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플로 모니터]LGD, 원가 절감·보수적 투자 결실…잉여현금흐름 개선1년만에 2조 개선, 2.2조 순상환…LCD 공장 매각 대금 유입도 예고
박기수 기자공개 2025-03-06 08:08:38
[편집자주]
기업의 안정성을 보는 잣대 중 가장 중요한 것 하나는 '현금'이다. 현금창출능력이 뛰어나고 현금흐름이 양호한 기업은 우량기업의 보증수표다. 더벨은 현금이란 키워드로 기업의 재무상황을 되짚어보는 코너를 마련했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8일 14시37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디스플레이가 작년 원가 절감과 보수적 투자 전략을 통해 손실 폭을 줄이고 현금흐름을 확보하는 등 성과를 보였다. 특히 자본적지출(CAPEX)을 통제하면서 확보한 현금 여유분으로 차입금을 상환하는 등 재무구조 개선에도 나섰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중심의 사업구조 고도화 작업도 착실히 진행 중이다.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작년 연결 기준 영업활동현금흐름으로 2조4418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1조6827억원 대비 43% 증가한 수치다. 영업손익의 경우 2023년 -2조5102억원에서 작년 -5606억원을 기록하는 등 손실 폭을 줄였다.
잉여현금흐름(FCF)은 작년 연결 기준 -5048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2조4721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년 만에 약 2조원가량 개선한 셈이다.

작년 영업활동현금흐름 개선 요인은 영업손실 폭 감소다. 매출원가율의 경우 2023년 98%에서 작년 90% 수준으로 낮아지는 등 원가 절감 노력이 돋보였다. 2023년과 작년 LG디스플레이의 매출원가는 각각 20조9856억원, 24조399억원이다. 매출은 2023년과 작년 각각 21조3308억원, 26조6153억원을 기록했다.
여기에 감가상각비 등 고정비 효과 등이 반영되면서 2023년 대비 작년 영업현금흐름 개선세를 보였다. 장치 산업군에 속하는 디스플레이 산업은 전체 비용 구조 중 감가상각비 등 고정비 비중이 높다. 3분기 누적 기준 2023년 감가상각비는 3조737억원이었다. 작년에는 27% 늘어난 3조9023억원을 기록했다. 실제 현금 유출이 없는 비용인 감가상각비가 많아질수록 현금흐름 상에는 플러스(+) 효과가 있다.
FCF 개선에는 CAPEX 감소 효과가 돋보였다. 꼭 필요한 곳에만 투자를 집행하는 보수적 투자 전략이 빛을 본 셈이다. 작년 LG디스플레이의 CAPEX는 2조29166억원으로 2023년 4조1548억원 대비 1조2383억원 감소했다.
CAPEX는 감소했지만 OLED 중심의 사업구조 고도화라는 목표는 일정 부분 달성했다. LG디스플레이에 따르면 OLED 사업 비중은 2020년 32%, 2022년 40%에서 작년 55%까지 상승했다. 대형 사업부 내 OLED 매출 비중은 2020년 49%, 2022년 61%에서 작년 65%까지 높아졌다.
잉여현금흐름 개선으로 발생한 또 하나의 긍정적 현상은 차입금 감소다. 2023년까지만 하더라도 LG디스플레이는 한 해 1조3850억원의 순차입을 일으켰다.
다만 작년에는 순차입이 아닌 '순상환' 기조로 바뀌었다. 작년 한 해 LG디스플레이는 2조2332억원 규모의 차입금을 순상환했다. LG디스플레이의 작년 말 총차입금은 14조6189억원으로 2023년 16조7021억원 대비 12.5% 감소했다.
올해 1분기에는 작년 결정된 광저우 LCD 공장 매각 대금이 유입되면서 현금흐름과 재무구조에 추가 개선이 기대된다. LG디스플레이는 작년 중국 광저우 대형 LCD 패널 및 모듈 공장 지분을 중국 패널 업체인 CSOT에 2조256억원에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신성이엔지, 한국종합기술·다스코와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약
- [i-point]신테카바이오, 'PEGS 보스턴 2025' 참가
- [AACR 2025]첫 구두발표 진씨커, 경쟁사 넘보는 '유전자가위 액체생검'
- [AACR 2025]이뮨온시아 'CD47' 안전성 굳히기 "경쟁약과 다르다"
- [AACR 2025]항암 신약 항체 대신 '페라틴', 셀레메디 플랫폼 데뷔전
- [AACR 2025]근거 쌓는 '루닛 스코프' 빅파마 공동연구 쇼케이스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변화의 마지막 카드, 경영진 교체 '강수' 두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경영 리스크' 누적, 콜마홀딩스 '책임경영' 본격화
- [i-point]소니드, 부동산·자회사 매각 "유동성 확보·체질 개선"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FOs View]캐즘 저물어가나…배터리·양극재 업체들의 전망은
- [저평가 시그널: PBR 0.3]'자산 절반이 현금' 태광산업, 오너 부재 여파 컸다
- [저평가 시그널: PBR 0.3]롯데그룹, '양대 축' 유통·화학 저평가 타개책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소명해야 할 것
- [조선업 리포트]삼성중공업, 3년만에 FCF '플러스' 전환…4883억 순상환
- [조선업 리포트]삼성중공업, 관과의 '연결 고리' 강화
- [밸류업 성과 평가]DB손보, 금융권 2위…메리츠에 모자랐던 '한 끗'은
- [밸류업 성과 평가]포스코홀딩스, 업황 악화에 고전…밸류업 '하위권'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