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인더스트리

브릿지바이오, '법차손' 못피한 이유 "BBT-877 풀악셀" 이정규 대표 "비용 절감 노력에도 역부족, 연내 BBT-877 기술이전 목표"

김성아 기자공개 2025-03-27 07:44:33

이 기사는 2025년 03월 26일 18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관리종목 지정 사실에 대해 입을 열었다. 상장 유지 조건 충족을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피치 못할 이유가 있었다는 것이 이번 기업설명회(IR)의 핵심이다.

그 이유는 핵심 파이프라인 BBT-877이다. 브릿지바이오는 허리띠를 졸라맸지만 BBT-877 임상만은 계획대로 진행돼야 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연내 BBT-877의 기술이전 성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브릿지바이오는 내년 상장폐지 심사 대상이 된다.

◇절반 이상 줄인 영업비용, 피하지 못한 '법차손'

브릿지바이오는 26일 오후 4시 국내 기관투자자와 개인투자자, 언론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IR을 개최했다.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 비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지 닷새만이다.

2019년 기술특례상장 기업으로 상장한 브릿지바이오는 2022년 법차손 특례 기간이 만료됐다. 2021년부터 50%를 넘어갔던 법차손 비율은 4년째 50%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브릿지바이오는 비용을 줄이고 자본을 늘리는 등 법차손 요건을 맞추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개발이 지지부진했던 BBT-209 등을 반환하고 R&D 파이프라인은 우선순위 조정을 통해 비용을 최소화했다. 경상연구개발비는 2023년 253억원에서 88억원으로 대폭 줄었다. 주주배정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본도 늘렸다.

이러한 노력에 영업비용은 전년 대비 53% 줄었고 자기자본은 40% 늘었다. 하지만 법차손 비율을 맞추기는 역부족이었다. 지난해 법차손 비율은 72.3%로 전년 대비 142.9%p 줄었지만 여전히 50% 선을 돌파하진 못했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 대표는 "여러 노력에도 관리종목에 지정돼서 대단히 죄송하다"며 "최대한 비용 절감을 노력했지만 중요한 과제들은 비용을 절감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BBT-877 기술이전 "재무 개선·R&D 가속화 발판"

브릿지바이오가 비용을 절감할 수 없었던 프로젝트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BBT-877과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BBT-207이다. 특히 계열 내 최초 신약(First-in-class)으로 개발 중인 BBT-877의 경우 '풀 스피드'를 내야만 했다는 설명이다.

브릿지바이오의 핵심 수익원은 기술이전을 통한 계약금과 마일스톤이다. 2019년 베링거인겔하임과의 1조5000억원 규모 BBT-877 기술이전 딜로 매출 기반을 마련했지만 이듬해 반환되며 안정적인 수익원이 사라졌다.

2018년 대웅제약에 아시아 22개국 권리를 넘겼던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후보물질 BBT-401 등의 마일스톤 유입도 지연되고 있다. 브릿지바이오 입장에서는 빠르게 데이터를 확보해 추가 기술이전 딜을 만드는 것만이 생존을 위한 유일한 방법인 셈이다.

BBT-877은 지난 2월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5개국 임상 2상을 마무리하고 데이터 정제 작업을 진행 중이다. 4월 중 탑라인 데이터를 확보하고 본격적인 기술이전에 나선다.

이 대표는 "탑라인 데이터가 나오면 본격적으로 텀싯을 체결하고 신속히 기술이전 성과를 만들어 낼 것"이라며 "이전에 했던 딜보다 훨씬 좋은 조건으로 딜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추정 약효의 근거로 사용되는 핵심 1차 지표인 '노력성 폐활량(FVC, Forced Vital Capacity)'의 변화량은 작년 12월말 기준 평균 -44.3mL로 나타났다. 기존 경쟁 약물 임상들에서의 위약군 피실험자들이 보인 폐활량 감소폭(약 -104~-134mL) 대비 회복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대표는 "신속한 기술이전을 통해 관리종목을 넉넉히 탈피할 수 있을만큼 재무역량을 가화하겠다"며 "선택과 집중으로 개발 속도를 늦췄던 과제들의 임상 개발 역시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