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06월 01일 09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UN이 작성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2023년 출생률은 0.9인데 189개국 중 189위다. 마카오, 홍콩 같은 15개 특별 지역을 따로 집계하면 204개 지역 중 203위다. 204위는 출생률 0.8인 홍콩이다. 1970년대에는 동네 곳곳에 “아들딸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라는 정부 시책이 붙어 있었다. 심지어 보건사회부 명의로 작성된 표어에 “덮어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라는 것이 있었는데 정부가 만든 홍보물로서는 과격한 언사다. 그랬던 나라가 출생률 아래에서 1위를 한 것이다.204곳 리스트에서 우리 바로 위에는 초소형 국가들인 싱가포르, 산마리노, 몰타가 있다. 그리고 그 위에 중국이 있다. 출생률 1.2로 198위다. 중국도 우리 못지않게 강력한 산아제한 정책을 펼쳤던 나라다. 그러다가 급격한 산업화로 대도시에 인구가 집중되면서 증가율이 둔화되었다. 아무도 상하이의 좁은 아파트에서 맞벌이를 하면서 자녀를 둘 이상 가지려 하지 않는다. 상하이사회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2050년경 중국의 15세 이상 노동 가능 인구는 지금의 절반 정도가 된다. 더 큰 문제는 65세 이상이 더 많아진다는 것이다.
중국은 원래 땅은 쓸모없고 바다는 비좁은 나라다. 그런데다가

전문가들은 중국의 미래가 밝지 않다고 본다. 우선, 당연하지만 땅과 바다가 변한 것이 없다. 만성적인 물 부족 문제가 있고 땅은 척박해서 비료를 글로벌 평균의 4배나 쏟아부어야 한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셰일가스 매장량을 보유하지만 물이 없어서 별 소용이 없다. 전기와 물먹는 하마라는 AI 경쟁에서도 어렵다. 단백질 공급원인 어류는 남중국해에서 여러 나라들과 나누어 가져야 하고 산업생산에 필요한 석유는 중동에서 거의 80%를 가져와야 하는데 호르무즈, 안다만 니코바르, 말라카, 남중국해를 지나는 멀고 먼 루트를 자국 해군 보호 없이 거쳐와야 한다.
지도를 보면 중국은 믿기 어려울 만큼 큰 바다와 차단되어 있다. 하이라이트가 중국-러시아-북한 국경이다. 바다를 지척에 두고 러시아와 북한이 가로막고 있다. 바다를 2km 앞두고 우크라이나에 막힌 몰도바를 연상시킨다. 일본열도도 갑갑한데 오키나와제도 때문에 대 만에 닿을 때까지 일본과 미군에 막혀있다. 대만 아래에서 필리핀과의 사이에 약간 숨 쉴 틈이 있어 보이지만 지도를 자세히 보면 필리핀 섬들이 거의 2/3를 가로막는다. 필리핀에는 물론 미군 기지들이 있다.
중국이 남중국해의 남쪽에 몰려 있는 작은 섬들에 집착하는 이유를 알 수 있다. 해군력이 상대적으로 빈약하기 때문에 공군력으로 승부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면 바다 후방에 기지를 두어야 한다. 전투기들의 항속거리 때문이다. 중국이 말레이시아의 코 앞에 있는 제임스 숄에 집착하는 이유도 같다. 섬도 아닌 해저 지형인데 중국 영토의 최 남단이라고 학교에서 가르친다.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이 거론된 지 이제 좀 되었지만 따지고 보면 대만은 중국이, 아니면 중국 지도부가 나라의 쇠퇴를 막기 위해 쓸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카드로 여겨지는 것 같다.
동북아시아는 유럽과 달라서 모든 나라에 과거를 들먹이며 서로 싸우지 못해 안달이 난 정치 세력들이 있다. 그렇지만 유럽에 비하면 싸움을 훨씬 덜 해 보았기 때문에 외교 실력이 없다. 지정학자 자이한의 지적처럼 세력균형을 이루고 유지하는 노하우가 없다. 그래서 역설적으로, 유럽보다 향후 더 위험한 곳이다. 중국의 성공 신화가 막을 내리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지만 중국의 인구 변화가 보여주듯이 막을 수 없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국가적 집중력을 유지하고 정치권력을 유지하는 데는 전쟁만 한 것이 없다고 역사가 가르친다. 중국이 연착륙하고 각국에서 역사와 외교를 잘 아는 걸출한 정치인들이 출현하기만 바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