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협력 강화' 씨이랩, Vision AI 시장 확장 구슬땀 인공지능 디지털트윈 분야 조직정비·투자 확대, 올해 고객사 수요 대응
양귀남 기자공개 2024-02-23 15:11:36
이 기사는 2024년 02월 23일 15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AI 영상분석 전문기업 씨이랩은 23일 엔비디아와의 협력 강화를 바탕으로 올해 Vision AI 시장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와 R&D 투자 확대도 계획하고 있다.
전략적인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Chat GPT를 포함해 여러 초거대 언어모델(LLM)을 Vision AI 내 플러그인 하며 기능을 보강했다.
씨이랩은 올해 언어모델 중심에서 Vision AI 중심으로의 시장 변화를 예상했다. 지난해는 국내 AI 시장이 LLM 중심으로 확대되며 상대적으로 Vision AI 분야 수요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씨이랩은 지난해 매출액 감소와 적자폭 확대와 관련 엔비디아 GPU의 글로벌 수급난에 따라 GPU 어플라이언스 사업 부문의 일부 매출 이연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트윈 기술 및 인력 투자 진행이 실적 감소에 영향을 줬다고 덧붙였다.
이우영 씨이랩 대표는 "올해 Vision AI 시장 개화에 따른 사업 확장이 예상된다"며 "R&D에 투자를 확대하는 동시에 엔비디아와의 협력으로 디지털트윈 분야에서도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도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양귀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코스닥 주총 돋보기]KS인더스트리, 자금조달 능력 시험대 오른 '새주인'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i-point]지아이에스, 지방세 성실 납세자 선정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엔투텍, 세 주체의 면밀한 이익 설계 '눈길'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분쟁 중 매각' 와이오엠, 이사회 진입 불발시 안전판 마련
- [Red & Blue]'설비투자 본격화' 심텍, 업황 회복 속 흑자전환 기대감
- [대양금속 편입나선 KH그룹]갈등만 키운 임시주총, 끝나지 않는 소모전
- [오너십 시프트]앱트뉴로사이언스, 힘들게 조달한 1000억 자금 줄줄이 '외부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