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 CEO' 택한 KT, 사업부도 '부사장급' 재편할까 회장 이하 4인방 체제, 직위 낮춰 변화 불가피
김장환 기자공개 2019-12-31 08:19:35
이 기사는 2019년 12월 30일 14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T가 회장이 정점에 섰던 지배구조를 사장 리드 체제로 바꾸기로 하면서 향후 인사와 조직재편에 미칠 영향도 관심을 끈다. 신임 최고경영자(CEO)로 선임된 구현모 사장을 포함, KT 내 사장은 총 4명이다. 이들 중 일부는 교체가 점쳐지고, 또 자리를 물려받을 인사에게 사장 직위를 줄 수도 있다. 다만 CEO가 '사장'으로 한 단계 내려선 만큼 사업부 전반을 부사장급 이하 조직으로 전면 재편할 가능성도 있다.
KT 정관은 이사와 이사회 구성요건, 주주총회, 부칙 등 모든 항목에 '대표이사'를 '회장'으로 적시하고 있다. 2009년 3월 남중수 전 사장이 물러나고 이석채 전 회장이 부임하면서부터 이뤄진 변화다. 남 전 사장 시절처럼 '대표이사 사장'으로 정관을 되돌리게 되면 CEO의 연봉 및 처우 등도 변화가 예상된다.
구 CEO가 회장이 아닌 사장으로 부임하게 됐다는 점은 또 다른 면에서도 변화를 줄 수 있다. 회장 이하 사장단이 끌어왔던 사업부 수장도 급을 낮추는 계기가 될 수 있어 보인다. 신임 회장 선출 탓에 미뤄둔 KT 정기인사와 이에 따른 조직재편이 예상보다도 더 큰 폭에서 이뤄질 수 있다는 의미도 된다.
황 회장이 2014년부터 이끌어온 KT는 CEO 이하 사장 4인방이 각 주요 사업부를 맡고 있다. 구 사장을 비롯해 이동면·김인회·오성목 사장이 각각 커스터머&미디어·미래플랫폼·경영기획·네트워크 사업부문 수장이다. 이외 부문과 실은 부사장과 전무급 인사들이 전담한다. 지난해 말 단행한 정기 인사를 통해 현 체제가 갖춰졌다.
구 사장 뒤를 이어 커스터머&미디어부문을 끌어갈 후임자를 먼저 선정해야 한다. 해당 부문을 맡으면 구 사장 뒤를 잇는 '2인자'가 된다. 매출 등 규모 면에서 가장 '알짜' 부문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조직재편에서 커스터머부문과 미디어사업본부가 합쳐져 탄생한 조직이다. 커스터머는 유·무선사업 개인 고객 모집 및 응대, 미디어는 KT가 1위 자리를 점유 중인 IPTV 등 유선방송 사업을 전담한다. 양측이 합쳐져 범접할 수 없는 최대 매출 부서가 됐다.
겉보기로는 커스터머&미디어부문을 이어받을 만한 눈에 띄는 인사가 없다. 지난 3분기 말 임원 현황을 살펴보면 커스터머부문 소속 임원은 원흥재 전략본부장 정도다. 상무급 임원이어서 단번에 커스터머&미디어부문 장으로 올라설 가능성은 많지 않아 보인다. 물론 다른 부서 부사장이나 전무급 임원 중 관련 부서를 거친 인사들은 있다. 다만 커스터머와 미디어를 두루 거친 이들은 한정적이다.
이로 인해 커스터머&미디어부문 후임자 선정 과정에 조직을 다시 쪼갤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최대 사업부를 일인에게 물려주게 되면 실적과 권한이 한쪽으로 과도하게 실릴 수 있다. 특히 IPTV 사업이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에게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 사업 추진력을 강화하려면 미디어부문을 커스터머와 별도 조직으로 다시 분리하는 게 합리적일 수도 있다.
이외 사장들이 맡고 있는 미래플랫폼과 경영기획·네트워크 사업부문 등도 사장 이하 직위로 수장 교체가 가능한 상황이다. 이를 맡고 있는 사장들 대부분이 구 사장과 CEO 자리를 두고 경합을 벌였다. 특정 인사는 삼성전자 출신인 황 회장이 부임 전 몸을 옮긴 같은 삼성 출신이다. KT는 황 회장이 처음 부임했던 2014년만 해도 사장 직위 임원은 한 명도 없었다.
황 회장 후임자 선출 탓에 통상 10월~11월경 실시했던 정기 인사를 한참 뒤로 미룬 KT는 이제 이에 대한 결정을 서둘러 내려야 한다. '구현모 CEO 체제' 출범에 맞춘 인사와 전반적인 조직재편 결과는 늦어도 내달 중반까지는 살펴볼 수 있을 전망이다. 주주총회에서 큰 이변이 없다면 2020년 3월 말 정기 주총부터 구 CEO 임기가 본격 시작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빅데이터' 뉴엔AI, 코스닥 상장 예심 4개월만 통과
- NH농협은행, '단기채·가치주' 고수…안정성 중점
- 라이프운용 PIV펀드, KB증권서 300억 자금몰이
- 신한PBS-타임폴리오, 두 번째 맞손…롱숏에 힘쏟는다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세무·법률·부동산 전문가 라인업…'연구 DNA' 전문성 제고"
- 신한증권 가판대 전면 재배치, 기아·삼전 신규 등판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AI PB의 등장…규제 탓에 더뎠던 확산 속도
- 블루코브운용, 명동 뉴오리엔탈호텔 인수한다
- 미래에셋운용 '핀→테크' 진화…퇴직연금 RA 진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 현대제철 미국 현지 JV 검토 배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