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캐피탈, 지방지주 계열 중 나홀로 '뒷걸음질' 순익 감소..위험 큰 포트폴리오 편중
원충희 기자공개 2016-04-14 10:26:20
이 기사는 2016년 04월 12일 14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쾌속 질주하던 지방금융지주 계열 캐피탈 3사 중 DGB캐피탈이 유일하게 순익에서 뒷걸음질 쳤다. 산업기계 리스 등에서 발생한 부실로 대손비 부담이 증가한 탓이다. 올 들어 경기침체에 따라 리스크가 커지는 기계류 금융에서 탈피해 경영 틀을 자동차금융 위주로 바꾸려는 것도 이 때문이다.12일 업계에 따르면 DGB캐피탈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54억 원으로 전년(85억 원)대비 37% 감소했다. 같은 기간 BNK캐피탈이 363억 원에서 436억 원으로, JB우리캐피탈 305억 원에서 612억 원으로 증가한 것과 대조된다. 지방금융지주 계열 캐피탈 3사 중 DGB캐피탈만 유일하게 순익이 떨어졌다.
원인은 공작·산업기계 리스 등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이다. 2014년만 해도 23억 원이던 부실여신(회수의문+추정손실)은 지난해 104억 원으로, NPL(고정이하여신)은 85억 원에서 195억 원으로 급증했다. 이로 인해 대손충당금도 87억 원에서 201억 원으로 적립액이 크게 늘었다.
|
지방금융지주 계열 캐피탈 3사 중에서 DGB캐피탈만 순익이 감소한 이유는 자산 구성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BNK·JB우리캐피탈은 작년 말 기준으로 총자산의 50% 이상을 자동차금융 등 안전자산 위주로 구성해놓고 있다. BNK캐피탈은 2013년 말 1조2845억 원이던 자동차금융 자산을 지난해 말 2조2178억 원으로, JB우리캐피탈은 2조9768억 원에서 4조6798억 원으로 늘렸다.
자동차는 중고시장이 잘 발달돼 있는 등 범용성이 좋고 실수요자 사용률이 높아 부실율이 낮은 자산으로 통한다. 더불어 자본시장이 경직돼 자금조달이 힘들어지면 자동차금융 자산을 유동화 하는 방식으로 조달할 수 있어 쓰임새도 많은 편이다.
반면 DGB캐피탈은 작년 말 기준으로 경기침체에 취약한 사업자 대상 산업기계류 리스가 자산의 30%, 기업대출이 36%에 이르고 있다. 자동차금융 비중은 오토론(자동차대출) 등을 포함해 1.9%(228억 원)에 불과하다.
산업기계류는 범용성이 떨어져 중고처리가 힘든데다 경기를 민감하게 타는 분야다. 공작기계 및 의료기기는 상황이 더 안 좋다.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중고수요가 제한적이다. 게다가 건당 액수가 커 한건의 부실로도 떼이는 금액이 상당하다. 리테일(소매)에 해당하는 자동차금융처럼 소액으로 리스크 분산이 쉽지 않다는 뜻이다.
캐피탈사 관계자는 "산업기계 리스에서 부실이 날 경우 처분해 회수할 수 있는 시장이 미비하다"며 "자동차처럼 범용이 아니고 산업용으로밖에 쓸 수 없을 정도로 용도가 한정돼 있어 자금회수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DGB캐피탈이 지난 2월 4일 열린 ‘DGB금융지주 경영실적 컨퍼런스 콜'을 통해 자동차금융 비중을 높이겠다고 발표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재영 DGB캐피탈 대표는 작년 8월 취임하자마자 자동차금융 영업조직 구축에 매진, 인프라를 갖추고 인력을 보강했다. 현재 다이렉트, 중고차, 신차 등 자동차금융 관련 5개 팀이 본격적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또 자동차금융 자산 2000억 원 달성을 올해 목표로 제시했다. 총자산의 15%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젠 조직도 다 갖춰졌고 영업에 매진할 수 있는 분위기가 됐다는 판단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LP Radar]산은, 상반기 혁신성장펀드 위탁운용사 7곳 최종 선정
- 씨앤씨인터내셔널, ‘코스모프로프 월드와이드 볼로냐 2025’ 참가 성료
- 이창환 얼라인 대표, 코웨이 자료 놓고 "FCF냐 OCF냐"
- 밸런스히어로, 눈에 띄는 성장세 IPO '청신호'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대표 하우스' 타임폴리오 물만났다…'국장' 집중 모드
- 한국증권, GWM-PB라운지 '투트랙' 전략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메테우스운용, '김정현 운용부문장' 새 대표 낙점
- "리빙트러스트 발족, 하나금융 유언대용신탁 명망 잇는다"
- JB운용, '머큐어 앰배서더 홍대' 인수 눈앞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
- [Board Change]삼성카드, 새로운 사내이사 코스로 떠오른 '디지털'
- [Board Change]삼성증권, 이사회 합류한 박경희 부사장…WM 위상↑
- [Board Change]삼성생명, 3회 연속 CIO 사내이사 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