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M&A]강석훈의 신속 매각 원칙…악연 한화에도 '러브콜'포스코, GS 등 일부 대기업 산은 제안에 '고사'...인수 무산 후 14년만 재회
김서영 기자공개 2022-09-27 08:19:22
이 기사는 2022년 09월 26일 15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사진)은 회장으로 취임하자마자 커다란 암초를 만났다. 윤석열 정부의 대선 공약이었던 산은 본점 부산 이전 과제를 받아들었기 때문이다. 부산 이전 소식에 임직원들이 반대에 나섰고, 아직까지 갈등의 골이 깊은 상황이다.강 회장은 또 다른 최우선 과제 추진도 앞두고 있었다. 바로 대우조선해양 민영화를 매듭지어야 했다. 강 회장은 지난달 24일 "산은의 최우선 과제는 우선순위 정하기 어려울 정도다"라며 "대우조선 매각 문제와 직원들과 부산 이전 문제에 공감대 이루는 것이 거의 등가로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구조조정 딜에 있어 '신속 매각'을 원칙으로 내세운 강 회장은 곧바로 대우조선 민영화를 위한 물밑 접촉에 나섰다. IB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GS, 한화 등 현대중공업그룹을 제외한 국내 대기업집단을 적극 찾아다니며 대우조선 인수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가운데 포스코와 GS 등은 강 회장의 인수 제안을 고사했다. 산은의 제안에 손을 든 건 '의외로' 한화그룹이었다. 산은은 한화그룹과 2008년부터 10년간 대우조선 인수보증금 반환 여부를 둘러싼 기나긴 소송전을 벌였던 과거가 있기 때문이다.
한화그룹이 14년 만에 대우조선 인수에 다시 나서면서 산은과의 악연에서 '백기사'로 관계가 전환된 셈이다.
강 회장이 취임 후 수차례 신속 매각 의지를 강하게 표명해오면서 산은이 20여년 간 대주주로 있던 대우조선의 민영화 성공 여부에 업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한화가 산은의 인수 제안을 받아들이면서 강 회장은 자신이 역설한 ‘신속 매각 원칙’을 지킬 수 있다.
산은과 한화그룹 사이의 악연은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한화는 대우조선 인수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자 이행보증금 3150억원을 내고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당초 양측은 확인실사를 하지 않기로 합의했지만 본계약이 무산되면서 계약 파기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를 두고 다퉜다.
앞서 1,2심에서는 이행보증금이 패널티 성격이기 때문에 산은이 몰취한 이행보증금을 한화가 돌려받을 수 없다고 했지만 2016년 대법원에서 이 판결이 뒤집혔다. 대법원에서는 한화가 이행보증금 전액을 몰취하는 건 부당하고 이행보증금을 계약 결렬에 따른 손해보상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후 2018년 1월 서울고법은 전체 이행보증금의 약 40%에 해당되는 금액인 1260억원을 한화에 돌려주라고 판결했고, 산은이 이에 동의하면서 수천억 규모의 보증금을 놓고 지속된 한화와 산은의 법적분쟁은 10년이 지나서야 종지부를 찍었다.
2018년 법적분쟁 이후 4년 만에 재회한 산은과 한화그룹의 딜 방식은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이뤄질 방침이다. 스토킹호스 매각은 사전에 인수예정자를 미리 정해놓고 매각작업을 진행하되, 경쟁 입찰이 무산되면 인수예정자에 우선매수권을 주는 방식이다.
이번 대우조선 인수합병(M&A)는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이뤄지지만 사실상 한화그룹이 대우조선을 품에 안을 것으로 IB업계는 보고 있다. 인수 경쟁자로 볼 수 있는 포스코와 GS 등 대기업이 이미 인수 제안을 거절한 상황으로 다시 인수전에 뛰어들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리포트]부영주택, 저조한 분양 탓 수익성 회복 고전
- [thebell note]모듈러 주택, 진가를 발휘할 때
- [건설리포트]우미건설, '분양 호조' 힘입어 외형 성장
- [건설부동산 줌人]신영부동산신탁, '증권 출신' 김동현 신탁사업부문장 낙점
- [이사회 분석]GS건설, 다시 여는 주총…사외이사 '재선임' 카드
- [건설사 인사 풍향계]이종원 회장의 '선택', 임기영 HS화성 신임 대표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GS건설, 브릿지론 '2조' 돌파…연내 본PF 전환할까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조성한 부사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할 '토목 전문가'
- 허윤홍 GS건설 대표 "선별 수주로 리스크 관리 강화"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김동욱 부사장, 플랜트사업 '외형 성장' 드라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