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선제적 ELS 판매 중단…비이자 강화 차질 ELS 사태에 불똥…홍콩H지수 ELS 판매액 200억, 원금손실도 없어
이재용 기자공개 2024-02-05 09:34:42
이 기사는 2024년 02월 01일 13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IBK기업은행이 은행권 홍콩H지수 ELS(주가연계증권) 대규모 손실 등 파생상품 운용 리스크가 확대되자 ELS 상품 판매를 잠정 중단했다. 홍콩H지수 ELS 판매액이 200억원대에 불과하고 원금손실도 발생하지 않았지만 ELS 사태의 파편을 피하지 못했다.ELS 판매 중단으로 기업은행의 신탁사업도 위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올해 조직개편에서 재산신탁팀을 신설하고 비이자이익 증대에 나섰지만 제동이 걸렸다. 다만 신탁사업에서 ELS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 1월초부터 ELS 판매 잠정 중단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ELS 상품에 대한 판매를 자체적으로 중단한 상태다. 판매 중단은 주요 판매사인 시중은행들이 잇따라 ELS 판매 중단을 결정하기 전인 연초부터다. 판매 재개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
기업은행은 문제가 되는 홍콩H지수 ELS 상품의 주요 판매사가 아니다. 은행권 판매액이 수조원대에 달하는 것과 달리 기업은행의 홍콩H지수 ELS 상품 판매액은 218억원에 그친다.
만기도래로 인한 손실도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 손실이 나타나더라도 전체 상품 판매액이 적어 손실 규모는 미미할 수밖에 없다. 이렇다 보니 은행권 ELS 판매와 운용에 대한 여론의 주목도 및 질타에서도 자유로운 편이다.
그럼에도 기업은행 측은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ELS 판매를 선제적으로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단순 시중은행이 아닌 국책은행이라는 점에서 금융소비자 보호에 대한 책임 부담이 더 컸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제 기업은행은 비예금상품위원회뿐 아니라 투자상품 정책협의회를 운영해 국책은행 책임에 맞는 두터운 금융소비자 보호 체계를 갖추고 있다.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는 긴급 협의회를 열어 적시 대응 중이다.
◇비이자 강화 계획 차질…ELS 수수료 2억 불과해 영향은 제한적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는 대신 수익성 저하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사실상 ELS 판매 중단은 파생상품 관련 운용 수익과 수수료 수익 감소를 감수하고 이뤄진 결정이다. 기업은행의 지난 3분기 누적 기준 금전신탁 40조5004억원 중 ELS 등이 포함된 특정금전신탁(17조7344억원) 비중은 44%에 이른다.
신탁사업 수익성 저하로 인해 비이자이익 개선 계획에도 차질을 빚게 됐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9년 5502억원, 2020년 4739억원, 2021년 4738억원, 2022년 2535억원 등으로 감소세인 비이자이익을 개선하기 위해 연초부터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올해 조직개편에서 자산관리그룹 산하 신탁부에 재산신탁팀을 신설한 것도 신탁 서비스를 강화해 비이자이익 수익성을 개선하려던 전략의 일환이었다. 하지만 연초 ELS 판매 중단으로 신탁부 사업 일부를 할 수 없게 되면서 경쟁력 강화는 요원하게 됐다.
다만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의 신탁수수료 이익 가운데 ELS 비중은 0.2% 수준이다. 지난 3분기 누적 기준 기업은행은 신탁수수료 이익으로 1103억원을 거뒀다. 이중 ELS 관련 수수료 이익은 2억원으로 미미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anction Radar]기업은행, 개선 의지 읽히는 '쇄신위' 조기 구성
- 새마을금고 정부합동감사 개시…대출 적정성 따져본다
- 산은, NPL 매각 시동…올해 2000억 규모
- [Policy Radar]AML 내부통제 내실화…FIU, 업무규정 5월 시행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신한금융, 거버넌스 구축 막바지…협의회도 만든다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우리금융, 최고의사결정기구 부재 '옥의티'
- IBK기업은행, 내부통제 '환부작신'한다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예외 승인, 내부통제·조직문화 개선에 달렸다
- [Sanction Radar]기업은행, 900억 부당대출 '축소·은폐' 덜미
- '유명무실' 금융권 이해상충 방지 실효성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