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리포트]'영업손실' 신세계건설, 이자비용·미수금 감축 '과제'매출총손실 전년 대비 73.5% 감소, 매출채권 현금화 통한 현금유입 '절실'
이재빈 기자공개 2025-02-21 07:28:31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0일 15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세계건설이 영업손실 폭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110%를 상회했던 매출원가율이 전년 대비 개선된 효과다. 그룹의 지원으로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는 등 재무건전성 개선 작업에 매진하면서 부채비율과 유동비율도 크게 개선됐다.다만 이자비용 상승으로 인한 순손실 증가는 뼈아픈 대목이다. 미수금과 매출채권 증가로 인한 현금흐름 악화 문제도 전년 대비 심화됐다. 매출총손실이 줄긴 했지만 여전히 100%를 웃돌고 있는 원가율도 개선이 필요하다.
◇영업적자 1935억→1341억, 부채비율·유동비율 대폭 개선
20일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건설은 지난해 연결기준 1341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손실을 기록하기는 했지만 마이너스(-) 1935억원이었던 전년 대비로는 적자 폭이 줄었다.
적자폭 감소의 일등공신은 원가율 개선이다.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매출총손실은 2023년 1455억원에서 2024년 385억원으로 73.5% 감소했다. 매출액은 1조4154억원에서 9550억원으로, 매출원가는 1조5609억원에서 9935억원으로 줄었다. 매출원가율은 110.3%에서 104%로 6.3%포인트(p) 개선됐다.
신세계건설 관계자는 "지난해에도 주요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이 지속되는 등 원가부담 요인이 지속되면서 영업손실이 발생한 것"이라면서도 "전사적인 원가절감 노력과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손실 규모를 축소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재무건전성도 크게 개선됐다. 2024년 말 기준 부채비율은 209.1%로 951.5%였던 전년 말 대비 742.4%포인트(p) 감소했다. 부채총계는 1조1418억원에서 1조1713억원으로 횡보했지만 자본총계가 1200억원에서 5602억원으로 4.7배 증가한 효과다.
지난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면서 자본총계를 크게 확대할 수 있었다. 신세계건설은 지난 5월 6500억원 규모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다. 만기가 30년으로 설정된 채권이지만 회계상 자본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재무적으로는 자본이 확충되는 효과가 있다.
부채 중 장기차입금 비중도 확대됐다. 부채총계가 횡보한 가운데 만기가 비유동부채로 분류되는 회사채는 1700억원에서 2398억원으로, 장기차입금은 42억원에서 1500억원으로 늘었다. 2025년 이후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의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상환부담이 전년 대비 줄어든 셈이다.
유동비율이 개선된 점도 신세계건설의 지급여력 개선을 방증하고 있다. 2024년 말 기준 유동비율은 210.4%로 72.8%였던 2023년 말 대비 137.6%포인트(p) 개선됐다.
◇이자비용 증가에 당기순손실 확대, 현금흐름 재무활동에 의존
영업손실 규모는 줄었지만 당기순손실은 1585억원에서 1784억원으로 12.6% 늘었다. 이자비용이 183억원에서 460억원으로 2.5배 급증했기 때문이다. 신종자본증권 발행으로 인해 이자비용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신세계건설이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의 이자율은 7.078%로 책정됐다.
매출채권과 미수금, 미청구공사가 늘어난 점도 개선이 필요하다. 매출채권 규모는 4437억원에서 5669억원으로 27.8% 늘었다. 2024년 말 기준 미수금과 미청구공사는 990억원과 406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말 수치는 각각 137억원과 280억원이다.
매출채권과 미수금, 미청구공사 증가는 공정률 진척이 실제 현금 유입으로 이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건설사는 공정 진행률만큼 매출을 인식한 후 해당 수치에서 원가를 빼 영업이익을 산출한다. 하지만 발주처는 공정률에 따라 즉각 현금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매출 인식과 현금유입 시점에 괴리가 발생한다.
영업활동 현금흐름 지표도 신세계건설이 공사비를 제때 수령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마이너스(-) 4758억원으로 집계됐다. 마이너스(-) 1755억원이었던 2023년 말보다 현금흐름이 더 악화된 상태다.
다만 현금성자산 규모는 전년 대비 크게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5751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말 대비 342.7% 증가한 수치다. 신세계건설이 2025년 한해 동안 상환해야 하는 유동부채 7430억원의 77.4%에 달한다.
재무활동을 통해 현금을 확보한 결과다. 2024년 말 재무활동현금흐름은 7290억원이다. 항목별로는 신종자본증권 발행으로 6109억원, 장기차입금 조달로 2000억원, 회사채 발행으로 1997억원을 확보했다.
신세계건설 관계자는 "현재 사업장 전반에 걸친 리스크를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중"이라며 "채권 회수와 미분양 해소,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리 등의 업무를 전담하는 조직을 통해 사업을 세밀하게 관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미술품 증권신고서 분석]아티피오, 투자증권 정정 후 통과…핵심은 '배당소득세'
- [i-point]소룩스 "주가하락 반대매매 탓, 임상·합병 추진 계속"
- [i-point]아이티센 "금 품귀 현상, 조각투자·개인거래 등 대안 주목"
- 무뇨스 현대차 사장, 첫 타운홀 미팅…'3H 청사진' 의미는
- '현대엔지 시공' 신광교 클라우드시티 '반도체 수요 겨냥'
- 에스이인터, ‘젤라또피케’ 브랜드 안착…사업 다각화 순항
- [에이유브랜즈 IPO]무신사 플랫폼 동반성장, 브랜드 발굴 '성공작' 나올까
- [주주총회 프리뷰]주주서한 받은 농심, '기업가치 정상화' 요구 배경은
- [Company Watch]현대지에프홀딩스, 재무 청사진 '순차입금 20% 감축'
- [IR Briefing]이광후 모니터랩 대표 "SaaS 플랫폼 비즈니스 집중"
이재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리포트]'영업손실' 신세계건설, 이자비용·미수금 감축 '과제'
- [thebell note]신탁사 건전성 규제, 꼭 지금이어야 하나
- 이지스, 안산 데이터센터 개발 자금조달 '마무리'
- 마스턴운용, 리츠 수장에 이동준 전 KT투자운용 대표
- [PF Radar]이지스운용, 디큐브시티 리모델링 자금 2500억 확보
- [PF Radar]롯데건설, 이천 CJ물류센터 개발사업 전략 '재검토'
- [PF Radar]캡스톤자산운용, 부천 IDC 시공사 선정 '착수'
- KB부동산신탁, '책임준공 지연' 소송 잇따른다
- [PF Radar]호반 신용보강 산업단지, 우발부채 현실화 우려
- 코오롱글로벌, 만기 10개월 남은 차입금 '조기상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