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홀딩스, 전문경영인 '박의헌 대표체제' 가동 지주사 대표에 전문경영인 발탁, 투자확장 '미래 성장' 기대
김선호 기자공개 2021-02-10 08:23:18
이 기사는 2021년 02월 09일 14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주사 체제 전환을 단행하고 있는 F&F그룹이 투자사업부문을 맡게 되는 지주사 F&F홀딩스 수장으로 박의헌 대표(사진)를 선임한다. 패션사업을 이끌며 성장을 주도한 김창수 회장이 투자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 영입 카드를 꺼냈다.F&F그룹은 현재 신설법인 F&F에 패션사업부문을 분할 양도하고 존속법인 F&F홀딩스는 투자사업에 집중하는 지주사 체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분할이 완료되면 F&F홀딩스 수장은 기존 김 회장에서 박 대표로 변경된다. 전문경영인 체제가 첫 도입되는 셈이다.
박 대표와 김창수 회장은 최근 투자업 자회사 F&F파트너스를 설립하면서 인연을 맺게 됐다. F&F파트너스는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형태로 초기 자본금 30억원을 기반으로 탄생했다. 두 공동대표 체제를 갖추고 벤처투자에 힘을 기울이고 있는 중이다.

박 대표는 금융업을 비롯해 컨설턴트로 보험, 증권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은 금융전문가로 평가받는다. 이는 지주사 체제 전환 후 투자사업에 집중하게 되는 지주사 F&F홀딩스의 대표로 선임하게 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김 회장은 그 이전부터 벤처투자에 지대한 관심을 가져왔다. 2019년 신사업 발굴을 위해 IMM인베트스먼트가 조성한 펀드에 자금을 투자하면서 투자업 ‘IMM Style Venture Fund’를 자회사로 편입시켰다. F&F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은 95.24%다.
2020년에는 IMM인베스트먼트가 조성한 ‘IMM Style Venture Fund 2호’를 자회사로 편입시킨 데 이어 마이다스 제2호 사모투자합자회사(마이다스프라이빗에쿼티) 등에 유한책임출자자(LP)로 참여했다. 주로 패션 브랜드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플랫폼 사업에 투자했다.
최근 지주사 체제 전환을 진행하는 가운데 투자사업을 더욱 확대하기 위한 포석으로 F&F파트너스의 박 공동대표에게 지주사 F&F홀딩스의 수장 직을 맡길 방침이다. F&F파트너스에 노우람 공동대표도 있지만 보다 경력이 화려한 박 대표가 김 회장의 선택을 받았다.
노우람 F&F파트너스 공동대표는 삼성전자DMC연구소, LG디스플레이 연구소 등을 거친 뒤 벤처캐피탈 업계에 입문했다. 네오플럭스 해외투자팀장, 유한책임회사(LCC) 밴처캐피탈 스퀘어벤처스 상무를 지냈다. 과거 주요 기업에서 대표를 맡은 박 대표와 비교되는 지점이다.
F&F홀딩스 이사회는 지주사 체제 전환 후 박의헌 대표, 김창수 회장, 마정만 재무총괄(CFO) 전무로 이사회가 꾸려질 방침이다.
F&F 관계자는 “분할신설회사 F&F(패션사업부문)는 김 회장이 맡고 분할존속회사 F&F홀딩스는 박 대표가 전반적인 경영을 책임질 예정”이라며 “박 대표는 지주사 대표로서 그룹 전체적인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투자와 미래 성장 전략을 주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우리기술 사업 돋보기]해상풍력 '첫 트랙 레코드' 눈앞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CU06 '원툴 탈피' 맵틱스 콜라보 '사업화 기회' 늘었다
- [i-point]'아나패스 계열' GCT, 오빅과 개발·공급 의향서 합의
- [소형 콘텐츠사 톺아보기]임영웅의 물고기뮤직, 1인 보폭 축소에 수익 급감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DI의 로비스트, 홀랜드&나이트 키맨에 쏠린 눈
- [영상]애경그룹 골프장 이어 모태사업 매각까지?
- [영상] 네이버, 컬리 지분 10%가량 인수 검토하는 배경은
- '몸값 올리기' 여기어때, 하드블록 축소로 이익 키웠다
- [VC ERP 생태계 점검]시장 점유율 1위 '로고스시스템' 품은 쿼타랩은
- 적자 지속 이수건설, 3개월 이하 사모채 릴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