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벤처투자, 출자심의회 손질 '효율성+객관성' 외부 전문가풀 계정별 일원화, 내부 심사위원 비중 축소
이윤재 기자공개 2020-04-29 08:03:03
이 기사는 2020년 04월 28일 11:2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벤처투자(KVIC)가 출자관리 규정 개정을 통해 출자심의회 외부전문가풀(POOL)을 계정별로 일원화했다. 위탁운용하는 모펀드 규모가 커지는 만큼 효율적인 심사를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출자심의회 외부 전문가 비중도 높이면서 심사 객관성도 강화했다.한국벤처투자는 올 들어 출자관리 규정을 대폭 손질했다. 핵심은 출자심의회 외부전문가풀을 계정별로 일원화해 효율성을 높인다. 일자리매칭펀드, 엔젤모펀드, 해외VC글로벌펀드에 대한 외부전문가풀이 모태펀드 중진계정과 일원화됐다.
투자관리전문기관인 한국벤처투자는 여러 정부부처로부터 예산을 출자받아 모태펀드를 조성해 위탁운용한다. 각 정부부처가 출자한 예산은 계정별로 관리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진계정,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계정, 특허청은 특허계정 등으로 분류한다.
모태펀드 외에도 일자리매칭펀드와 엔젤모펀드, 해외VC글로벌펀드 등 특수 정책목적 달성을 위한 모펀드들도 운용 중이다. 이 모펀드들의 유한책임출자자(LP)는 중소벤처기업부다.
한국벤처투자는 매년 출자공고를 내고 자펀드 위탁운용사를 모집한다. 각 벤처캐피탈이 제안서를 접수하면 출자심의회에서 심사를 진행하고 최종 위탁운용사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출자심의회는 한국벤처투자 내부 인력과 외부전문가로 구성돼있다.
이번 출자관리 규정 개정은 출자심의회 외부전문가풀을 계정별로 일원화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출자한 중진계정과 기타 모펀드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외부전문가풀을 활용한다. 나머지 문화계정, 특허계정도 각 펀드별 특성을 감안해 각각 외부전문가 집단을 꾸린다.
앞서 지난 2월에는 출자심의회 의원 구성도 손질했다. 기존 내부인원 3인, 외부전문가 4인으로 구성됐던 출자심의회를 내부인원 2인, 외부전문가 5인으로 바꿨다. 내부인원 2인에는 한국벤처투자 대표이사와 투자운용본부장이 참여한다.
한국벤처투자 관계자는 "출자관리 규정을 손질해 외부 전문가 풀을 계정별로 일원화했다"며 "외부 전문가 비중도 높이면서 전반적으로 효율성과 객관성을 강화하는 방향이 됐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시노펙스, 갤럭시S21 출시 기념 이벤트 실시
- 유한양행 '레이저티닙' 31호 국산신약 등극
- 규제·분양 줄다리기, 건설사 신용도 '안정적'
- LG헬로비전, 수익성 약화에도 AA급 방어 '이상 무'
- 신성통상, 차입금 부담 가중...하이일드 등급 탈출 요원
- SML제니트리, 코로나 '취합진단' 미국 FDA 승인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삼성그룹, 5년내 최대 발행...'1등 파트너' KB증권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현대중공업그룹, 핵심 파트너 'KB·NH' 향한 신뢰 굳건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롯데그룹, KB·한국 파트너십 공고…삼성 '부상'
- 대성홀딩스, 2월 공모채 500억 착수
이윤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 신사업 지도]HDC그룹, '사업형 지주사·종합부동산금융' 투트랙
- 호반건설, 벤처투자 양대축 '코너스톤·플랜에이치'
- 우미그룹, 금융투자 강화 구심점 '우미글로벌'
- '컨버전 확산' 오피스매매 성장세 지속 전망
- 모태 2020 1차 정시, 자펀드 2.9조 육박...17% 초과모집
- 해외 투자 보폭 넓히는 벤처캐피탈
- [thebell League Table]코로나 뚫은 VC, '펀딩 7조·회수 4조' 커지는 존재감
- [thebell League Table]'유동성' 물 만난 VC, 운용자산 '1조 클럽' 13곳
- KTB네트워크, 2810억 스케일업 펀드 결성…AUM 1조 진입
- 큐캐피탈, 'QCP-IBKC 콘텐츠펀드' IRR 25% 잭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