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ieu 2023]중소형주 펀드 1조 무너졌다…수익률 회복 위안[공모 중소주식형]전체 설정액 순유출 지속…우리·현대 선방
윤종학 기자공개 2023-12-27 09:11:52
이 기사는 2023년 12월 20일 16시57분 theWM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중소주식형 펀드 설정액이 1조원 아래로 빠졌다. 한 때 3조원 넘게 외형을 키웠던 중소주식형 펀드는 공모펀드 시장의 침체 및 증시불황 등에 영향을 받으며 자금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다만 중소주식형 펀드의 강점으로 꼽히는 수익률 측면에서는 타 유형을 앞지르며 체면을 지켰다. 우리자산운용과 현대자산운용 등은 펀드 운용성과를 기반으로 100억원 이상의 자금 순유입을 끌어내 선방했다.
◇올해 1057억 자금유출…설정액 1조원 아래로
20일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이달 11일 기준 국내 중소주식형 펀드의 전체 설정액은 9034억원으로 집계됐다. 올 한해 1057억원의 자금이 유출되며 총설정액 1조원대가 무너졌다.

중소주식형 펀드는 시장 대비 고수익을 거두며 한 때 3조원 넘게 덩치를 키웠던 유형이다. 2018년을 기점으로 매해 자금 유출이 지속되며 6년만에 외형이 3분의 1로 줄었다. 다만 조 단위 자금유출이 있었던 2020년 이후 점차 자금유출 규모가 감소세를 보이는 상황이다.
하우스별로 보면 중소주식형 펀드를 운용하는 28곳 중 4곳만이 플러스(+) 자금흐름을 보였다. 올해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된 곳은 우리자산운용으로 198억원이 순유입됐다. 우리자산운용은 중소주식형 펀드 822억원 규모를 운용 중이다.
현대자산운용은 159억원이 순유입되며 중소주식형 2위에 이름을 올렸다. 전체 중소주식형 설정액이 294억원인 점에 비춰보면 올해 100% 이상의 외형 성장을 이룬 셈이다. 지난해 중소주식형 펀드들 중 가장 좋은 수익률을 내며 올해 자금 유입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자금 이탈이 가장 많았던 곳은 신영자산운용이었다. 올 한해 319억원이 순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2위인 삼성액티브자산운용도 자금 이탈이 지속되고 있다. 400억원이 빠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18억원이 이탈했다. 2년 순유출 규모로는 가장 많은 수치다.
펀드별로 보면 '우리중소형고배당증권자투자신탁1(198억원)'과 현대강소기업증권자투자신탁1(160억원)'이 자금유입 1,2위를 차지했다. '신한중소형주알파증권자투자신탁(86억원)'과 'BNK삼성전자중소형증권투자신탁 1(5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자금 유출이 가장 많은 펀드는 '신영마라톤중소형주증권자투자신탁'으로 319억원이 빠져나갔다. '삼성중소형FOCUS증권자투자신탁(-218억원)', '마이다스미소중소형주증권자투자신탁(-161억원)', 'NH-Amundi 성장중소형주증권투자신탁(-131억원) 등도 자금 유출 상위 펀드로 꼽혔다.
◇평균 수익률 14.88%, 국내 주식형 상위권
중소주식형 펀드는 올해 국내 주식형 중 상위권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지난해 부진한 성과를 씻어냈다. 지난해 중소형주들이 고금리 직격탄을 맞으며 중소주식형 펀드 수익률도 평균 -25%까지 주저앉았다. 올해는 연초 이후 증시 회복세를 타고 평균 수익률 14.88%까지 급증했다.
이는 국내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14.77%)를 소폭 앞서는 수치다. 일반주식형(13.15%), 배당주식형(12.47%), 기타주식형(11.05%) 등 타유형 대비 양호한 성과를 냈다.
올해 중소주식형 수익률 1위 펀드는 'BNK삼성전자중소형증권투자신탁 1'이다. 연초 이후 38.02%의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2020년 12월 설정된 펀드로 삼성전자에 시가총액 비율만큼 투자하고 나머지는 중소형주에 투자해 벤치마크 대비 초과수익을 추구한다. 중소형주 변동성에 대한 완충장치로 삼성전자를 활용하는 전략이다. 플러스자산운용의 '플러스텐배거중소형주증권투자신탁1'도 30%대 수익률을 기록하며 수익률 2위에 올랐다. 두 펀드 모두 100억원대로 설정된 소형펀드다.
올해 중소주식형 자금유입 1위와 2위를 차지한 '우리중소형고배당증권자투자신탁'과 '현대강소기업증권자투자신탁'은 운용 성과에서도 상위권에 위치했다. 각각 29.36%와 23.11%를 기록해 평균 수익률 대비 10%포인트 이상 초과 성과를 냈다. 특히 우리중소형고배당증권자투자신탁의 경우 지난해 수익률 최하위권에 머물렀지만 올해 반전 면모를 보여줬다.
대부분 중소주식형 펀드들이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한 가운데 KB자산운용과 우리글로벌자산운용의 펀드들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내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KB중소형주포커스증권자투자신탁'은 -2.06%, '우리GBest중소형증권자투자신탁은 -1.19% 수익률을 나타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티맵모빌리티는 지금]'계약 유지율 98%' 티맵 API, 물류기업·구급차도 택했다
- [i-point]크라우드웍스, AI 학습용 데이터 구매 플랫폼 오픈
- [i-point]'코드게이트 2025' 국제 해킹 방어대회 본선 진출자 발표
- [i-point]아이티센클로잇, '파트너스 데이' 개최
- 디앤씨미디어, 보다 끈끈해진 넷마블 관계
- [애경그룹 리밸런싱]AK홀딩스, 유동성 압박 속 추가 매각 카드 꺼낼까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경영권 프리미엄' 145% 기대 근거는
- [애경그룹 리밸런싱]매물로 나온 애경산업, 인수 후보군은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오너가 무브먼트]서울식품 서인호, 지배력 확대…오너 4세 등장 '눈길'
윤종학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애경그룹 리밸런싱]AK홀딩스, 유동성 압박 속 추가 매각 카드 꺼낼까
- [오너가 무브먼트]서울식품 서인호, 지배력 확대…오너 4세 등장 '눈길'
- 더본코리아, 생산시설 초과 가동…수요확대 대응 과제
- [캐시플로 모니터]더본코리아, 실적호조에도 순현금유출 까닭은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바틀링·직수출 투트랙 전략…종착점은 '롯데 브랜드'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외형성장 견인차 PCPPI, 체질 개선 과제
- 애경산업, 대표 간담회 통해 매각 검토 공식화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4조 매출' 시대 연 롯데칠성, 해외에서 길을 찾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소통 방점' 롯데지주, 이동우 대표 '수익성 개선 집중' 강조
- [캐시플로 모니터]교촌에프앤비, 순익 급감에도 현금창출력 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