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SK-CJ 빅딜, 갈 길 많아" IPTV 신규 서비스 행사서 입장 밝혀..C&M 인수전 참여 답변 안해
김경태 기자공개 2015-11-06 08:19:03
이 기사는 2015년 11월 05일 12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와 CJ의 빅딜로 국내 유료방송산업이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LG유플러스가 IPTV 신규서비스를 내놓으며 대응에 나섰다. 행사에서 LG유플러스는 앞으로 SKT의 인수합병(M&A)이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했다.안성준 LG유플러스 컨버지드홈사업부장(전무)은 SK와 CJ의 빅딜에 대해 "합병이 된다는 전제 하에 어떻게 시장이 재편될 것인지 판단하는 것은 빠르다고 본다"면서 "이번 SKT의 인수는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의 승인을 받아야 되고 변경허가를 득해야 하는 등 갈 길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케이블은 권역단위이고 IPTV는 전국단위의 허가를 받는데, 이 두 사업을 동일 법인에서 하는 것이 맞는 가 의문을 가지고 있다"면서 "'그럼 대기업이 방송까지 다하네'라고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SKT의 무선시장에서의 절대적 지위가 전이되는 것이 공정한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열린 신규서비스 론칭행사에서 C&M 인수전과 관련한 질문이 나왔지만 답변하지 않았다. 앞서 SKT는 2일 오전 이사회를 개최하고 CJ오쇼핑이 보유한 CJ헬로비전 지분 30%를 5000억 원에 인수하기로 결의하자 관련 업계는 이목은 M&A시장에 이미 매물로 나와있는 C&M에 집중됐다.
C&M의 새 주인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유료방송시장이 다시 한번 재편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 SK와 CJ의 빅딜로 인해 SK그룹군의 유료방송 시장 점유율은 단번에 26%로 뛰어올라 KT그룹군의 29.2%와 대등하게 되지만, 경쟁사가 C&M을 인수하면 시장 판도는 또다시 요동치게 된다.
CJ헬로비전 매각이 발표된 후 시장에선 이번 딜로 인해 C&M 매각에 암운이 드리워지게 됐다는 부정적 전망이 먼저 나왔었다. C&M의 잠재 인수후보로 꼽히던 SK그룹과 CJ그룹을 후보군에서 잃게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가 오히려 C&M 매각에 도움이 될 것이란 의견을 내놔 눈길을 끌었다. 이번 딜을 계기로 유료방송시장 재편 움직임이 본격화된 만큼 그간 C&M 인수전을 관망해 온 업체들이 위기의식을 느끼고 C&M 인수를 적극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Art Feed]1000억 짜리 자코메티 조각 공개…삼성 리움미술관 소장품전
- [영상]'황제주' 등극 삼양식품…불닭으로 어디까지 가나
- [i-point]대동, 새만금서 '정밀농업 솔루션' 고도화 협력 추진
- [Sanction Radar]반복된 코인거래소 전산장애…DAXA 차원 대응책 마련
- 엑스페릭스, 'ID4Africa 2025'서 초박형 광학식 지문스캐터 공개
- [thebell interview]"수익성 개선 집중, 포트폴리오 다각화 자신"
- [i-point]폴라리스오피스·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AI 기반 IP 투자 생태계 조성
- [Company Watch]삐아, 물류 법인 '삐아서비스' 설립 배경은
- [thebell interview]채이배 소장 “세금 행정 불합리 개선 노력할 것"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감사의견 적정'시큐레터, 1년 개선기간 행보 주목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삼성D, 코닝 주식 매각 '복잡해진 셈법'
- LK삼양, 신제품·신성장동력 힘 가시화 '반전 집중'
- SK, SK마리타임 합병 관련 조세심판 기각
- [삼성 빅딜 리부트]여유 없는 매도자 상황 노린 '영리한' M&A
- [삼성 빅딜 리부트]국내는 좁다…8년만 대형 M&A도 '크로스보더'
- [미국 로비활동 점검]삼성SDI 미국법인, 인하우스 조직 '분주'
- 크레센도, HPSP 리캡 'LP 중간회수·제값받기' 포석
- [IR Briefing]'저점 확인' 카카오, 비핵심사업 정리·슈퍼앱 진화 초점
- 하만에 오디오사업 판 마시모, 매각대금 '주가 부양' 투입
- 삼성 하만, 마시모 오디오 인수 'B2C·B2B' 대폭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