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재무 점검]강원랜드, 재무관리 우등생이 되기 위한 조건④시나리오 기반 투자계획·유보금 활용 방안 중장기 계획에 담겨야
김형락 기자공개 2023-06-09 07:37:08
[편집자주]
공기업의 수익 악화, 부채 증가는 정부의 잠재적인 재정 부담 요소다. 손실이 누적됐을 땐 이를 보전하기 위해 결국 공기업의 대주주인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 공기업들은 각자 재무 위험 요인을 파악해 정부의 재정 부담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재무 관리 방안을 수립해 두고 있다. THE CFO는 주요 공기업들의 재무 현안과 이를 풀어갈 인물 등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6월 01일 15시59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강원랜드는 공기업 경영 실적 평가에서 재무관리 비계량 부문 성적이 2년 연속 'C(보통)'였다. 카지노업 수익성을 기반으로 계량 부문에서는 좋은 점수를 얻었지만, 비계량 부문에서는 다른 공기업을 벤치마킹해 보라는 지적을 들었다. 재무관리 역량을 끌어올려 비계량 부문에서 결점을 보완해야 우등생 대열에 들어갈 수 있다.강원랜드는 2020, 2021년 공공기관 경영 실적 평가에서 재무예산 운영·성과 비계량 부문이 C등급을 기록했다. 2019년 B0(양호)였던 등급이 한 계단 떨어졌다. 평가 등급은 S(탁월)부터 E(아주 미흡)까지 총 9개로 나뉜다.
기획재정부는 매년 공기업과 준정부기관의 경영 실적을 평가한 보고서를 발행한다. 대학 교수, 공인회계사, 노무사 등 각계 전문가로 평가단을 구성해 경영 개선 실적과 사업 목표 달성도를 평가한 결과다. 재무예산 운영·성과는 경영관리 범주 중 조직·인사·재무관리 항목에 속한다.

◇ 오정훈 상생경영본부장, 부임 후 1년 성적표 올 하반기 수령 예정
강원랜드 재무조직을 이끄는 오정훈 상생경영본부장은 부임 이후 두 번째 경영 실적 평가에 대비하고 있다. 오 본부장은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2021년)으로 활동하다 2021년 12월 강원랜드 경영지원본부장으로 합류했다.
상생경영본부(옛 경영지원본부) 아래에는 △재무관리실 △인재경영실 △ESG상생협력실이 있다. 자금 관리부터 인사, ESG 정책이 오 본부장 관할이다. 예산팀은 부사장(현재 공석) 직속인 기획조정실에 있다.
지난해 강원랜드의 경영 실적을 평가한 보고서는 오는 10월에 나온다. 오 본부장이 취임한 뒤 활동이 온전히 녹아있는 성적표다. 2021년 경영 실적 평가는 전임자의 공과였다.

강원랜드는 2021년 재무예산 운영·성과 비계량 부문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얻었다. 보유자금 운용 수익 증대를 성과로 인정받았지만, 코로나19 시기 비상 대응은 후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강원랜드는 2021년 자금 운용 수익이 전년 대비 30.2%(137억원) 증가했다. 자문위원회를 강화하고, 샤프지수(위험 대비 초과 수익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 등 위험 관리 지표를 도입한 덕분에 우수한 수익률을 올릴 수 있었다.
반면 강원랜드가 코로나로 인한 재정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펼친 비용 절감, 재무건전성 향상 활동은 가점 요인으로 작용하지 못했다.
◇ 기본기에 충실한 재무관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강원랜드는 2021년 자금 집행 계획 관리를 강화했다. 2020년 4회였던 건당 1억원 이상 자금 집행 계획 관리를 이듬해 6회로 늘렸다. 재무관리실장을 중심으로 실무협의체에서 주간 자금 운용 회의도 실시했다. 회의에서는 자금 수지 현황과 거액의 지출 만기 매칭을 점검하고, 금리·주가 등 운용 정보를 공유했다.
2021년 'P-D-C-A 방식'으로 예산을 운용해 비용 929억원도 절감했다. 비용 절감 목표 설정(Plan)에서 시작해 절감 제도 운영(Do), 모니터링(Check), 환류(Action)로 이어지는 비용 관리 체계다.
평가단은 강원랜드가 실시한 비상 시기 재무관리 활동들이 일상적으로 이뤄져야 예산·재무관리 방식이라고 평가했다. 앞으로 기본에 충실한 재무관리 노력을 이어갈 것도 당부했다.

투자계획 수립 절차 보완도 주요 지적 사항이었다. 평가단은 강원랜드가 신성장 사업 투자로 매출과 수익이 얼마나 발생할지, 투자 수익률은 얼마인지 등을 알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강원랜드는 △마운틴아케이드(144억원) △머신제조(114억원) △넥스트팜(114억원) △네스트하우스(62억원) △운암정 부띠끄호텔(12억원) 등 다섯 가지 분야 신사업 투자 계획을 수립해 2021~2025년 중장기 재무 관리 계획에 담았다. 지난해 중장기 재무 관리 계획에서 투자 분야를 그대로 유지했다. 2026년 리조트·신사업 매출 목표는 2048억원으로 잡았다.
평가단은 공기업 중에서 모범적으로 중장기 재무 관리 계획을 수립한 곳을 벤치마킹해 볼 것을 제언했다. 근본적으로 카지노·리조트·그 외 수익사업이 중장기적으로 전체 매출과 수익에서 각각 어느 정도 비중을 점유할 것인지를 시나리오에 따라 분석하고, 그에 따라 투자계획을 설정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과거 지적 사항도 개선 과제로 남아있다. 강원랜드는 2019년 공공기관 경영 실적 평가에서 중장기 재무 계획에 2조7000억원 규모 내부 유보금 활용 방안을 담으라는 지적을 받았다. 2020년에도 재무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내부 유보금 활용 방안 공개가 개선 사항으로 꼽혔다. 지난해까지 중장기 재무 관리 계획에는 구체적인 내부 유보금 활용 방안이 담기지 않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 [Sanction Radar]은행·증권 PD 15곳, '조단위' 공정위 과징금 처분 위기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IBK캐피탈, 부동산PF 자산 관리 정조준…부실 전이 사전 차단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독주에 균열…삼성 1위, KB·현대 추격 본격화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참담한 성적표 받은 866개 조합, 욕심이 화 불렀다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손실흡수력 최상위 삼성생명, 8할이 Tier1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슈 & 보드]한화에어로, 이사진이 요구한 공모 유증 규모 축소
- [주총 안건 리뷰]케이프, 2대주주가 정관 개정 요구하는 이유
- [주총 안건 리뷰]율촌화학, 감사위원회 공석 채울 방안은
- [주총 안건 리뷰]태광산업, 사추위 추천 후보 1명 부결된 이유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많은 보상 바라지 않아…소득은 본업에서 창출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연간 50~100시간 할애...자료 사전 검토는 필수
- [주총 안건 리뷰]HL만도, 8년 만에 부결 안건 나온 이유는
- [이슈 & 보드]SK오션플랜트, 2대·3대주주 이사회에 자리 요구
- [그룹 & 보드]SK그룹, 이사회서 KPI 이중·삼중 점검
- [그룹 & 보드]SK이노베이션, 연간 100건 넘는 의안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