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빅4 M&A 전략]'차별화 전략' 딜로이트안진, 가지 않는 길 간다①조직·구성원 '다양성·전문성' 방점…딜로이트AP 합류,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임효정 기자공개 2022-03-30 07:47:07
[편집자주]
코로나19로 위축된 경기에도 지난해 인수합병(M&A) 시장은 그야말로 호황기를 누렸다. 빅4 회계법인이 속속 최대 실적을 기록한 배경이기도 하다. 하루아침에 이룬 성과는 아니었다. 외국계 IB가 독식했던 M&A 재무자문에서 영향력을 키워 오기까지 노력한 결과물이었다. 더벨은 빅4의 딜(Deal) 파트를 이끄는 리더를 만나 하우스의 전략과 향후 M&A 시장 전망에 대해 들어봤다.
이 기사는 2022년 03월 24일 14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홍종성 대표 체제 4년차를 맞은 딜로이트안진은 과거 큰 고비를 잘 넘기며 체질 개선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우조선해양 분식회계 사태로 흔들렸던 조직을 안정시키는 데 중점을 둔 결과였다. 성장 동력도 한층 다양해졌다. 딜로이트AP로 통합되면서 글로벌 네트워크도 보다 견고해졌다.핵심본부인 재무자문본부에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4년 전과 비교해 두 배 성장을 이뤄낸 배경엔 서비스의 다변화로 틈새를 공략한 전략이 꼽힌다. 깜짝 성장으로만 치부하기 어려운 이유다. 재무자문본부는 개개인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조직문화로 패러다임을 바꿔 넘버원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넘버원 전략 '비욘드 빅4', 프로페셔널 승부수
한 차선과 일정한 속도를 고집하면 추월은 불가능하다. 차선을 바꾸고 속도를 높이면 가능성이 열린다. 시야를 넓혀 차별화를 꾀하는 것이 딜로이트안진 재무자문본부가 취한 전략이다. 'Beyond 빅4'를 통해 그간 시장 플레이어가 부족했던 전문적인 서비스 영역에 집중해 도약하겠다는 발상이다.
재무자문본부는 현재 3개 부문 내 14개 그룹으로 재편됐다. 딜 부문은 섹터별 5개 그룹과 RS(Restructuring Services), VCS(Value Creation Services), VS(Valuation Services)까지 총 8개 그룹이 포진됐다. 부동산과 인프라를 담당하는 REI(Real Estate and Infrastructure)부문과 기업의 위기상황에 대응하는 CM(Crisis Management)부문도 그 안에 각각 3개 그룹을 두고 있다.

부동산 포렌식, 리테일, 스포츠 비즈니스, 물류, 골프 등 세분화된 조직을 구성해 그 안에서 전문성을 찾고,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세팅했다. 하나의 팀이 그룹으로 성장할 수 있는 단계에서는 개편을 통해 지속적으로 조직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구성원이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해왔다. 자동화, 디지털화된 시스템을 통해 단순한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딜로이트안진은 기업의 M&A 조력자 역할 외에도 주체로 나선다. 국내에 존재하는 전문 서비스를 대상으로 딜로이트안진 내 본부와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를 인수하기 위해 지속 검토 중이다.
◇여성 리더 육성, 다양한 영역서 맨파워 키운다
그간 많은 변화도 있었다.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면서 경쟁력도 한층 커졌다. 본사와 브랜드 사용계약과 업무제휴를 맺은 멤버 펌(Member Firm) 형태를 취했던 딜로이트안진은 딜로이트의 아시아태평양 법인인 딜로이트AP로 통합되며 또 한 번의 전환점을 맞았다.
이로써 IB에 비해 경쟁력이 약했던 글로벌 네트워크 부문에서 역량은 한층 높아졌다. 회계법인의 강점인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글로벌 IB에도 비견될 만한 체력을 비축한 셈이다.
수장이 바뀌며 대대적으로 조직개편을 단행한 딜로이트안진은 2019년 더벨 M&A 리그테이블 회계자문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하는 저력을 발휘했다. 4년 만에 맛본 정상의 자리였다. 부활의 신호탄이었다.
성장에 따른 후유증은 늘 있기 마련이다. 딜로이트안진은 경쟁에 대한 피로도를 낮추고 안진 만의 조직문화를 되찾기 위한 노력에도 힘쓸 계획이다. 구성원들이 전문 분야를 찾고 이를 실현할 수 있도록 '커리어 내비게이션(Career Navigation)'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여성의 리더십을 끌어올리기 위한 노력도 이어간다. 여성 리더십 네트워크인 D-WIN(Deloitte Women’s Initiatives Network)를 통해 여성 리더를 확보하고 육성하고 있다.
다양성은 조직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경력을 가진 전문가 영입에도 박차를 가한다. 현재 재무자문본부 내 비 회계사 비중은 3분의 1이 넘는다. 딜로이트안진은 향후에도 다양한 영역에서 맨파워를 갖춰 하우스만의 색채를 뚜렷하게 가져갈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키움증권 리테일 훼손 우려…이틀새 시총 2400억 증발
- 더본코리아, '노랑통닭' 인수 포기 배경은
- [i-point]탑런에이피솔루션, LG디스플레이 장비 공급 업체 등록
- [트럼프 제재 나비효과 '레드테크']한국 울리는 적색경보, 차이나리스크 확산
- [i-point]티사이언티픽, 파트너스 데이 성료…"사업 확장 속도"
- [i-point]빛과전자, 국제 전시회 참여 "미국 시장 확대"
- [탈한한령 훈풍 부는 콘텐츠기업들]잠잠한 듯했는데…JYP엔터의 중국 굴기 '반격 노린다'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권준혁 NW부문장, 효율화 vs 통신품질 '균형' 숙제
- [저축은행경영분석]PF 늘린 한투저축, 순익 2위 등극…사후관리 '자신감'
- [저축은행경영분석]'PF 후폭풍' OK저축, 대손상각 규모만 3637억
임효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HMM, SK해운 '일부 사업부 vs 선박' 인수 저울질
- '회생 M&A' 신한정밀공업, 주관사로 삼일PwC 낙점
- [thebell League Table]M&A 시장 주도한 'SI', 조단위 딜도 꿈틀
- KDB-하나, 이랜드파크 메자닌 '수익률 9.7%' 내걸었다
- 웅진씽크빅, ‘프리드라이프 인수’ 우군 나서나
- 옐로씨-비전벤처스가 품는 코아솔, 투자 포인트 '삼성전자 협력'
- '2대주주' 앵커에쿼티, SK일렉링크 경영권 노린다
- E&F-IS동서, 매각 앞둔 '코엔텍' 3800억 리파이낸싱 추진
- 'MBK 포트폴리오' 네파, ABL로 300억 조달한다
- 어피니티, '락앤락' 2000억대 리파이낸싱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