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C&S, 7년 연속 성장 가능할까 [건설리포트]콘크리트사업 선전, 매출·이익 확대...수주잔고 증가·인허가 물량 착공전환 '주목'
김경태 기자공개 2016-08-18 09:39:33
이 기사는 2016년 08월 16일 09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림산업 계열사인 대림씨앤에스(DAELIM C&S)가 올해 상반기에도 양호한 성적을 거두며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콘크리트파일 업황이 좋다는 점과 수주잔고 증가를 고려하면 올해도 성장을 이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대림C&S는 각종 원가절감 등 생산성 향상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16일 대림C&S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매출은 1423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10% 늘었다. 영업이익은 19.05% 증가한 310억 원, 당기순이익은 33.50% 확대된 213억 원을 나타냈다.
대림C&S는 2010년부터 매년 성장을 이루고 있는데, 올 상반기에 선전하면서 7년 연속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강교·수문·플랜트 기자재를 생산하는 스틸사업부는 전년 동기보다 11.61% 줄어든 411억 원의 매출을 거두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영업이익도 8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8.43% 감소했다.
반면 고강도 프리스트레스도(PHC)·대구경·초고강도 파일을 생산하는 콘크리트사업부는 전년 동기보다 13.84% 증가한 1012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전체의 97.21%에 해당하는 301억 원으로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36.83% 증가한 수치다.
|
콘크리트 사업부의 선전에 따라 수익성도 치솟고 있다. 대림C&S의 영업이익률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건설경기가 위축된 2009년 저점을 찍은 후 매년 상승했다. 2013년 10%를 돌파했고, 지난해는 18.34%에 달했다. 올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보다 2.55%p 높아진 21.79%를 나타냈다.
현금흐름도 개선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대림C&S의 올 상반기 영업활동현금흐름은 323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5.35% 확대됐다. 법인세 납부액은 30억 원에서 93억 원으로 늘었다. 하지만 당기순이익이 159억 원에서 213억 원으로 증가해 상쇄시킬 수 있었다.
업계에서는 수주 증가가 향후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대림C&S는 스틸사업부 수주만 집계하고 있다. 콘크리트사업부의 경우 선주문 후생산으로 진행되는 발주처 중심의 시장구조로, 수주 전망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스틸사업부의 올 상반기 신규수주는 529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6.26% 증가했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말 수주잔고는 2125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4.83% 늘었다. 올 상반기 부진했던 스틸사업부가 향후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실적에 도움이 될지 주목된다.
주택경기 등 시장 상황도 앞으로의 실적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 건축 인허가 총면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2% 증가한 8756만 7000㎡로 집계됐다. 향후 인허가 물량이 착공으로 이어지면 대림C&S에 호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중소업체의 관급용 콘크리트 파일 가격 담합 적발로 대림C&S 등 대기업군이 진입하지 못했던 관급 시장 참여 가능성이 높아진 점도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다.
대림씨엔에스 관계자는 "건물의 고층화 및 대형화로 대구경·초고강도 파일 수요가 증가해 시장을 선점한 당사의 지속적인 수익성 증대가 전망된다"며 "자체 특허권 및 전용실시권 확보를 통한 특허강교 시장 지배력 강화에도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각 공정별 원가절감과 근거리 판매 극대화를 통한 물류비 절감 등 생산성 개선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림C&S의 올 상반기 말 자산은 3823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2.92% 불어났다. 부채는 21.23% 감소한 1098억 원, 자본은 36.85% 확대된 2724억 원을 나타냈다. 부채비율은 29.72%p 낮아진 40.32%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토스뱅크 청사진 '글로벌·기업'…이은미 대표 진가 발휘하나
- [보험사 CSM 점검]DB손보, 가정 변경에 1.3조 증발…잔액 증가 '거북이 걸음'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스마트저축, 비수도권 순익 1위 배경엔 '리스크 관리'
- [금융사 KPI 점검/우리은행]'최대 배점' 재무지표, 건전성·수익성 전략 변화
- 교보생명, 교보금융연구소장으로 UBS 출신 영입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외형 성장보다 조달경쟁력이 판도 좌우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순익 78등' 우리금융저축, 올해 실적 자신하는 이유
- [금융사 KPI 점검/우리은행]'기업금융 명가 재건' 올해 숨고르기 이어간다
- '천주혁호' 크레이버, 첫 행보는 '스킨천사' 흡수합병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대규모 유상증자 계획한 까닭은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DI의 로비스트, 홀랜드&나이트 키맨에 쏠린 눈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 강공' H20 수출규제, 삼성전자 돌파구 '절실'
- [상호관세 후폭풍]'급박' 삼성SDI, 트럼프 인연 '특급 로비스트' 고용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K, 미 상무부 빗장수비·속도전 공세 '긴박한 21일'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K, 일희일비 어려운 '불확실성' 연속
- 노종원 솔리다임 사장, 멕시코사업 챙기기 '분주'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SK그룹, 실트론 매각 추진 배경 '오너 지분 탓'
- [Company Watch]삼성메디슨, 소니오 시너지 가시화 '아직'
- [Company Watch]삼성전자, 실적 버팀목 MX…'노태문 직대' 힘실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