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맥스소프트 매각 숏리스트 4곳 선정 MBK·스카이레이크·맥쿼리·베스핀글로벌 격돌
한희연 기자공개 2021-11-03 15:09:45
이 기사는 2021년 11월 03일 15:0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웹애플리케이션 서비(WAS) 시장 1위 티맥스소프트 매각을 위한 숏리스트(적격예비인수후보)가 추려졌다. 앞서 진행된 예비입찰에는 내로라하는 국내 재무적투자자(FI)와 동종업계의 전략적투자자(SI)들이 도전장을 내 상당한 흥행을 나타냈다. 매각측은 이들의 제안을 살펴본 후 4곳을 숏리스트로 선정했다. 원매자들은 향후 상세 실사 등을 거쳐 최종 인수 추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티맥스소프트와 주관사인 삼정KPMG 등 매각측은 지난달 말 예비입찰에 응찰한 후보들의 제안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4곳의 적격인수후보(숏리스트)를 선정해 통보했다.
숏리스트에는 FI인 MBK파트너스,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 맥쿼리자산운용과 SI인 베스핀글로벌이 포함됐다. 앞서 지난달 28일 진행된 예비입찰에는 숏리스트에 포함된 4곳 외에 블랙스톤, 메가존-한컴 컨소시엄 등 10여곳이 참여해 흥행을 기록했다.
숏리스트에 든 4곳의 원매자는 이후 가상데이터룸(VDR) 실사, 경영진인터뷰 등 상세실사 과정을 거쳐 매물을 뜯어보게 된다. 실사 기간을 감안하면 연말께에는 구속력있는 가격을 제안하는 본입찰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매각 대상은 박대연 티맥스 회장과 특수관계인이 가진 지분 60.7%다. 매각측의 희망 매도가는 1조원 이상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원매자들은 6000억~8000억원 가량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티맥스소프트는 시장 점유율 1위의 웹 애플리케이션서비(WAS)인 제우스(JEUS)를 포함해 각종 미들웨어, 오픈프레임, 하이퍼프레임을 개발해 3000곳이 넘는 고객에게 판매한다. 대표 소프트웨어인 제우스의 지난해 말 기준 WAS 시장 점유율은 약 42%다. 티맥스소프트는 압도적인 점유율을 바탕으로 연간 1000억원 안팎의 매출액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1008억원. 영업이익은 355억원을 달성했다. 감가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385억원으로 2019년 320억원에 비해 65억원 증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1분기 흑자전환' CBI, 올 매출액 20% 성장 기대
- SM엔터 행동주의 얼라인, 이번엔 금융주 타깃
- 인선이엔티, 1분기 매출 569억...자회사 효과 '톡톡'
- 신동빈 장남 신유열, 롯데케미칼 '일본지사' 선택 배경은
- 스튜디오산타 M&A, 엠피니티컨소시엄 '우협' 선정
- 더네이처홀딩스, 워터스포츠 브랜드 '배럴' 경영권 인수
- 폴라리스세원, 선행 생산·외주화 효과 덕 웃었다
- 폴라리스오피스, 본업 성장에 힘입어 흑전 달성
- [삼성 모바일AP 도전기]파운드리 '겟올라' 미션…R&D 인력 확보 총력
- 삼성디플, 대형부문 공격적 캐파 확장 어려운 이유
한희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카카오뱅크를 움직이는 사람들]1인 TF에서 시즌2 선장까지 책임지는 '대니얼'
- 비대면 담보대출 경쟁 본격화, 성과는
- [롯데카드 매물분석]새로운 원매자 급부상한 KT, 이유는
- KB '기업금융'·신한 '생활밀착'…점화되는 DT열기
- [이사회 모니터/농협은행]9인 체제 이사회 완료…독립성 방점
- [은행경영분석]하나·우리, 비우호적 업황 불구 비이자이익 성장
- [은행경영분석]하나은행, 핵심예금 사수 경쟁 '선방'
- [은행경영분석]하나은행, 가계대출 나홀로 증가
- [롯데카드 매물분석]3년전 '찜'해둔 우리금융, 유리한 고지 서나
- [5대금융 지배구조보고서 돋보기]하나금융, 이사회 구성서 엿보인 소비자보호 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