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중앙회 차기 리더는]회추위·선관위 구성, 회장 선임 절차 본격 '돌입'이르면 4월 초 총회서 차기 회장 선출…하마평 감감, 오화경 회장 단독 추천 가능성도
유정화 기자공개 2025-02-25 10:50:56
[편집자주]
제20대 저축은행중앙회장을 뽑는 선거 레이스가 시작됐다. 저축은행은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확대와 소비시장 경색으로 인한 차주 상환능력 저하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탄핵정국 속 정치적 불확실성마저 확대되면서 업권의 구심점 역할을 할 차기 회장 자리에 시선이 쏠린다. 더벨은 3년간 저축은행중앙회를 이끌 차기 회장 인선 절차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1일 07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저축은행중앙회가 차기 회장 선출을 위한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와 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를 구성했다. 후보자 등록 일정, 선임 방식 등은 추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통상 선거일 기준 40일 전에 회추위·선관위가 구성되는 만큼 이르면 4월 초 차기 회장이 가려질 전망이다.당초 탄핵 정국 속 마땅한 후보자가 나오지 않으면서, 차기 회장 선일 일정이 장기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이런 상황 속 차기 회장 선임 절차가 시작되면서 오화경 현 저축은행중앙회장(사진)의 연임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회추위 7인·선관위 5인, 구성원은 비공개
회추위 구성원은 공개되지 않았다. 차기 회장 선임 절차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판단이다. 기존 저축은행중앙회 회추위는 각 지역권역을 총괄하는 지부장 2명, 중앙회 이사사 대표 2명, 사외이사 2명, 전임 회장 등 7명으로 구성됐다.
전임 회장 자리에는 전직 중앙회장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연임 도전 가능성을 열어둔 셈이다. 한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회추위는 후보자 등록을 받아 적격성을 따져 총회에 추천하는 역할을 하는데, 후보자에 등록할 인물이 회추위에 포함되는 게 형평성에 맞지 않다고 봤을 것"이라고 말했다.
회추위와 선관위는 추후 선거 일정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이사회와 당국 간 조율 과정을 밟고 차기 회장을 선출할 총회에 79개 저축은행 대표가 모여야 하기 때문에 해서 당장 일정을 확정 짓기 어려웠던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저축은행중앙화는 통상 선거일 기준 40일 전 회추위·선관위를 구성한 만큼 이르면 4월 초 차기 회장 선임 절차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선거일 14일전까지 입후보자를 공고하고 선거 당일 79개 중앙회 회원을 모아 총회를 열어 투표한 뒤 당선자를 가린다.
◇탄핵정국 속 36년 만 연임 가능성 커져

오 회장이 연임에 성공할 경우 명동근 5·6대 저축은행중앙회장 이후 36년 만에 연임 기록을 잇게 된다. 저축은행중앙회 출범 이후 회장이 연임한 사례는 역대 16명의 회장 중 최병일 회장(임기 1975~1981년)과 명동근 회장(임기 1983~1989년) 등 2명에 불과하다. 저축은행중앙회장은 규정상 횟수 제한 없이 연임이 가능하다.
오 회장에 대한 업계 평판도 우호적이다. 임기 동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79개 저축은행 대표는 물론 금융당국과 적극적으로 소통했다는 평가다. 가령 저축은행들이 지난 2023년 대규모 순손실을 기록하자 오 회장이 이례적으로 실적 설명회를 개최해 시장의 우려를 축소한 바 있다.
올해 최우선 목표로 저축은행 자산건전성 제고를 꼽았다. 오 회장은 신년사에서 “저축은행 자산건전성 제고를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하며 경·공매 지원, 공동매각 지원, 부실채권(NPL) 회사 설립 등을 건전성 제고 방안으로 제시했다. 20일 열린 이사회에선 NPL 자회사 설립, 3차 공동펀드 조성 등 안건도 논의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이창용 한은 총재, '1%대 성장률' 지속 우려에 작심발언
- [thebell interview]"AI 핵심은 인프라SW…모레, 넥스트 딥시크 만들 것"
- [thebell interview]"크립톤, 'AC 이정표' 될 것…AUM 1000억 도전"
- [심플랫폼 Road to IPO]깐깐해진 시장 눈높이…'섹터 매력·공모액' 합격점
- [다시 돌아온 초록뱀 그룹]전방위 영토확장, 이번엔 가상자산 간접투자 단행
- 'EUV PR 국산화 큰별' 이부섭 동진쎄미켐 회장 별세
- [Red & Blue]한빛레이저, 로봇 배터리에 유리기판까지 '겹호재'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DGB금융, CET1 개선 'RWA 리밸런싱'에 달렸다
- [우리금융 내부통제 리뉴얼]부실 원인 지목된 '성과·온정주의' 수술대 올린다
- [새마을금고 생크션 리스크]충북·경기·전북 지역금고 10곳 중 1곳, 법·규정 '위반'
유정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새마을금고 생크션 리스크]충북·경기·전북 지역금고 10곳 중 1곳, 법·규정 '위반'
- [저축은행중앙회 차기 리더는]회추위·선관위 구성, 회장 선임 절차 본격 '돌입'
- [새마을금고 생크션 리스크]첫 이사장 직선제 돌입, 부실·방만경영 종식될까
- [저축은행경영분석]푸른저축, 반토막 순익 불구 과감한 '고배당' 속내는
- [이사회 분석]IBK저축, 7인 이사진 체제 재구축…내부통제위 '재편'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두 저축은행 엇갈린 전략…실적 개선 키는 '중금리·IB'
- [새마을금고 생크션 리스크]부실 초래한 동일인 대출한도 위반, 여전히 '횡행'
- [J트러스트 계열사는 지금]'전략통' 박중용 대표, 경영 핵심 키워드는 '기업금융'
- 우리금융저축, 새 재무수장에 '재무통' 이정묵 상무
- [새마을금고 생크션 리스크]감독 부실이 만든 '불법 지대'…도덕적 해이 '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