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분석]조현식 부회장은 왜 조현범 대표 선임에 찬성했을까의장직 2022년까지 유효, 이사회 장악 '자신감'...CEO-COO '수직' 구도
김서영 기자공개 2020-12-03 08:54:48
이 기사는 2020년 12월 01일 15:5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조현식 한국테크놀로지그룹 부회장이 조현범 사장에 각자 대표이사 자리를 내줬지만 경영 실권은 내주지 않았다. 한국테크놀로지그룹이 각자 대표이사 체제로 전환되지만 조 부회장이 CEO(최고경영자) 지위와 권한 그리고 무엇보다 이사회 의장 자리를 유지하기 때문이다.지난달 26일 조 사장은 한국테크놀로지그룹 이사회에서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조 부회장이 조 사장의 대표이사 선임에 찬성해 이목이 집중됐다. 그룹 최대주주인 조 사장이 책임경영에 나서겠다는 것을 반대할 명분이 없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테크놀로지그룹은 각자 대표이사 체제에 돌입했다. 하지만 조 부회장에서 조 사장으로 내려가는 수직 구도는 여전하다.

조 부회장은 CEO로서 기업 경영에 관한 실권을 가진다. CEO는 경영 전반을 통괄한다. 대내적으로는 이사회의 결의를 집행하며 그룹 업무에 관한 결정과 예산 집행을 담당한다.
조 사장은 최대주주지만 그룹의 COO로서 조 부회장 아래 직급이다. COO는 기업 내 사업을 총괄하며 일상 업무를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한 의사결정을 내린다. 결과적으로 조 부회장은 조 사장에게 대표이사 직함만 줬다. 그룹 경영권의 핵심인 CEO 권한은 내어주지 않았다.
한국테크놀로지그룹 관계자는 "조 부회장과 조 사장이 각자 대표이사를 맡게 됐지만 직함이 주어졌을 뿐"이라며 "조 사장이 조 부회장의 CEO 권한을 동등하게 나눠 갖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형제경영에 따른 역할 분담도 그대로다. 그간 장남 조 부회장은 지주사인 한국테크놀로지그룹에서 계열사 간 시너지를 도모했다. 차남 조 사장은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대표이사로서 주력 사업을 챙겼다.
이사회 의장도 여전히 조 부회장이다. 한국테크놀로지그룹 이사회 정관에 따르면 이사회 의장은 대표이사로 한다. 정관에는 이사회 의장 해임 요건도 명시돼 있지 않아 대표이사가 바뀌면 이사회 의장도 바뀐다.
한국테크놀로지그룹 관계자는 임기 만료일까지 이사회 의장을 유지할 것이란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조 부회장의 임기 만료일은 2022년 3월 27일이다.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사외이사 3명이 조 사장의 편에 선다면 조 부회장을 이사회 의장은 아니지만 대표이사에서 해임시킬 여지가 있다. 한국테크놀로지그룹 이사회 정관에 따르면 대표이사 해임을 위해선 전체 이사 3분의 2의 동의가 필요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넥스턴바이오·넥스아이디랩' 설립
- 소리바다, NFT 기반 차세대 '음원 플랫폼' 출시 예고
- 디쓰리쥬빌리, '환경' 포트폴리오 확장 가속도
- 티그리스인베, '영상VFX' 자이언트스텝 결실 맺는다
- 시노펙스, 마스크 'CE B모듈' 인증 획득
- 엔지스테크널러지, 감사의견 '거절' 해소 총력
- [건설사 해외사업 점검]포스코건설, 살아나는 사업본능…연간 수주 2조 육박
- [건설사 해외사업 점검]현대건설, MENA 비용처리 ‘전화위복’될까
- [건설리포트]부영주택, 4300세대 월영 미분양 사실상 완판 '수익 껑충'
- [중견건설사 재무 점검]남화토건, 민간건축 강화로 일감 가뭄 '탈출'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매각 앞둔 흥아해운, 상장폐지 위기 극복할까
- 티웨이항공, 두번째 유증 추진...'전환우선주' 활용
- [이사회 분석]현대위아, 보수위 신설..사내이사 포함 의미는
- [이사회 분석]이훈범 아세아시멘트 사장, 지주사 이사회 진입
- [CFO 워치/플라이강원]'정관 바꿔' 주원석 대표 사재출연, 자금조달 '올인'
- [이사회 분석]최성환 사업총괄, SK네트웍스 이사회 미합류
- [이사회 분석]현대오토에버, 사내이사 대폭 개편...조직통합 '시동'
- [현대차그룹 해외법인 분석]현대모비스 '아픈 손가락', 중국법인 손상차손 '반복'
- 무림P&P, 나노 셀룰로스 제품화될까
- 포스코인터, 미얀마 아마라호텔 '부진'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