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경영분석]씨티은행, 본업 양호한데…1%대 연체율 '옥에 티'파생상품 약진하며 기업금융 순익 증가…철수 3년 지난 가계·신용대출 부실 여전
김영은 기자공개 2024-08-21 12:17:56
이 기사는 2024년 08월 20일 13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씨티은행의 2분기 순익이 급성장하며 상반기 실적 방어에 성공했다. 사업을 철수한 소비자금융 부문을 제외하고 보면 실적 성장세는 더욱 뚜렷해진다. 특히 올해에는 기업금융 관련 파생상품 거래 손익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건전성 지표가 악화하고 있는 점은 고민거리로 남아있다. 씨티은행은 연체율 지표가 시중은행과 달리 1%대를 상회하고 있다. 과거 수익성 중심의 성장을 위해 늘렸던 개인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부실이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상반기 실적 방어…기업금융 비이자손익 14.5%↑
2024년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씨티은행은 상반기 1750억원의 순익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1779억원)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일회성 비용 인식으로 1분기 순익이 다소 부진했으나 2분기에 실적을 끌어올렸다. 2분기 순익은 1018억원으로 전년 동기(931억원) 대비 9.34% 증가했다.

현재 사업을 철수한 소비자금융을 제외하면 순익 증가세는 더욱 명확한 모습을 보인다. 상반기말 기업금융 순익은 2706억원으로 전년 동기(2607억원) 대비 3.78% 증가했다. 순이자손익과 순비이자손익 1년 사이 각각 6.7%, 14.5% 증가했다.
비이자수익 중에서도 기업금융 주력 상품인 파생상품 부문이 약진했다. 상반기말 파생상품관련순손익은 2216억원으로 전년 동기(489억원) 대비 353.2% 증가했다. 씨티은행은 주로 선물환, 통화 및 이자율 스왑, 통화옵션, 신용스왑 등으로 파생상품 거래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상반기말 소비자금융 부문 순손실은 956억원으로 전년 동기(-829억원) 대비 악화했다. 대출자산 감소로 이자손익이 1619억원에서 1176억원으로 27.4% 줄어든 영향이다. 현재 씨티은행에 남아있는 가계 및 신용카드 여신 규모는 5조3647억원으로 전년말(6조4952억원) 대비 17.4% 축소됐다.
기업금융에 선택과 집중을 단행한 결과 주요 경영 지표도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83%로 전년 동기(0.76%) 대비 개선됐다. NIM(순이자마진)은 2.58%에서 2.95%로 상승했다.
◇시중은행 중 연체율 가장 높아…기업대출 연체율도 상승세
다만 건전성 지표는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상반기말 연체율은 1.73%로 전년 동기(1.39%)와 비교해 0.34%포인트 상승했다. 0.2~0.3%대에 연체율이 형성되어 있는 시중은행과 비교해 상당히 높다.

현재는 철수한 소비자금융 부문의 영향으로 연체율이 다소 높게 형성되어 있다. 가계 및 신용카드의 연체율은 각각 2.72%, 4.95%를 기록하고 있다. 해당 부문의 고정이하여신도 1043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과거 수익성 중심 성장을 위해 개인 신용대출 비중을 키우며 여신의 규모를 키워온 게 부실로 돌아오고 있다. 현재도 소매금융자산을 꾸준히 줄여나가고 있지만 여전히 개인신용대출 자산은 가계대출의 절반 이상을 넘어서고 있다.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3월말 기준 씨티은행의 개인 신용대출 잔액은 2조7012억원으로 전체 가계대출(4조7156억원)의 57.3% 비중을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기업대출 부문에서도 연체율이 심화하고 있다. 기업 부문 연체율은 0.71%로 전년 동기(0.33%) 대비 0.38%포인트 상승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영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국소호은행, 소상공인 금융 혁신 이뤄낼 경쟁력 세가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NH농협은행, 글로벌 순익 기여도 10% 청사진은
- [은행경영분석]토스뱅크, NIM 나홀로 상승하며 연간 흑자 '스타트'
- [은행경영분석]씨티은행, 14년 만에 ROE 5% 돌파…배경엔 '순익·배당'
- [보험사 지배구조 점검]한화생명, 경쟁사 대비 협소한 사외이사 후보군
- NH농협금융, '내부통제·ESG' 과제 맞춰 사외이사 쇄신
- [보험사 지배구조 점검]삼성생명, 내부 의존도 높은 CEO·사외이사 후보군 관리
- [한국소호은행 제4인뱅 독주]범금융권 자본력 총집합…시중은행 세 곳 지분율 구성은
- [제4인터넷은행 풍향계]예비인가 신청 마감…상반기 결과 발표
- [한국소호은행 제4인뱅 독주]지역별 종횡무진 협업…포용금융 고득점 정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