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인텔, 반도체 협업 포인트는 메모리·시스템반도체, 파운드리, MX까지 공조
김혜란 기자공개 2022-06-03 13:30:37
이 기사는 2022년 06월 02일 08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반도체(DS)부문에서 모바일경험(MX) 사업부까지 주요 임원진들이 펫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과 회동한 것은 그만큼 양사의 협업포인트가 다양하다는 점을 보여준다.메모리 반도체는 물론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팹리스(시스템 반도체 설계) 등 반도체 산업 전 분야에 결쳐 협력할 사업 기회가 많다는 얘기다. 미국 종합반도체기업(IDM) 인텔은 파운드리 분야에선 삼성전자의 경쟁사이나 차세대 반도체 시장을 선도한다는 공동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공조해야 할 우군이기도 한 셈다.
◇차세대 메모리와 시스템 반도체 설계 공동개발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부회장과 겔싱어 CEO의 만남에서는 차세대 메모리, 팹리스, 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 PC·모바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이 논의됐다.
눈에 띄는 점은 두 CEO의 회동에는 경계현 삼성전자 DS 부문장과 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 최시영 파운드리사업부장, 박용인 시스템LSI사업부장 등 DS 사장단을 비롯해 노태문 MX 사업부장까지 함께했다는 점이다.
우선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기술 개발을 위해선 중앙처리장치(CPU) 최강자인 인텔과 세계 1위 메모리 반도체 기업 삼성전자의 협업이 필수적이다. CPU가 연산을 담당하고 D램은 CPU 지시를 받아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조라 '한 세트'다.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기술 표준은 CPU와의 호환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양사의 공동 기술 개발이 중요한 것이다.
반도체 업계 한 관계자는 "차세대 메모리는 삼성전자와 인텔이 협력·논의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어젠다"라며 "인텔은 삼성전자의 D램과 낸드의 표준을 만드는데 많은 백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회사이기 때문에 삼성전자에는 중요한 파트너"라고 말했다.

또 이와 관련된 초저지연 콘텐츠 개발에 집중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보유한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 등과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인텔은 네이버랩스와 5G 기반 초저지연 로봇 서비스 개발에 나서는 등 방대한 5G 인프라를 가진 한국 기업과의 협업에 적극적이다.
앞선 관계자는 "여러 초저지연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새로운 영역의 시스템 반도체에 대해 공동 개발하고 고민할 수 있을 것"이라며 "또 초저지연 애플리케이션 등에 어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메모리가 들어갈지도 같이 연구해야 하는 숙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메모리와 시스템LSI(삼성전자 팹리스 사업부)뿐만 아니라 반도체를 탑재하는 MX 사업부가 한 몸처럼 움직여야 할 영역이다.
◇파운드리에선 경쟁사이자 동반자
두 회사는 파운드리 분야에선 세계 1위 자리를 놓고 다투는 경쟁사지만 우군이 될 수도 있다. 인텔이 주력 제품인 CPU를 자체 생산하고, 나머지 칩셋 등은 삼성전자에 위탁할 수 있다는 분석도 일각에서 나온다.
현재 시점에서 10나노미터(㎚·1나노는 10억분의 1m) 이하 첨단 미세공정을 보유한 파운드리는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밖에 없기 때문에 최첨단 반도체 생산을 위해선 협력할 수밖에 없을 거란 분석이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인텔이 설계한 반도체를 삼성전자 파운드리가 제조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핫이슈'인 영국 반도체 설계자산(IP) 기업 암(ARM) 인수 컨소시엄 구성 문제도 양사의 논의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 인텔이 먼저 ARM 공동인수론을 점화한 뒤 SK하이닉스에 이어 최근 팹리스 퀄컴까지 컨소시엄 참여 의지를 밝힌 상태다.
삼성전자 역시 ARM의 설계자산을 활용하는 만큼 이들 기업과의 컨소시엄 구성 논의 창구를 열어놓고 대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보단 우주, 보령의 R&D 가치 단 150억 '카나브' 뒷배
김혜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실적 개선' 화승코퍼레이션, 해외 사업 확대 추진
- [한중엔시에스 줌인]자사주 매입, 배당 약속 '주주환원 박차'
- [Red & Blue]한성크린텍, 자사주 매입으로 반전 모색
- [i-point]킵스바이오파마, 암·당뇨 환자 구내염 치료제 '뮤코사민' 대만 판매
- [i-point]아이즈비전, 5G 월 1만원대 20GB 요금제 출시
- [i-point]엑스페릭스, 스페인 'PTE 202' 참가…해외 시장 공략 박차
- [i-point]티사이언티픽, 옵스나우와 MOU "보안설루션 경쟁력 강화"
- [Company Watch]대규모 적자 상상인, 저축은행 매각 변수 '촉각'
- [i-point]한성크린텍 최대주주, 자사주 매입 "성장 자신"
- [i-point]상장 추진 덕산넵코어스, 사상 최대 매출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