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경영분석]한투저축, 대규모 충당금 적립에 순익 '타격'업무이익 97%를 충당금으로, 순익 40억…부동산PF 연체율 '6.3%'
김서영 기자공개 2024-04-04 12:43:05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2일 15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투자저축은행(한투저축은행)이 지난해 두자릿수 순이익을 기록하며 수익성 악화를 겪었다. 순이익이 전년과 비교해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올해 1월 새로 선임된 전찬우 대표이사의 어깨가 무거워졌다는 평가가 나온다.특히 충당금적립전 이익의 97%에 해당하는 1949억원 규모의 충당금을 적립한 탓에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했다. 금융감독원이 작년 결산 공시 직전까지 한투저축은행의 추가 충당금 적립을 권고하며 손실흡수 능력 제고를 당부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업무이익의 97%, 충당금으로 적립…순익 40억원 '급감'
2일 한투저축은행은 '2023년 경영 실적 결산'을 공시했다. 한투저축은행은 지난해 40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800억원)보다 95% 감소한 수치로 순이익이 급감했다.
한투저축은행의 수익성 악화는 대손충당금 적립률 강화 여파가 컸다. 지난해 충당금적립전 이익은 2009억원으로 전년(2186억원)과 비교해 8.1% 줄어드는 데 그쳤다. 한투저축은행과 함께 상위 10위 대형사로 꼽히는 OK저축은행의 충당금적립전 이익이 36.4%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감소 폭이 크지 않았다.

다만 그에 비해 충당금 적립액은 크게 증가했다. 작년 말 기준 충당금 적립액은 2022년 말(1142억원)보다 70.67% 증가한 1949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1928억원으로 전년(1114억원) 대비 73.07% 증가했다.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결산 공시 직전까지 금융감독원의 지시로 대손충당금을 더 적립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투저축은행이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커진 배경에는 고정이하여신(NPL) 규모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작년 말 기준 한투저축은행의 총여신 규모는 6조9128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부실여신이 1724억원이고 NPL 규모가 4086억원으로 나타났다. 부실여신과 NPL은 전년 말과 비교해 각각 65.9%와 125.12% 증가했다. 특히 NPL 규모가 1년 새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한투저축은행은 작년 한 해 동안 569억원 규모의 대출채권에 대해 상각 처리를 단행했다. 이 가운데 작년 4분기 중 상각한 규모만 514억원으로 전체 연간 대손상각액의 90.3%에 해당한다. 한편 2022년 한 해 동안 114억원의 대손상각액을 기록했다. 같은 해 4분기에 상각한 액수는 15억원에 불과했다.
◇가계대출 늘리며 리스크 대응, BIS비율 15% '눈길'
지난해 한투저축은행의 신규 영업은 다소 위축됐다. 작년 말 기준 대출잔액은 6조9128억원으로 전년 동기(72조1065억원)와 비교해 소폭 감소했다. 감소 폭은 2.73%를 기록했는데 타 경쟁사와 비교하면 영업 자산 감소 폭이 크지 않았다.
대신 한투저축은행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리스크가 높아진 기업대출이 아니라 가계대출 비중을 늘리며 비우호적인 업황에 대응했다. 구체적으로 기업대출은 2022년 말 5조1051억원에서 작년 말 4조7200억원으로 7.54% 감소했다. 구성비 역시 71.84%에서 68.28%로 줄었다.
반면 가계대출 규모는 작년 말 2조561억원으로 2조원을 돌파했다. 2022년 말 1조8444억원에서 1년 새 11.48%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구성비도 25.95%에서 28.74%로 30%를 앞두고 있다.
한투저축은행 경영 실적에서 눈여겨봐야 할 점은 바로 부동산PF 대출채권이다. 한투저축은행은 저축은행업계에서 OK저축은행 다음으로 많은 규모의 부동산PF 대출채권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 말 기준 부동산PF 대출채권은 8111억원으로 작년 9월 말(9614억원)과 비교해 15.63% 줄었다.
부동산PF 대출채권 규모는 줄었으나 연체액은 증가했다. 작년 말 연체액은 511억원을 기록했다. 연체율은 6.3%로 작년 9월 말 연체율 2.86%보다 3.44%p 상승했다. 작년 말 전체 부동산 관련 대출채권 연체액은 1585억원으로 연체율은 5.33%로 나타났다.
부동산PF 연체율이 상승했지만, 대표적인 재무 건전성 지표인 BIS비율은 상승했다. 작년 말 기준 한투저축은행의 BIS비율은 15.02%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10.88%)와 비교해 4.14%p 상승한 수준으로 이는 업계 최고 수준에 해당한다.
유동성비율도 큰 폭으로 끌어올렸다. 작년 말 기준 유동성비율은 245.11%로 1년 새 77.79%p 급등했다. 다만 NPL비율이 상승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작년 말 NPL비율은 5.91%로 6%에 가까워졌다. 전년 동기 2.55%로 나타났던 것과 비교해 크게 상승한 것이다. 연체대출비율도 5.14%로 1년 새 2.37%p 상승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년만에 돌아온' 초록뱀미디어, 권경훈 회장 행보 주목
- [i-point]샌즈랩, AI NDR 솔루션 일본 공급 개시
- 'PE 2년차' 오스템임플란트, 중국실적 타격 '미국·인도' 대안
- [와이바이오로직스 항암신약 로드맵]'뉴 모달리티' 도전 자신감, 원석 광산 플랫폼 'Ymax-ABL'
- [웹툰사 지배구조 점검]적자 커진 와이랩, 공격적 투자 전략 '난기류'
- [사외이사 BSM 점검]금융계열사 많은 한화그룹, '금융 특화' 사외이사 다수
- [thebell interview]"자본시장법 개정이 현실적…현 상법 체계 이상 없다"
- [ROE 분석]농협금융, 반등했지만 '여전히 은행계지주 바닥권'
- [조선업 리포트]'수주 호조' 선수금 유입에 차입금 다 갚은 HD현대삼호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잉여현금흐름 '20조' 육박…계열사 대부분 흑자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리포트]우미건설, '분양 호조' 힘입어 외형 성장
- [건설부동산 줌人]신영부동산신탁, '증권 출신' 김동현 신탁사업부문장 낙점
- [이사회 분석]GS건설, 다시 여는 주총…사외이사 '재선임' 카드
- [건설사 인사 풍향계]이종원 회장의 '선택', 임기영 HS화성 신임 대표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GS건설, 브릿지론 '2조' 돌파…연내 본PF 전환할까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조성한 부사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할 '토목 전문가'
- 허윤홍 GS건설 대표 "선별 수주로 리스크 관리 강화"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김동욱 부사장, 플랜트사업 '외형 성장' 드라이브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남경호 부사장, 건축·주택사업 '혁신' 꾀할 적임자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코오롱글로벌, 대전 선화3차 본PF 전환에 '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