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M인베스트먼트, 폐기물 수집업체 '광진수지·화목폴리머' 인수 매도자 한투PE와 프라이빗 딜 진행, 폐기물 포트폴리오 체질 변경 행보
감병근 기자공개 2023-10-18 15:50:17
이 기사는 2023년 10월 18일 15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IMM인베스트먼트가 폐기물 수집업체 광진수지, 화목폴리머를 함께 인수했다. 최근 폐기물 인수합병(M&A) 시장 트렌드에 발맞춰 수집, 재활용 분야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18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IMM인베스트먼트는 전날 PEF 운용사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한투PE)로부터 광진수지, 화목폴리머를 인수하는 절차를 마무리했다. 양측은 올 2분기부터 프라이빗하게 매각 관련 협의를 진행해왔다.

IMM인베스트먼트는 올해 상반기 6800억원 규모로 조성을 마친 블라인드펀드 ‘인프라9호’ 등을 활용해 인수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파악된다. 인프라9호는 폐기물, ICT, 클린에너지, 물류운송 등을 주요 투자테마로 정해두고 있다.
최근 폐기물 M&A 시장은 소각, 매립 등 ‘다운스트림’ 분야보다 수집, 재활용 등 ‘업스트림’ 분야 위주로 딜이 진행되고 있다. 폐기물 소각, 매립단가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매도 측과 매수 측의 기업가치 눈높이 차이가 크게 벌어졌다는 점 등이 다운스트림 분야 딜이 감소한 주요 요인으로 거론된다.
반면 업스트림 분야의 경우에는 폐기물 M&A 시장의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각광받는 분위기다.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아왔던 폐기물 수집, 재활용업체는 최근 정부의 재활용 정책 확대로 성장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IMM인베스트먼트의 이번 인수도 이러한 폐기물 M&A 시장의 트렌드를 따르는 행보로 해석된다. IMM인베스트먼트는 작년 국내 최대 소각업체 중 하나인 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EMK)를 매각하면서 폐기물 포트폴리오 체질을 바꿀 준비를 마쳤다는 평가다.
IMM인베스트먼트는 폐기물 분야에서 선택과 집중 전략을 지속 전개하려는 움직임도 꾸준히 보이고 있다. 현재 포트폴리오 기업인 이피에스솔루션의 하수도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 부문을 분할해 매각하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페퍼저축, 2년간 대출채권 1조 매각…올해 건전성 회복 기대
- 보험업 신뢰지킨 주인공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KB국민카드, 인니에 역량 집중…실속은 태국에서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MM의 이름값
- [LP&Earning]우본, 해외주식·대체투자 성과로 수익률 안정세 지속
- 박찬우 ICS 대표, 아워홈 이사회 합류
- [영상]코오롱, 내셔널타이틀 '한국오픈' 격전지 우정힐스 매물로 내놨다
- 코오롱, '충남권 명문' 우정힐스CC 매각 추진
- 체급 다른 롯데시네마-메가박스, 1대1 합병 추진 배경은
- [LP Radar]'하드캡 조건' 새마을금고 출자, 중소형사 수혜 기대감
- 엠플러스운용 매각 재개, '지분 70% 인수' 고정 조건
- 전동규 서진시스템 대표, 'FI 풋옵션 대비' 3000억 펀딩 추진
- LG화학 수처리 품는 글랜우드PE, '과점시장·성장성' 베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