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타이어, ‘고인치’ 전략 순항 속 다가오는 투자 부담 미국공장 2조 증설투자 본격화… 유동부채 급증에 따른 차환 부담도
강용규 기자공개 2023-02-03 07:39:35
이 기사는 2023년 02월 02일 17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가 매출 신기록을 작성했다. 고인치 타이어의 비중확대 전략에 힘입어 영업이익도 개선됐다. 다만 올해는 금융비용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대규모 투자도 예정돼 있다. 이에 한국타이어는 고인치 타이어의 비중을 더욱 늘리는 한편으로 전기차용 타이어시장의 공략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내놨다.한국타이어는 2022년 연결기준 매출 8조3942억원, 영업이익 7057억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은 17.5%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9.9% 늘었다.
최근 몇 년 한국타이어의 실적 추이를 살펴보면 2020년 코로나19로 매출의 상승세가 꺾이기도 했으나 영업이익은 지속 증가했음이 나타난다. 이는 전체 타이어 판매량에서 18인치 이상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의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에 기반을 둔다.
고인치 타이어는 일반 타이어 대비 20~30%가량 가격이 높은 고수익성 제품이다. 한국타이어는 지난해 고인치 타이어의 판매 비중이 40.8%로 집계돼 처음으로 40%를 넘겼다. 연초 제시한 목표치인 42%에는 미치지 못했으나 근접한 수준에는 도달했다.

한국타이어는 올해 고인치 타이어의 판매 비중 목표를 45%로 잡았다. 최근 몇 년 사이 가장 공격적인 전년 기록 대비 목표치 상향이다. 여기에 고인치 타이어와 함께 고부가 제품으로 꼽히는 전기차용 타이어의 신차용 타이어(OE) 내 판매비중을 지난해 11%에서 올해 20%로 확대한다는 목표도 수립했다.
이러한 수익성 확대 전략은 대규모 투자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타이어는 지난해 8월 미국 테네시 생산법인의 공장 증설에 2026년까지 15억7500만달러(2조원가량)를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 투자는 올해부터 본격화된다. 한국타이어는 그간 공장 유지보수 및 시설 현대화를 위해 해마다 5000억원 안팎의 CAPEX(자본적 지출) 집행계획을 내놓아 왔다. 그러나 올해는 CAPEX 가이던스를 1조원으로 제시했다.
한국타이어의 2022년 말 잠정 기준 재무구조를 살펴보면 투자를 진행할 여력은 충분해 보인다. 부채비율은 41.6%에 불과하며 순차입금은 -3170억원으로 3년째 순현금 경영을 지속하고 있다. 유동성이 부족하지도 않다. 한국타이어의 유동비율은 222.9%로 안정적 유동성의 기준인 200%를 웃돈다.
다만 유동비율이 2021년 294.7%에서 71.8%p나 낮아졌다는 것은 눈여겨 볼 지점이다. 이 기간 한국타이어의 부채는 3조4988억원에서 3조6973억원으로 1985억원 늘었는데 비유동부채가 1조6296억원에서 8185억원으로 8111억원 감소한 반면 유동부채는 1조8692억원에서 2조8788억원으로 1조96억원 증가했다.

이는 기존 비유동부채 가운데 만기가 1년 안쪽으로 다가온 물량이 급증했다는 말이다. 한국타이어의 재무 건전성을 고려하면 외부 조달을 통한 차환에 자체 현금을 더해 유동부채를 상환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공산이 크다.
다만 고금리가 지속 중인 만큼 차환 과정에서 금융비용의 부담이 커지는 것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타이어로서는 유동부채의 상환을 위해 차환의 비중을 낮추고 자체 상환의 비중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된다.
여기에 올해부터는 미국에서의 대규모 투자까지 본격화된다. 고인치 타이어와 전기차용 타이어 등 고수익성 제품의 판매량 확대 전략은 단순한 실적개선뿐만 아니라 재무 건전성 유지에도 필수불가결한 미션이라고 볼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강용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보험사 CSM 점검]DB손보, 가정 변경에 1.3조 증발…잔액 증가 '거북이 걸음'
- [보험사 CSM 점검]삼성화재, 계리적 가정 변경 여파…물량 공세로 극복
- KDB생명, 순이익 감소에도 빛난 CSM 확보 성과
- [보험사 CSM 점검]라이나생명, 보유계약 감소세 속 커지는 기대이익 고민
- [보험사 CSM 점검]KB라이프, 2년째 잔액 감소...건강보험으로 반등 노린다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보험사 CSM 점검]신한라이프, 신계약 성과로 극복한 부정적 예실차 효과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ABL생명, 후순위채 의존도 급등…커지는 '자본의 질' 고민
- [보험사 CSM 점검]한화생명, 빅3 중 홀로 잔액 감소…효율성 악화에 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