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보안 강화' 텔레칩스, 윈드리버와 협력 확대 보안 등급 'ASIL-D'까지 높여, 로봇 시장도 진출 준비
노태민 기자공개 2025-02-12 07:52:05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1일 17시0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차량용 반도체 기업 텔레칩스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역량 강화를 위해 윈드리버와 협력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차량용 시스템 안전 기준을 'ASIL-D'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텔레칩스와 윈드리버는 11일 텔레칩스 판교 사옥에서 SDV 차량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먼저 양사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공동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5/02/11/20250211165943128_n.jpg)
윈드리버는 지능형 엣지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오토모티브, 항공우주, 국방, 통신 등 영역에 필요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텔레칩스가 윈드리버와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SDV 차량의 보안을 높이기 위해서다. 내연기관차가 SDV로 전환되면서 외부로부터의 해킹 등 공격 위협이 높아졌다. 텔레칩스는 이를 방어하기 위해 윈드리버의 헬릭스 가상화 플랫폼, 윈드 리버 리눅스(Yocto 리눅스 기반)를 시스템온칩(SoC) '돌핀' 등에 적용한다. 이를 통해 차량용 시스템 안전 기준을 기존 ASIL-B에서 ASIL-D로 높였다.
ASIL은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표준 ISO 26262에서 정의하는 안전 등급이다. 사고 발생 가능성, 심각도, 운전자의 제어 가능성을 바탕으로 4개 레벨(A, B, C, D)으로 구분된다. ASIL-D는 이중 최고 등급이다.
양사는 1년 전부터 협업을 시작해 일부 솔루션은 차량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인 돌핀 시리즈에 적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향후 윈드리버의 솔루션을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칩 'AXON', 인공지능(AI) 가속기 'A2X'까지 확대한다.
또 고객사의 개발 주기를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윈드리버의 솔루션은 삼성전자와 인텔, AMD, NXP 등 반도체 기업도 사용 중일 만큼 신뢰성이 높다. 텔레칩스의 고객사는 윈드리버 솔루션이 적용됨에 따라 SDV 안정성과 보안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장규 텔레칩스 대표는 "네트워크 분야 제품은 2026년이나 2027년부터 양산할 수 있을 것"이라며 "로봇 분야에서도 윈드리버와 협력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자신했다. 이어 "윈드리버가 관련 시장에서 노하우가 많은데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부연했다.
텔레칩스는 시스템 개발과 교육을 위한 종합 개방 플랫폼(TOPST)을 기반으로 로봇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다. 로봇 기업에 돌핀 3 등 AP를 탑재한 단일보드컴퓨터(SBC)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제이 벨리시모 윈드리버 사장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SoC는 SDV 혁신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텔레칩스와 협업을 통해 자동차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개발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두산스코다파워 체코 IPO]상장 후 중간지주사 청산, 지배구조 '단순화'
- [타이어업계 고환율 수혜 점검]넥센타이어, 환율 수혜 불구 '실적 후퇴'…순차입금↑
- [불 붙는 크립토 제재]기관·인적제재 '바로미터'에 업계 촉각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KB금융, ROE·비은행 강화로 '넘버원' 주가상승률 달성
- [중견·중소 보험사는 지금]농협손보, 첫 내부 출신 대표에게 모이는 기대
- [NPL 플레이어 경쟁지도]2금융권 NPL, 올해는 '찬밥' 신세 면할까
- '딥시크 포비아' 확산…금융권, 자체 서비스 구축 속도
- 교보생명, 오너 풋옵션 분쟁 하나 넘어...지주사·IPO 탄력받나
- [i-point]배터리솔루션즈, 인선모터스와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MOU
- [i-point]크레버스, 기말배당 기준일 4월 1일 확정
노태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W 보안 강화' 텔레칩스, 윈드리버와 협력 확대
- 거래 재개 알파홀딩스, '중국·일본' 집중 공략
- [하이테크 소부장 리포트]'트럼프 리스크' 솔브레인그룹, 한국산 리튬솔트로 대응
- [딥시크 임팩트]국내 소부장, 생산량 감축 우려? '아직 영향 없어'
- 이재용 회장 사법 리스크 재발, 검찰 대법원 상고
- [하이테크 소부장 리포트]미국 개척 나선 솔브레인, 생산 활로 '반도체용 식각액'
- 절치부심 삼성전자, SF2 초기 수율 '30%' 확보
- DB하이텍, 엘스패스 '실리콘 커패시터' 위탁 생산
- SK하이닉스 임원 124명, 자사주 3.76만주 수령
- 매그나칩 자회사 매각 군침? 국내 기업들 '관심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