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시공' 마포로5구역, 리파이낸싱 성공 2550억 규모로 증액, 이노디앤씨 시행 사업 '급물살'
전기룡 기자공개 2023-09-20 08:11:25
이 기사는 2023년 09월 18일 15:5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건설이 시공을 맡을 예정인 '마포로5구역 10·11지구'의 사업 주체가 브릿지론 리파이낸싱에 성공했다. 특히 인허가 작업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2550억원 한도로 대출 규모를 증액하는데 성공해 주목된다. 브릿지론 만기일에 맞춰 본프로젝트파이낸싱(PF) 전환에 나설 전망이다.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마포로5구역 10·11지구의 시행 주체인 이노디앤씨가 최근 1570억원 한도였던 브릿지론 규모를 2550억원까지 늘리는데 성공했다. 브릿지론은 트랜치A 1450억원과 트랜치B 300억원, 트랜치C 150억원, 트랜치D 650억원으로 구성됐다. 주관은 키움증권이 맡았다.
인허가가 상당부분 진척된 덕분으로 풀이된다. 마포로5구역 10·11지구은 서울 중구 중림동 157-2 일원에 위치한 부지 9374㎡를 연면적 9만9792㎡에 지하 7층~지상 26층, 공동주택 299세대와 업무·근린생활시설 등으로 탈바꿈시키는 게 골자다.
인허가 작업이 지지부진했으나 지난달 서울시로부터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관리처분계획인가 및 고시'를 받으면서 사업이 급물살을 탔다. 현재는 마포로5구역 10·11지구에 대한 정비계획 결정(변경) 안건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에 심의 상정된 상태다. 막바지 단계로 풀이된다.
사업 진척과 함께 브릿지론을 리파이낸싱하기 위한 절차도 수반됐다. 먼저 기존 유동화법인(엠에스중림제삼차·엠에스중림제사차·해피에셋제일차·해피에셋제이차)의 플랜이 종료되는 시기에 맞춰 '리멤버제일차'와 '민스크제일차', '진저레드제일차'를 새롭게 설립했다.
리멤버제일차와 민스크제일차는 각각 트랜치A(1450억원), 트랜치B(300억원) 대출채권이 기초자산인 유동화법인이다. 주관사인 키움증권이 대출채권 매입확약을 통해 리스크를 통제했다. 진저레드제일차는 트랜치D(650억원)의 유동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신용보강은 현대건설이 담당한다.
현대건설로서도 우발부채에 대한 부담을 덜게 됐다. 현대건설은 2020년부터 이노디앤씨와의 사업협약을 토대로 마포로5구역 10·11지구 사업에 신용보강을 제공해 왔다. 초창기 설정했던 PF 신용보강 규모는 350억원이다.
이후에는 사업 단계별로 신용보강 규모를 늘렸다. 직전 반기 보고서 기준으로는 현대건설이 마포로5구역 10·11지구 사업과 관련해 '엠에스중림제이차(215억원)', '해피에셋제이차(215억원)' 등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연대보증을 제공하고 있다는 내용이 공시돼 있다.
사업 주체인 이노디앤씨에서도 이른 시간 내 착공을 기대하는 모습이다. 남은 인허가 단계가 많지 않은 데다 자금 조달이 순탄한 게 주효하게 작용했다. 본PF 전환 시점은 브릿지론 만기가 다가오는 2024년 7월로 계획하고 있다. 착공 예정 시점은 2025년 상반기, 준공 예정 시기는 2029년 상반기다.
이노디앤씨 관계자는 "추가로 1~2번 정도의 인허가 단계를 거칠 시 무난한 착공이 예상된다"며 "2550억원 이후로는 브릿지론 규모를 늘릴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브릿지론 만기 시점에는 본PF 전환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시행 주체인 이노디앤씨는 지엘산업개발 계열이 지분 전량을 보유하고 있는 특수목적법인(SPC)이다. 지엘산업개발은 청진8지구에 '타워8'을, 청진12~16지구에 '그랑서울'을 개발하며 이름을 알린 바 있다. 현재는 '광주 초월역 한라비발디' 등 정비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넓힌 상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위지윅스튜디오, 이정재·정우성과 '와이더플래닛' 투자
- DS단석, 이르면 22일 코스피 입성한다
- '주주환원' 시노펙스, 주식배당 무상증자 결정
- 다이나믹디자인, 글로벌 타이어 피렐리 전략공급사 선정
- 더코디, 서울과기대 손잡고 'AI 에듀테크' 시장 진출
- [삼성 AI 로드맵]똑똑한 메모리 등장, 투자 공세 유지
- [AI 의료 기업 리포트]100억 매출 돌파 앞둔 뷰노, 못지킨 약속 달라진 전략
- [레디 포 6G]표준화 작업 앞장 SKT, 글로벌 6G 리더십 확보 몰두
- [라인게임즈 2.0 돋보기]어깨 무거운 '창세기전'…신임 경영진 첫 시험대
-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 추가 인력 충원에 쏠리는 이목
전기룡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밸류코퍼 시행·삼부토건 시공 물류창고, 임차인 '쿠팡' 확보
- '신용등급 원동력' 삼성물산, 기분양 사업장 자금조달 '착착'
- 미래인 시행 '르피에드 청담', 브릿지론 9개월 연장
- [건설사 인사 풍향계]'위상 격하' 롯데건설 CM본부, 상무급으로 수장 교체
- [시공사 신생조직 점검]현대엔지니어링, 경쟁력개선실 출범 1년
- 신동아건설, 35년 근속자에 소방수 역할 일임
- 삼성물산, 오세철 사장 유임 이어 임원인사도 '안정'
- 현대건설, 뉴에너지사업부에 '신재생·원자력' 역량 결집
- 제일건설, 검단신도시에 '제일풍경채' 브랜드타운 조성
- 유동성 늘린 금성백조, 신규 부지에 2000억 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