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올저축, 심사/관리본부 신설…본부장에 김성우 상무 다올저축은행 CRO 출신, NPL비율 4.9%…건전성 관리 매진
김서영 기자공개 2024-02-23 12:56:49
이 기사는 2024년 02월 22일 15시0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다올저축은행이 여신관리 조직에 대한 개편을 단행했다. 기존 여신관리본부와 여신심사본부를 통합해 '심사/관리본부'를 신설했다. 개인금융본부에도 변화를 줬다. 조직 개편에 뒤이어 김성우 상무를 심사/관리본부장으로 선임했다.김성우 상무는 KTB투자증권(현 다올투자증권) 시절부터 자리를 지켜온 인물로 리스크 관리 전문가다. 김 상무는 다올투자증권의 자회사인 다올저축은행으로 자리를 옮겼다. 준법감시인, CRO 경력을 살려 자산 건전성 관리에 고삐를 쥘 것으로 전망된다.
◇'심사/관리본부' 신설, 개인금융본부에도 변화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다올저축은행은 최근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이번 조직 개편의 핵심은 여신관리 조직과 개인금융본부 재정비다.
먼저 다올저축은행은 '심사/관리본부' 신설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여신관리본부와 여신심사본부가 합쳐져 심사/관리본부가 탄생했다.
여신관리본부 아래엔 △개인금융관리팀 △여신관리팀 △여신감리팀 등 3개 팀이 있었다. 여신심사본부엔 여신심사팀이 설치돼 있었다. 두 본부를 통합하며 하위 팀을 정리해 효율성을 높였다. 심사/관리본부 하엔 여신심사팀과 여신관리팀이 배치됐다.

다음으로 개인금융본부에 변화가 있었다. 다올저축은행은 'CSS전략실'을 신설했다. 개인금융본부에 속했던 '개인금융전략팀'이 독립해 CSS전략실을 만들었다. 대신 여신관리본부 하위 조직이었던 '개인금융관리팀'이 개인금융본부 아래로 이동했다.
이외에 디지털 조직도 개편됐다. 다올저축은행은 기존에 디지털 조직으로 △DX본부 △디지털혁신실 △IT본부를 운영하고 있었다. 올 들어 DX본부와 디지털혁신실을 개편해 '디지털금융본부'를 신설했다. 디지털금융본부 아래엔 디지털전략팀과 채널기획팀이 있다. IT본부는 그대로 유지됐다.
◇김성우 심사/관리본부장, '리스크 관리' 전문가
신설된 심사/관리본부를 이끌 수장도 정해졌다. 리스크 관리 전문가로 통하는 김성우 상무(사진)가 신임 심사/관리본부장으로 선임됐다. 김 상무는 모기업인 다올투자증권에서 다올저축은행으로 자리를 옮겨 임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김 상무는 다올금융그룹에서 리스크 관리 전문가란 평가를 받는다. 2020년 1월 KTB투자증권 시절 준법감시인(이사)으로 선임됐다. 당시 KTB자산운용, KTB네트워크, KTB프라이빗에쿼티, KTB신용정보 등에서 감사를 겸직하기도 했다.
2022년 3월 KTB투자증권은 다올투자증권으로 사명을 바꿨고, 김 상무는 이듬해 1월 리스크심사실장(위험관리책임자·CRO)으로 선임됐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올해 2월 김 상무는 다올투자증권에서 자회사 다올저축은행 심사/관리본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기존 다올투자증권 CRO는 이종서 전무가 맡았다.
김 상무는 다올저축은행 여신심사와 관리 업무를 맡아 비우호적인 업황 속 건전성 관리에 매진할 것으로 보인다. 작년 9월 기준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4.94%로 전년 동기(2.14%)와 비교해 두 배 이상 올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
- 기업은행, 변동성 장세에 단기채 위주 대응 추천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인창개발, 가양동 CJ 공장부지 매입 5년 만에 착공
- [디벨로퍼 리포트]KT에스테이트, '호텔사업 호조'에 역대 최대 실적
- [Company Watch]GS건설, 해외 모듈러 신사업 '외형 확장' 성과
- [건설리포트]부영주택, 저조한 분양 탓 수익성 회복 고전
- [thebell note]모듈러 주택, 진가를 발휘할 때
- [건설리포트]우미건설, '분양 호조' 힘입어 외형 성장
- [건설부동산 줌人]신영부동산신탁, '증권 출신' 김동현 신탁사업부문장 낙점
- [이사회 분석]GS건설, 다시 여는 주총…사외이사 '재선임' 카드
- [건설사 인사 풍향계]이종원 회장의 '선택', 임기영 HS화성 신임 대표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GS건설, 브릿지론 '2조' 돌파…연내 본PF 전환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