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증권, 서스틴베스트 협업 랩 출시...WM '힘싣기' ESG 데이터 활용 본사 운용 친환경 기업 집중 투자…랩 상품 공급 '확대' 일환
김진현 기자공개 2021-12-01 07:42:03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IBK투자증권은 ESG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본사운용형 랩 상품을 내놨다. 명칭은 'IBKS-서스틴 ESG ECO 랩'이다. 최소 가입액은 1000만원부터다.
IBK투자증권은 전문적인 ESG 투자 역량을 갖추기 위해 대표적인 ESG 평가회사 중 한 곳인 서스틴베스트와 손을 잡았다. 서스틴베스트와 ESG 데이터 공급 계약을 맺고 코스피, 코스닥 상장 약 1000개 기업의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본사 랩 어카운트 운용역이 직접 종목을 선정하고 운용을 수행한다. ESG 중에서도 특히 환경(E) 친화 기업 위주로 투자 종목을 선별한다. 시장 환경에 따라 주식 비중은 0%까지 줄일 수 있으며 RP(A-등급 이상) 현금성 자산 등을 활용해 시장 변동성에 대처할 계획이다.
IBK투자증권은 하반기에만 랩 어카운트 3종을 출격 준비했다. IBKS-서스틴ESG ECO랩 외에도 'IBKS주가연계BM랩'을 선보였고 추후 'IBKS TANGO EMP 랩'도 론칭 예정이다.
IBKS주가연계BM랩은 주가연계증권(ELS) 수익 구조를 복제하는 금융공학 모델을 활용한 구조화 상품이다. 짧은 투자 기간(약 3개월)을 목표로 운용되고 목표 달성 이후에는 현금성자산을 활용해 운용된다.
IBKS TANGO EMP랩은 자산배분 모델 중 하나인 블랙-리터만 모형을 기반으로 분산투자의 효과 극대화를 목표로 운용된다. 국내 상장지수펀드(ETF)를 활용해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를 꾸릴 계획이다.
IBK투자증권은 앞으로도 꾸준히 랩 어카운트를 늘려갈 계획이다. 자산관리 부문에 힘을 더해줄 상품 공급을 늘려 고객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IBK투자증권의 3분기 자산관리 부문 영업수익은 565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2% 포인트 가량 증가한 수치다. 전체 영업수익 8679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5%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자산관리 사업 부문의 수익 기여도가 크지는 않은 편이지만 꾸준한 성장을 목표로 사업부문 강화에 힘을 싣고 있는 상황이다.
IBK투자증권 관계자는 "고객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기 위해 상품군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최근 관심을 받는 ESG 관련 투자 랩 어카운트가 출시되면서 고객들의 관심도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수주 다변화' SC엔지니어링, 외형 성장·흑자 전환 쾌거
- CJ대한통운 건설부문, 삼성전자 폐수처리장 수주
- HLB, 美 FDA과 리보세라닙 프리 NDA 미팅 신청
- [IR 리뷰]롯데칠성음료, 가이던스로 드러낸 자신감
- '다이나믹셀 판매' 늘린 로보티즈, 상반기 매출 증가
- 이노시스, 최대 반기 매출…흑자전환 '청신호'
- 감성코퍼, 최대 반기 실적 달성…가파른 성장세 지속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한화 딜 25% NH가 '독식'...KB, 한국증권에도 밀렸다
- [Earnings & Credit]더블유게임즈, 등급 스플릿 해소후 소송 문턱 걸렸다
- 엔씨소프트, W 하향안정화에 가려진 올드게임 재도약
김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업형 VC 돋보기]인탑스인베, 인탑스 액셀러레이팅 사업 '시너지' 착착
- [기업형 VC 돋보기]인탑스 2세 경영인 김근하 대표, VC에 눈길 돌린 배경은
- [기업형 VC 돋보기]인탑스인베, 인탑스 VC사업 '스핀오프'로 시작
- 오클렌벤처스, 신기사 대신 창투업 등록 '유력'
- [thebell interview]비즈니스캔버스 "즐겁게 함께 일하는 문화 확산 기여하겠다"
- [VC 투자기업]물류 IT 스타트업 '테크타카' 기술력으로 컬리 매료
- 브이플랫폼인베, 첫 출자사업 '결실' 펀드 결성 마침표
- 뮤렉스파트너스, AUM 확대에 주니어 심사역 '수혈'
- 다담인베-세종벤처 합병 '가늠자' 모태펀드 리스크 심사
- [왓챠는 지금]프리IPO 난항에 VC 회수 전략 '동상이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