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3년 04월 06일 08:0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예방주사는 전염병 감염을 미리 막기 위한 의료행위다. 신체에 다소 약한 바이러스를 주입해 항체를 형성한 뒤 강한 바이러스에도 이겨낼 수 있도록 역할을 한다.최근 새마을금고의 부동산 PF 부실 사태를 보면 금융권의 예방주사 효과를 떠올리게 한다.
새마을금고는 상호금융기관 중 유일하게 현재까지 공적자금이 투입되지 않은 곳이다. 과거 새마을금고는 지역 조합원 중심의 가계대출에 치중하면서 부실 관리에 성공한 모범 상호금융기관이었다.
하지만 현재 새마을금고는 부동산PF 부실에 가장 취약한 상호금융기관이다. 3~4% 수준으로 유지하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이 1년여 만에 두 배 수준인 9%를 넘어섰다. 1월 말 기준 관리형 토지신탁 사업비 대출에서 발생한 연체액은 1111억원으로 전월(602억원) 대비 84.6%(509억원) 급증했다.
금융권에서는 모범 기관인 새마을금고의 몰락 이유로 안이한 대처를 꼽고 있다. 유일하게 공적자금이 투입되지 않은 상호금융기관이라는 자부심이 독이 됐다는 평가다.
최근 이슈가 된 부동산대출에서도 마찬가지다. 농협과 신협, 수협, 산림조합 등은 2019년과 2021년 두 차례에 걸쳐 공동대출 규제를 강화해 왔다. 2019년에는 건설업·부동산업 각각에 대한 공동대출을 전체 공동대출의 3분의 1 이하로 제한했다. 2021년에는 규제를 보다 강화해 부동산업과 건설업 공동대출 합계액이 전체 공동대출의 2분의 1을 넘기지 않도록 했다.
반면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10월에서야 부동산 공동대출 제한 규정을 만들었다. 이미 관련 규정을 신설한 타 상호금융권보다 7~8년 늦은 셈이다. 특히 지난해 10월은 이미 타 상호금융권에서 대부분 부동산 대출 취급을 중단하던 시기였다.
새마을금고가 과거의 위상을 되찾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건전성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새마을금고가 운영키로 한 부동산 PF 대주단도 보다 강화된 규제를 적용해야 한다. 이번 사태가 새마을금고가 과거 모범 상호금융기관의 지위를 되찾는 계기가 될 지 지켜보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엄주성 차기 대표 "주주·고객·직원 모두에 최선 다할 것"
- 김연수 한컴 대표 데뷔전 "유럽 AI 기업 조만간 인수"
- [ETF 위클리]엇갈린 레버리지·인버스, KB 웃고 삼성 울고
- DL이앤씨, 핵심 신사업법인 카본코 '리더십 공백'
- [다시 반도체의 시간]SK하이닉스, 'HBM리더'가 펼쳐갈 새로운 40년
- [LG이노텍은 지금]'정리의 귀재' 떠나고 '카메라 전문가' 온다
- '11번가 고민' SK, 두산·삼표 갈림길 변수는
- [새판 짜는 아주약품]오너 3세 거침 없는 경영행보, 변화의 중심에 서다
- [신작으로 보는 게임사 터닝포인트]네시삼십삼분, '탈모바일' 포문 열었다
- [K-바이오 클러스터 기행/전남 화순]설립 20년차인 올해가 클러스터 패러다임 전환 원년
김형석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생보협회, 10년 만에 '관' 출신 회장 배경은
- [보험경영분석]롯데손보, CSM 확대…가이드라인 악재 없었다
- 메리츠다운 조직개편…부채·운용부문의 의미
- [메리츠금융 인사풍향계]화재 이사회, 1년새 연령 60→55세 젊어졌다
- [메리츠금융 인사풍향계]화재 떠나는 김용범 부회장이 남긴 성과
- [손보협회 차기 리더는]유광열 서울보증 대표 회추위서 제외…차기 유력 후보 부상
- [메리츠화재 인사 풍향계]김중현 CEO 내정…보험사 최연소 대표 탄생
- [생보협회 차기 리더는]민간 vs 관료 경쟁 재연…차기 수장 운명의 5일
- [생보협회 차기 리더는]회추위, 차기 회장 최종후보자 24일 결론낸다
- [손보협회 차기 리더는]회추위 구성에 쏠린 눈…서울보증 참여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