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피너티, 버거킹 한일법인 분리매각 제안도 받는다 잠재적 투자자에 제안 가능 설명, 일본법인 상승잠재력 주목
김경태 기자공개 2022-02-17 09:24:16
이 기사는 2022년 02월 16일 10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이하 어피너티)가 버거킹 한일법인을 함께 파는 것 뿐만 아니라 분리해 매각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한국보다 일본시장에서 추가적인 성장 가능성이 더 크다고 판단한 원매자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향후 투자금 회수(엑시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16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어피너티는 골드만삭스를 매각주관사로 선정한 뒤 원매자를 대상으로 햄버거 프랜차이즈 버거킹 매각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어피너티에 밝은 관계자는 "잠재적 투자자에 한일법인을 분리해 팔 수도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통매각을 고수하지 않고 다양한 제안을 들어보겠다는 의중으로 풀이된다.

버거킹은 이미 한국시장에서 가장 많은 매장을 보유한 햄버거 브랜드다. 애초 맥도날드가 1위였지만 2020년부터 역전됐다. 올 1월 기준 한국 내 버거킹 매장 수는 440개, 맥도날드는 403개다. 한국은 아시아에서 버거킹 매장이 가장 많은 국가이기도 하다.
반면 일본시장에서의 성장은 상대적으로 초기 단계로 분류된다. 어피너티는 2017년 일본 버거킹 운영권을 인수한 뒤 2019년 일본법인 소유권을 인수했다. 2019년 일본 내 매장 수는 95개였다. 작년말 기준 146개로 증가했다. 경쟁사인 맥도날드의 일본 매장 수는 3000여개에 달한다. 어피너티 체제에서 적극적인 매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한국시장에서의 입지와는 큰 차이가 있는 셈이다.
일본법인이 한국법인보다 규모가 작아 상대적으로 인수금액 부담도 덜하다. 현재 시장에서는 한일법인 통매각 거래금액으로 1조원까지 거론되고 있다. 일본법인의 작년 상각전영업이익(EBITDA)는 7억엔(약 68억원)이다.
최근 국내에서 이뤄진 F&B기업 바이아웃(경영권 인수) 거래는 EBITDA 배수(Multiple) 10배 수준에서 성사됐다. 순차입금에 대한 고려 없이 일본법인 EBITDA에 단순 적용하면 약 700억원 가량이다.
분리매각 추진이 향후 인수전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일본법인이 큰 관심을 받고 상대적으로 한국법인이 이목을 끌지 못하면 매각측으로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 한국법인의 매각금액이 일본법인보다 압도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다만 엑시트 절차상 어피너티 입장에서는 양국 법인을 한꺼번에 매각하는 방안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분리 인수를 제시하는 게 가능하더라도 경쟁사에 비해 높은 가격을 제시하지 않는 한 매각측의 마음을 사로잡기 어렵다. 이런 요인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가격 경쟁 강도가 높아져 한일법인 전체 매각 금액이 더 커질 것이란 분석도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Art Feed]1000억 짜리 자코메티 조각 공개…삼성 리움미술관 소장품전
- [영상]'황제주' 등극 삼양식품…불닭으로 어디까지 가나
- [i-point]대동, 새만금서 '정밀농업 솔루션' 고도화 협력 추진
- [Sanction Radar]반복된 코인거래소 전산장애…DAXA 차원 대응책 마련
- 엑스페릭스, 'ID4Africa 2025'서 초박형 광학식 지문스캐터 공개
- [thebell interview]"수익성 개선 집중, 포트폴리오 다각화 자신"
- [i-point]폴라리스오피스·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AI 기반 IP 투자 생태계 조성
- [Company Watch]삐아, 물류 법인 '삐아서비스' 설립 배경은
- [thebell interview]채이배 소장 “세금 행정 불합리 개선 노력할 것"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감사의견 적정'시큐레터, 1년 개선기간 행보 주목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삼성D, 코닝 주식 매각 '복잡해진 셈법'
- LK삼양, 신제품·신성장동력 힘 가시화 '반전 집중'
- SK, SK마리타임 합병 관련 조세심판 기각
- [삼성 빅딜 리부트]여유 없는 매도자 상황 노린 '영리한' M&A
- [삼성 빅딜 리부트]국내는 좁다…8년만 대형 M&A도 '크로스보더'
- [미국 로비활동 점검]삼성SDI 미국법인, 인하우스 조직 '분주'
- 크레센도, HPSP 리캡 'LP 중간회수·제값받기' 포석
- [IR Briefing]'저점 확인' 카카오, 비핵심사업 정리·슈퍼앱 진화 초점
- 하만에 오디오사업 판 마시모, 매각대금 '주가 부양' 투입
- 삼성 하만, 마시모 오디오 인수 'B2C·B2B' 대폭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