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워크아웃]우리은행, 신규자금도 제동…"2000억 이하로 낮추자"협의 거쳐 추가 제공하는 게 취지에 부합하다는 판단…지원 반대는 아냐
이재용 기자공개 2024-04-30 12:35:41
이 기사는 2024년 04월 29일 11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티와이홀딩스의 연대 채무 유예를 반대 중인 우리은행이 태영건설 신규자금 지원 한도에도 제동을 건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은행 측은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에 신규자금 지원 한도를 기존 3000억원에서 2000억원 이하로 감액할 것을 요구했다.기업개선계획 결의를 반대하거나 태영건설을 지원하지 않겠다는 부정적 스탠스는 아니다. 우리은행 역시 워크아웃 성공을 위해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다. 다만 공동협의와 논의가 중심이 되는 워크아웃 공동관리절차 취지가 우선시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금융채권자협의회는 부족자금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4000억원 한도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운영자금이 부족해질 때마다 신속 조달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마이너스통장'으로 PF 현장 하도급 업체 대금 지급 등이 목적이다.
만약 우리은행 측의 요구가 받아들여지면 태영건설 신규자금 한도는 2000억원 이하로 설정된다. 한도를 적어도 2000억원 이하, 또는 이하로 감액해 놓고 이후에 어떤 이슈 사항으로 자금이 필요해질 경우 그때 다시 지원을 논의하고 검토하자는 게 우리은행의 의견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원을 안 하겠다는 취지가 아니다. 우리도 워크아웃 성공을 위해 충분히 지원하겠다"면서도 "부족할 경우 그때그때 같이 협의하고 논의하는 게 워크아웃 공동관리 절차 취지에 맞기 때문에 한도를 줄이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이 이처럼 자금 설정을 최대한 보수적으로 하려는 것은 신규자금 손실 부담이 시중은행에서 두 번째로 큰 곳이기 때문이다. 협의회는 신규자금의 손실을 산은이 51.97%, 하나은행 16.45%, 우리은행 11.84%, 농협은행 9.87%, 신한은행 6.58%, 국민은행이 3.29%씩 분담하도록 정했다.
하지만 산은을 비롯한 협의회 측은 "실사 결과 외에도 다른 요인이 발생할 것을 대비해야 하고, 신규자금을 담당하는 6개 은행이 솔선수범해서 최대한의 지원을 한다는 상징성이 중요한 상황"이라며 신규자금의 보수적 한도 설정에 대해 확실한 선을 긋고 있다.
한편 우리은행은 최근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채권단 협의기구인 금융채권자조정위원회에 '티와이홀딩스 연대 채무 청구를 3년 유예한다'는 안건을 기업개선계획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청했다. 우리은행은 티와이홀딩스 연대 채무 360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은행 측은 채권자에 대한 보호조치가 부족하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대주주 티와이홀딩스의 채권에 대해서는 보호조치가 미흡한 상태이며, 채권 보유 금융기관의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현재 티와이홀딩스 채권에 대해서는 티와이홀딩스와 채권자 간 개별 협의 사항으로 두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2025 서울모빌리티쇼]송호성 사장 "HMGMA 첫 생산, 내년 중반 하이브리드"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anction Radar]기업은행, 개선 의지 읽히는 '쇄신위' 조기 구성
- 새마을금고 정부합동감사 개시…대출 적정성 따져본다
- 산은, NPL 매각 시동…올해 2000억 규모
- [Policy Radar]AML 내부통제 내실화…FIU, 업무규정 5월 시행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신한금융, 거버넌스 구축 막바지…협의회도 만든다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우리금융, 최고의사결정기구 부재 '옥의티'
- IBK기업은행, 내부통제 '환부작신'한다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예외 승인, 내부통제·조직문화 개선에 달렸다
- [Sanction Radar]기업은행, 900억 부당대출 '축소·은폐' 덜미
- '유명무실' 금융권 이해상충 방지 실효성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