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첫 발 뗀 카카오페이, 눈에 띄는 감사팀 독립성 인사권 등 감사위원회 승인 필요…카카오는 '독립성' 미확보
김슬기 기자공개 2022-06-14 12:48:24
이 기사는 2022년 06월 10일 11시3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페이가 창립 후 첫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내놨다. 카카오페이는 지난해 11월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을 마쳤고 올해 처음으로 의무제출대상이 됐다. 카카오페이의 핵심지표 준수율은 73%대로 카카오 본사와 동일하다. 준수율은 동일하지만 본사와는 세부항목에선 차이가 난다.특히 카카오페이는 카카오와는 달리 내부에 독립적인 감사조직을 꾸린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페이 내부적으로 상장 후 리스크 관리 중요성이 커졌을 뿐 아니라 자금세탁방지(AML) 의무 부과 대상이기 때문에 금융 관련된 준법 지원 조직이 본사보다 촘촘할 수 밖에 없다.
◇ 이사회 의장엔 신원근 대표이사…준수율 73%로 카카오와 동일
카카오페이에 따르면 2021년 기업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사항 15개 중 11개를 지키고 있었다. 준수율은 카카오와 동일한 73.4%다. 카카오페이는 지난해 11월 코스피 상장을 마쳤다. 기업지배구조 보고서는 코스피 상장사이면서 자산총액 1조원을 넘는 곳을 대상으로 한다. 지난해말 카카오페이 별도 기준 자산총액은 2조7048억원이다.
이번에 카카오페이가 준수하지 못한 항목은 △주주총회 4주 전에 소집공고 실시 △배당정책 및 배당실시 계획을 연 1회 이상 주주에게 통지 △이사회 의장과 대표이사 분리 △집중투표제 채택 등 4개였다. 감사기구 부문에서는 핵심지표 5개 항목을 모두 준수하고 있었다.

또한 현재 이사회 의장은 신원근 대표이사가 맡고 있다. 현재 카카오페이 이사회는 사내이사 1명, 기타비상무이사 2명, 사외이사 4명 등 총 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내이사의 비중이 낮지만 그럼에도 대표이사를 이사회 의장으로 둔 것은 회사의 사업현황 등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높다고 판단, 의장으로 선임됐다. 지난해 이사회 의장 역시 류영준 전 대표였다.
◇ 카카오·카카오페이 가른 차이는, 감사위원회 내 감사팀 소속 여부
카카오페이는 감사기구 측면에서의 핵심지표 준수율이 100%였다. 대주주인 카카오의 경우 독립적인 내부감사부서(내부감사업무 지원조직)를 설치하지 않았다. 카카오는 재무기획실 및 윤리경영팀 소속의 감사위원회 지원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즉 감사부서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독립성을 확보하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카카오페이는 감사부서의 독립성을 확보했다. 직제상 감사팀은 감사위원회 소속으로 아예 내부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감사팀은 감사팀장과 감사팀원 등 2명으로 구성돼 있다. 감사위원회는 권태우 위원장(성현회계법인 전무)을 주축으로 강율리 사외이사(법무법인 지평 파트너변호사)와 배영 사외이사(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등 3인이 속해있다.
올해 3월 개정된 한국거래소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독립적인 내부감사부서의 설치는 "경영진으로부터 독립된 내부감사부서를 구성하고 있다고 기재한 경우에만 해당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 감사팀 내 인사평가 및 인사이동을 하려면 감사위원회(위원장)의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경영진이 단독으로 권한을 행사할 수 없다.

카카오페이는 독립적인 감사팀을 구성했을 뿐 아니라 감사위원회가 감사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준법지원인과의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준법지원인은 진형구 컴플라언스 담당이다. 그는 금융위원회와 국민은행을 거친 인물로 관련 분야 전문가다. 컴플라이언스실에는 준법지원팀(4명), AML팀(8명), 금융데이터팀(6명), 법무팀(6명) 등이 있다.
이런 촘촘한 조직 구성은 카카오페이가 전자금융업을 영위하고 있는 것과도 무관치 않다. 금융당국은 금융사 뿐 아니라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토스 등에 대해서도 AML 의무를 지우고 있다. 카카오페이는 선제적으로 AML 전문가 채용, 조직 구성, 정책 수립, 시스템 구축 등에 힘써 AML 유공 금융위원장 표창을 받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orean Paper]등급전망 '긍정적' 동양생명, 5년만에 후순위채 복귀전
- 리브스메드, 흑자전환 여건 개선…5월 예심청구
- 혁신산업펀드, 성장지원 지원자 대거 서류 탈락
- 롯데칠성음료, '새로' 고객 접점 확대에 방점
- [New Issuer]한국물 데뷔 도전 포스코홀딩스, '장기물' 베팅 전략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미국발 훈풍, 국내 LNG 플레이어 수혜 '부각'
- 두산건설, '창원 메가시티 자이&위브' 무순위 청약
- [현대차-포스코 글로벌 신동맹]주도와 실익 사이 미묘한 '신경전'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핀테크 스타트업에 AI 보안 솔루션 무상지원
- [i-point]인크레더블버즈, '수네스코'로 스킨부스터 시장 공략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소노인터내셔널 IPO]절묘했던 EB 활용, IPO 영향 최소화 '방점'
- 이름 바꾼 젝시믹스, 돋보이는 라인 확장 행보
- 카페24,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공식몰 구축 '맞손'
- [2025 캐피탈마켓 포럼]기지개 켜는 IPO 시장, 제도 개선후 전망은
- [소노인터내셔널 IPO]코로나로 좌절…첫 상장 추진 때와 달라진 점은
- 우리투자증권의 이름값
- '홍콩 팝업 성공' 에이피알, 해외에서도 "통했다"
- [도우인시스 IPO]기업공개 성공 이끌 키맨은…나성대 CFO 역할에 '주목'
- [도우인시스 IPO]'예심 통과' 9부 능선 넘었다…증권신고서에 '집중'
- [우리투자증권 부활 나래]'10년내 초대형 IB 도약' 실현 가능할까 시장선 '의구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