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4차 산업혁명펀드 VC 운용사 선정 임박 2개 운용사 선정, 총 75억 출자…펀드 결성시 최종 확정
이윤정 기자공개 2022-12-23 10:09:48
이 기사는 2022년 12월 16일 15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서울특별시가 추진하고 있는 2022년 서울소재 4차산업혁명 펀드에 대한 운용사 선정 작업이 마무리 단계다. 2차 프레젠테이션을 마치고 후보자를 압축해 최종 의사 결정을 진행하고 있다.서울특별시 관계자는 16일 "2022년 서울시 4차산업혁명 펀드 출자사업에 대한 위탁운용사 선정 작업이 막바지에 있다"며 "적격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최종 의사 결정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주(12월19일~23일)에는 결정될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지난 10월 24일 서울시는 2022년도 4차산업혁명 펀드 출자사업에 대한 위탁운용사 선정에 착수했다. 서울소재 4차산업 분야 중소·벤처·창업기업 육성을 위해 진행되는 이번 출자사업은 서울시 출자금의 200% 이상이 서울소재 비상장 기업에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본점 뿐 아니라 지점, 연구소가 서울에 소재한 기업을 투자 대상으로 제시했다.
특히 투자금이 기술개발 및 일반운영자금 등에만 사용하도록 제한했다. 비업무용 부동산 취득, 재무상환, 사행산업 등에는 투자금 사용을 금지한다.
올해 하반기 대내외 금융시장 변동 확대로 벤처캐피탈들의 펀드레이징 상황은 급격하게 얼어붙었다. 전반적인 금리 인상으로 대체투자에 대한 투자 매력이 떨어지면서 주요 기관들이 하반기 벤처 출자를 중단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에 앵커LP를 확보하고 펀드 결성을 진행하고 있는 운용사들이 이번 서울시 출자사업에 대거 참여했다. 하지만 앵커LP를 확보하고서도 최소 결정 금액을 맞추지 못해 GP반납을 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서울시는 이번 운용사 선정을 최종이 아닌 우선협상대상 운용사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GP 반납이 발생하더라도 차순위 후보자에게 다시 출자를 진행해 출자사업 미집행 가능성이 생기지 않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대신 조합 결성 시한까지 펀드 결성을 마치지 못해 GP를 반납하면 취소일로부터 1년간 서울시 출자사업에 참여할 수 없다. 다만 최초 조합 결성 시한 이전에 서울시와 충분한 협의를 통해 운용사 자격을 반납하면 예외 가능하도록 했다.
서울시는 2개 운용사를 선정해 총 75억원을 출자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