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산업, 이익률 5년만에 최고치 찍나 [건설리포트]3분기 매출·이익 증가, 주택사업 확대·원가절감 수익성 대폭 개선
김경태 기자공개 2016-10-26 08:22:19
이 기사는 2016년 10월 25일 16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림산업이 각 사업부 별 선전에 힘입어 3분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 특히 건설부문에서는 주택사업 확대로, 석유화학부문에서는 원가혁신 노력을 통해 수익성을 큰 폭으로 개선시켰다. 4분기에도 성과를 거둬 영업이익률이 5년래 최고치에 달할지 귀추가 주목된다.대림산업은 25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올 3분기 매출 2조 4573억 원과 영업이익 1306억 원을 거뒀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보다 각 2.42%, 92.10%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49.99% 확대된 1090억 원이다.
상반기에 이어 3분기에도 선전하면서, 누적기준으로도 성장했다. 대림산업의 3분기 누적 매출은 7조 2748억 원, 영업이익은 3576억 원이다. 전년동기보다 각 6.75%, 79.03% 향상된 수치다. 당기순이익은 28.38% 증가한 2599억 원을 나타냈다.
|
건설부문의 3분기 매출은 1조 9006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71% 늘었다. 영업이익은 40.11% 줄어든 560억 원이다. 건설 계열사 중 대림C&S와 고려개발은 전년 동기보다 부진했고,사우디아라비아 현지 산업플랜트 건설법인(DSA: Daelim Saudi Arabia Co., Ltd.)의 부실도 계속됐다.
다만 삼호가 성장해 건설계열의 자존심을 살렸다. 삼호의 매출은 2309억 원으로 25.42%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7.42% 확대된 213억 원을 거뒀다. 건설계열 총 매출은 2조 4127억 원, 영업이익은 779억 원이다. 전년동기보다 각 1.64%, 86.81% 늘었다.
석유화학사업의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1.79% 줄어든 1조 6234억 원이다. 영업이익은 39.22% 증가한 2705억 원을 나타냈다. 석유화학사업 영업이익률은 16.66%에 달했다.
대림산업은 "석유화학사업부는 마진 확대 지속과 원가혁신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며 "여수에 있는 폴리부텐 공장의 증설이 끝나는 올해 연말 이후에는 추가적인 매출증가와 이익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각 사업부의 수익성 개선 덕분에 전체적인 수치도 완전히 회복세를 나타냈다. 대림산업의 영업이익률은 2009년 후 5년 연속 하락했다. 지난해는 2.86%다. 올 3분기 영업이익률은 5.32%다. 누적기준으로는 전년 동기보다 1.99%포인트 높아진 4.92%로, 올해 5년래 최고치를 달성할 가능성이 커졌다.
한편 대림산업의 올 3분기 말 자산은 12조 1857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00% 불어났다. 부채는 2.98% 감소한 7조 425억 원, 자본은 7.02% 증가한 5조 1432억 원이다. 부채비율은 14.12%포인트 낮아진 136.93%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키움증권 리테일 훼손 우려…이틀새 시총 2400억 증발
- 더본코리아, '노랑통닭' 인수 포기 배경은
- [i-point]탑런에이피솔루션, LG디스플레이 장비 공급 업체 등록
- [트럼프 제재 나비효과 '레드테크']한국 울리는 적색경보, 차이나리스크 확산
- [i-point]티사이언티픽, 파트너스 데이 성료…"사업 확장 속도"
- [i-point]빛과전자, 국제 전시회 참여 "미국 시장 확대"
- [탈한한령 훈풍 부는 콘텐츠기업들]잠잠한 듯했는데…JYP엔터의 중국 굴기 '반격 노린다'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권준혁 NW부문장, 효율화 vs 통신품질 '균형' 숙제
- [저축은행경영분석]PF 늘린 한투저축, 순익 2위 등극…사후관리 '자신감'
- [저축은행경영분석]'PF 후폭풍' OK저축, 대손상각 규모만 3637억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