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C&S, 고기능파일 경쟁력 강화 '속도' 올해 중 日 NCI와 기술협약 체결 예정, 시장 확대 대비 조치
김경태 기자공개 2017-01-26 08:16:07
이 기사는 2017년 01월 25일 15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림씨엔에스(C&S)가 고기능 콘크리트 파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본 업체와 협력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내진 설계를 강화하는 건축법 개정으로 고기능 파일 시장 확대가 예상돼, 선진 업체와의 제휴를 모색하게 됐다.2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림C&S는 일본콘크리트공업(NCI: Nippon Concrete Industries)과 기술협약을 체결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림C&S 재무부서 관계자는 "현재 구체적인 일정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올해 내 관련 작업이 이뤄질 것"이라며 "현재 국내에서 내진설계 강화 움직임이 있어 기술협약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
현재 국내에서 대구경과 초고강도 같은 고기능 콘크리트 파일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일반 파일은 전체 출하량의 95.4%를 차지했다. 대구경·초고강도 파일은 같은 해 4.6%에 불과했지만, 2016년에는 전체의 15%를 차지할 전망이다. 2018년에는 21%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 대림C&S의 경우 지난해 대구경·초고강도파일 판매량이 29만 톤으로 전년보다 9.7% 늘었다. 일반파일은 110만 톤으로 2.5%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 같은 대구경·고기능 파일 시장 확대는 정부의 내진 설계 강화 움직임으로 한층 더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4월 일본 구마모토 지진 후 5월에 '지진방재 개선 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지난 해 9월 경주에서 지진이 발생하자 기존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정부는 대책을 보완했다. 당초 건축법 시행령의 내진설계 의무화 대상을 '3층 또는 500㎡ 이상'에서 '2층 또는 500㎡ 이상'으로 확대했다. 그 후 '2층 또는 200㎡ 이상'과 '모든 주택'으로 범위가 더 넓어졌다.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돼 대림C&S는 NCI와의 협력을 모색하게 됐다. 일본은 지진 대비가 가장 잘된 국가로 꼽힌다. 일본 콘크리트파일 시장은 업계 1위인 미타니 세키산(Mitani Sekisan)을 비롯한 5개사가 78%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NCI는 업계 3위로 알려져 있다. 향후 대림C&S가 NCI를 통해 선진 기술을 흡수하면, 시장을 선점하고 신성장동력을 확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대림C&S는 대림산업의 계열사다. 국내 콘크리트파일 시장의 50% 정도를 점유하는 업계 1위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2840억 원으로 전년보다 3.84% 줄었다. 영업이익은 2.75% 증가한 556억 원, 당기순이익은 79.13% 감소한 75억 원이다. 영업이익률은 19.6%로 전년보다 1.26%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역대 최고 수준에 해당하는 수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호실적' LG전자, 질적 성장 '진검승부' 남았다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DX부문 첫 실적·후속인사 '고차방정식'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