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폐암 치료 새로 쓴다 "절반 이상 환자 생존" 3월 유럽폐암학회 초록 공개, 전체생존기간 중앙값 더 길어질 전망
정새임 기자공개 2025-03-20 11:29:13
이 기사는 2025년 03월 20일 11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한양행이 글로벌 빅파마 존슨앤드존슨(J&J)에 기술수출한 폐암 신약 '렉라자'가 '리브리반트'와의 병용요법에서 괄목할 성적을 냈다. 50개월 남짓으로 예상됐던 전체생존기간(OS)이 더 길어질 전망이다.유럽폐암학회(ELCC)는 3월 26일 학회 개최를 앞두고 초록을 공개했다. 프랑스 현지시간을 고려해 초록은 20일 오전부터 확인할 수 있다.
초록엔 유한양행과 J&J의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의 OS 지표도 포함된다. 앞서 J&J가 1년 이상의 생존기간 개선을 예고하며 자신감을 드러낸 데이터다. 해당 임상은 MARIPOSA 글로벌 3상으로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과 현재 강력한 경쟁약물인 타그리소를 각각 비교했다.

OS는 치료를 시작한 이후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걸린 시간이다. 치료의 궁극적 목적은 결국 환자의 생존기간을 늘리는 것이므로 생존기간 연장은 신약을 선택하는 중요한 잣대가 된다.
최종 데이터가 올해 ELCC에서 발표될 것으로 점쳐졌다. 20일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OS는 더 길어질 것으로 점쳐진다. 현재까지도 렉라자+리브리반트의 OS 중앙값이 산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초록은 "아직 렉라자+리브리반트의 OS 중앙값이 측정되지 않았다"며 "여전히 절반 이상 환자가 생존한 상태"라고 밝혔다.
OS는 환자별 편차가 크기 때문에 평균값이 아닌 중앙값으로 계산한다. 100명 환자를 대상으로 하면 50번째 환자가 사망하는 시점이 중앙값이 산출되는 시점이다.
대조군인 타그리소군의 경우 중앙값이 37.3개월로 기록됐다. 약 3년간 절반의 환자가 생존했다는 의미다. 지난해 9월까지 렉라자+리브리반트의 OS 중앙값은 산출되지 않은 상태였다. ELCC 발표 시점에 중앙값이 나올 것으로 예측됐지만 이번 발표 때까지도 여전히 절반 이상 환자가 생존한 상태다.
이미 37.8개월 추적관찰 시점에서 렉라자+리브리반트는 타그리소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OS 개선을 입증한 상태였다. 36개월 시점에서 렉라자+리브리반트 치료군에선 60%의 환자가 생존한 반면 타그리소군은 51% 환자가 생존했다.
3년 이상 추적관찰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렉라자+리브리반트 앞으로 관전 포인트는 렉라자+리브리반트가 환자의 생존기간을 어디까지 늘릴 수 있을 것인지다. 이는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렉라자+리브리반트가 새로운 이정표를 쓰고 있다는 의미를 지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배터리솔루션즈 "IPO 계획 변함없다"
- 다나와 "그래픽카드 거래액 증가…신제품 출시 효과"
- 한화에어로, 동유럽 생산 '현지화'...내년에 자금 80% 투입
- [변곡점 맞은 해운업]매각 포석?...SK해운, 몸집 줄이기 돌입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새출발' 인베니, 투자·배당이익 선순환 집중
- [에쓰오일 밸류업 점검]미래투자·수익성 저하에 줄어든 '배당인심'
- [변곡점 맞은 해운업]'HMM과 협상' SK해운, 수익성 개선 '뚜렷'
- '천주혁호' 크레이버, 첫 행보는 '스킨천사' 흡수합병
- 에스엔이바이오, 엑소좀 급성뇌경색 치료제 임상 승인
- [경동나비엔은 지금]보일러·온수기 노하우, '240조 시장' HVAC에 녹인다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이뮨온시아 IPO]의사에서 경영자로, '국산 항암 신약' 비전으로 뭉친 '원팀'
- "BBT-877 적응증 재탐색" 대응 나선 브릿지바이오
- [인투셀 IPO]상장 주관사에 후한 보상, 10% 신주인수권 별도 지급
- 브릿지바이오, 'BBT-877' 유효성 불발…멀어진 기술이전
- [이뮨온시아 IPO]기술이전 기반 시총 2000억 겨냥, 기댈 구석 'IMC-002'
- [thebell note]달라지는 제약사 주총
- [인투셀 IPO]58% 불안한 '오버행', 우려 덜어준 '리가켐·광혁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