다.
올 들어 현재까지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상장된 기업 수는 7곳이다. 이 가운데 지노믹트리는 지난해 말 기준 코넥스에서 시가총액 상위 2위에 올랐을 정도로 비중이 크다. 이밖에 리메드는 6일 코스닥 이전상장을 앞뒀고 한국비엔씨는 3일, 아이엘사이언스와 소프트캠프는 이달 말 스팩합병으로 코스닥에 입성한다.
이전상장 기업으로 집계되지는 않았지만 우수성을 인정받아 코스닥기업에 피인수합병된 기업도 있다. 엔케이맥스와 인프라웨어테크놀러지 등이다. 한국거래소는 코스닥 이전상장 건수가 인수합병까지 포함해 최대 14건에 이를 것으로 기대한다. 연말로 갈수록 코넥스의 시가총액이 더욱 줄어들 가능성도 남아있는 셈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WM 풍향계]리테일 경쟁 격화, 성장 전략 색깔차 'PB vs 센터'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모니터/SOOP]‘비욘드 코리아’ 달성 목표, 글로벌 인사 전진배치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하이브 이재상 "어도어 사태, 멀티 레이블 튜닝 중 진통"
- [이사회 분석]NEW, 유제천 사장 포함 5인 재신임 ‘안정 택했다’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카카오엔터, '베리즈'로 K컬처 통합 팬덤 플랫폼 야심
- [Company Watch]NEW, 2년 연속 적자…승부는 올해부터
- [Company Watch]하이브 흔든 BTS 공백, 뉴진스 리스크는 ‘올해부터’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하이브 플랫폼 핵심 위버스, 적자 속 희망 '유료화'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JYP엔터, MD 확대 초석 '사업목적 대거 추가'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성장 멈춘 디어유, 텐센트·SM엔터 협력 '재도약' 시동
- [Company Watch]JYP엔터, 블루개러지 집중 투자…수익성·기업가치 압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