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관세전쟁]'제네릭·시밀러' 지지했지만…'MAGA'에 힘 잃은 기대감반중국 기조에 약가인하로 수혜 기대, 미국 자국보호 장벽에 봉착
김성아 기자공개 2025-02-05 08:38:59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4일 15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네릭 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 지원 정책을 지지하면서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기대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를 예고하면서 기대했던 반사이익은 어렵게 됐다.미국 내 생산을 독려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장려 정책에 따르기도 쉽지 않다. 미국을 타깃하는 국내 바이오 시밀러 기업들도 관세 장벽에 맞닥뜨리게 됐다. 트럼프 행정부 정책의 대전제가 ‘MAGA(Make America Great Again)’ 즉 미국 우선주의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신약 보다는 기회 많은 제네릭, 시장 확대는 ‘글쎄’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지난 1기 행정부에서 난항을 겪었던 최혜국 대우(MFN) 모델을 재도입할 전망이다. MFN 모델은 미국의 약가를 다른 OECD 국가들 중 최저 수준으로 제한하는 정책이다. 쉽게 말해 미국 내 의약품의 가격을 대폭 낮추겠다는 의미다.
MFN 모델 도입은 신약 기업에는 악재,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 개발 기업에는 호재다. 우선 신약은 그간 투입된 연구개발(R&D) 비용을 감안해 약가가 높게 책정된다. 반면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는 이미 개발된 기전에 따른 복제약이기 때문에 약효는 유사하지만 약가는 보다 낮게 책정된다.
특히 제네릭의 경우 팬데믹 이후 지속되고 있는 미국의 의약품 품귀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진다. 팬데믹을 겪은 트럼프 1기 행정부 역시 이 지점에서 제네릭 사용을 선호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MFN 모델 도입 시 신약의 수익성 감소에 의해 국내 제약사들의 신약 개발 투자 유인은 줄어들지만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 사용 촉진 기조로 관련 시장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업계는 실질적인 수혜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모든 형태의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전망은 더욱 어두워졌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결국 트럼프 행정부의 목표는 모든 산업을 자국화하는 것”이라며 “현재 자국 생산에 시간이 걸려 품귀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일부 의약품에 대해서는 단기적으로 제네릭 수입을 독려할 수 있지만 국산 제네릭 의약품의 미국 진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나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국 생산이 핵심, 품질 넘어 생산 경쟁력 확보 필요
제약바이오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가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바는 ‘자국 생산’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일련의 관세 조치는 모두 주요 산업에 대한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생산을 ‘자국화’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특히 현재 미국 시장 내 미국 기업 다음으로 허가 제품이 많은 국내 바이오시밀러 기업의 경우 매출의 상당 부분이 미국에서 나오기 때문에 정책에 따라 당장 타격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국산 바이오시밀러의 품질이 뛰어나다는 점은 수차례 받은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로 검증됐다”며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에서의 경쟁력은 품질과 가격은 기본이고 미국 내 생산 기지의 유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5년 임기의 트럼프 행정부를 타깃으로 생산 기지를 확보하는 것은 기업에게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이미 정부의 지원으로 미국 내 생산 기지를 건설하고 있는 일본 바이오 기업들이나 비교적 관세 부담이 적은 원료의약품 공급으로 입지를 다지고 있는 인도와의 경쟁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모든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점을 보면 결국 관세 부담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택하는 것이 생존 전략이 될 것”이라며 “업계와 정부가 소통을 통해 전략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지분 매각 끝 TCC스틸, 승계작업 본격화하나
- [i-point]폴라리스AI파마, 도메인 특화 AI ‘제약 ASK-Doc’ 개발 '박차'
- [IR Briefing]'전기차 전력변환 부품사' 모티브링크 “현대차와 인도 진출"
- [i-point]휴림로봇, 자율이동로봇 시장 확대 본격화
- [컨콜 Q&A 리뷰]'관세 태풍' 앞에 선 포스코, 일단은 '침착 모드' 유지
- [IR Briefing]LG화학, 'CAPEX' 또 줄인다...양극재 캐파 조정
- 'KDDX' 다시 고개드는 분할건조 "불가능" vs "선례 있어"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영풍-MBK, 순환출자 해소보다 법적대응 먼저 나선 배경은
- [Earning & Consensus]'최대 실적' 한국타이어, '영업익 32% 급증' 배경은
- 최태원 회장-올트먼 CEO 3차 회동…AI동맹 급물살타나
김성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신라젠, 'SJ-607' 첫 해외특허의 의미 '플랫폼 L/O 가능성'
- 존재감 돋보인 케이캡, 보령·종근당 실적 희비 갈랐다
- [트럼프발 관세전쟁]'제네릭·시밀러' 지지했지만…'MAGA'에 힘 잃은 기대감
- [오름테라퓨틱 IPO]'DAC' 선두여도 밴드입성 불발, 첫 도전 시총 절반 4000억
- [동국생명과학 IPO]탄탄한 매출도 역부족, 수요예측 부진에 공모가 줄었다
- 이오플로우, 오너 지분 담보 'NPE'에 유휴자산 매각
- [바이오 스펙트럼 리포트]폴리우레탄서 싹 튼 소재 바이오, 동성케미컬 '제네웰'의 도전
- [바이오 스펙트럼 리포트]동성케미컬, 바이오플라스틱 가능성 겨냥 '생태계' 조성 주목
- SK바이오팜 이동훈 대표의 셔틀경영, 올해는 키닥터 공략
- 8000억 부채상환 약속지킨 삼성바이오로직스, 다시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