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I 포럼 2024]"새로운 장 열리는 인도네시아, 투자 매력 높아진다"최재유 인디스캐피탈 한국사업 대표 "해외 자본 유치 위한 정부 의지 적극적"
남준우 기자공개 2024-11-22 08:30:02
이 기사는 2024년 11월 21일 13:0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는 인도네시아 시장은 현재 해외 자본 유치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인디스캐피탈과 같은 현지 하우스들과 해외 투자자들 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전망한다."최재유 인디스캐피탈(Indies Capital) 한국사업 대표(사진)은 21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더벨 사모투자포럼(Private Markets Investment Forum)에서 이같이 말했다. 최 대표는 이날 '새로운 기회, 인도네시아'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최 대표는 최근 들어 투자 저변이 넓어지고 있는 인도네시아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강조했다. 특히 2000년대 초반까지 연간 최대 3억 달러였던 투자 집행 규모가 2023년에는 약 40억 달러까지 올라왔다. 고젝, 토코피디아 등 동남아시아 시장의 대표 유니콘 기업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최 대표는 "최근 5년 사이 유니콘 기업이 8개 이상 등장하면서 PE와 VC 투자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며 "3000만 달러 수준이었던 펀드 규모도 30배 이상 증가하는 등 투자 저변이 꾸준히 넓어지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는 구조적으로 펀딩 갭(Funding Gap)이 존재하는 시장이다. 동남아시아의 전체 GDP는 현재 약 3조 달러 이상의 규모를 자랑한다. 다만 경제 규모 대비 기업 자금 조달 채널은 굉장히 제한적인 상황이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GDP 대비 기업 대출이나 회사채 비중이 각각 31%, 52% 등에 불과하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이 빈틈을 크레딧 펀드들이 메우고 있다. 특히 동남아시아는 다른 지역보다 인플레이션율이 여전히 낮은 편이다. 시중 금리 변동성이 낮은 상황에서 크레딧 펀드가 누릴 수 있는 수익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평가다.
최 대표는 "동남아시아는 연평균 약 250만명 정도의 중산층들이 매년 신규로 유입되고 있다"며 "금리 변동성도 낮은 만큼 안정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미 많은 글로벌 하우스들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정부 역시 해외 자본 유치를 위해 적극적이다. 조코위 대통령에 이어 지난 10월 취임한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의 새로운 정책 역시 투자 매력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이다. 인도네시아는 싱가포르 테마섹과 유사한 형태의 통합 투자 관리 기관을 설립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석유 공사, 광산 공사 등을 포함한 다수의 공기업들을 '다야 아나가타 누산티라 투자 관리 기관(Danantara)'이라는 홀딩 컴퍼니로 편입시켰다. 현재 편입이 예정된 기업들의 자산 규모만 6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점진적으로 포함될 기업들까지 포함하면 자산 규모는 최대 900조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IPO나 해외 투자자 유치 등을 통해 해외 자본 유동성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자카르타 수도 이전 계획 등으로 인한 여러 대규모 인프라 투자에 대한 기회도 열려있다.
최 대표는 "인도네시아 투자에 관심이 큰 하우스들이 많지만 정보 부족으로 고민하는 경우가 꽤 있다"며 "노스 스타, 인디스 캐피탈 등과 같이 현지 사정을 잘 알고 있는 하우스들과 힘을 합친다면 좀 더 많은 투자 기회를 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 "제약·제조·화학이 M&A 시장 주도, 향후 관련 딜 활발해질 것"
- "경기침체, 기업 부실화에도 대체투자 기회 있다"
- "성숙기 맞이한 PE 시장, 세컨더리 딜 기회 늘어난다"
- "고금리 시대, 매크로 변수가 산업 성장성 결정할 것"
- “B2B 소프트웨어, 고금리 시기 유효한 장기 투자처"
- "카브아웃 딜, 중견기업서 활발…조직 관리 역량 갖춰야"
- "2024년 출자사업, 올해 규모 이상으로 진행될 것"
- "변동성 높은 경제 상황, 인프라 성격 투자 주목해야"
- 하재상 TSI 연구소장 "배터리 혁신소재로 성장동력 확보"
- "사모펀드 제도 개선 이후 2년, 법적 리스크 주의 필요"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
- [thebell note]카카오뱅크와 시중은행의 엇갈린 선택
- [thebell note]'신학기호' 수협은행에 걸린 기대
- 폴라리스오피스의 '성공적' M&A 행보
- [PMI 포럼 2024]"적대적 M&A, 법률적 적법성부터 면밀히 판단해야"
- [PMI 포럼 2024]"승계 고민 깊어지는 PE들, LP 신뢰 유지 집중해야"
- [PMI 포럼 2024]"새로운 장 열리는 인도네시아, 투자 매력 높아진다"
- [PMI 포럼 2024]"PE·VC 투심 전망 엇갈려, 건전한 자산 선택 중요"
- '싸움의 고수' 김앤장
- [thebell desk]한미의 오너, 한미의 대주주
- 밸류업 사각지대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PMI 포럼 2024]"승계 고민 깊어지는 PE들, LP 신뢰 유지 집중해야"
- [PMI 포럼 2024]"새로운 장 열리는 인도네시아, 투자 매력 높아진다"
- '실탄 5000억이 기준' 파라투스·골든루트, 호산테크 매각 IM 배포 시작
- '코아비스 매각 삼수' 한앤코, 해외 SI 주시하는 이유는
- '2차 클로징' MBK, 6호 펀드에 7조 몰렸다
- [2024 이사회 평가]새 주인 맞는 한온시스템, 이사회 어떻게 변할까
- [2024 이사회 평가]'막강한 오너 영향력' 신성델타테크, 이사회 '유명무실'
- 크레센도, HPSP '경영권 프리미엄 최소 30%' 전망 근거는
- '대형항공사 구상' 대명소노그룹, 3조 선수금 활용할까
- [2024 이사회 평가]'베인캐피탈이 품은' 클래시스, 아쉬운 '주주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