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형 비중 해마다 축소 '추세되나' [퇴직연금시장 분석] ③은행·보험 우위…증권업 점유율 소폭 상승
최필우 기자공개 2017-02-08 08:44:51
이 기사는 2017년 02월 03일 16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퇴직연금 시장에서 확정급여형(DB) 비중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대기업의 DB형 가입이 일단락되면서 추세적인 하락세로 돌아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계열사를 등에 업은 삼성생명과 HMC투자증권이 각각 1, 2위 자리를 공고히 했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업권이 43% 비중을 차지해 가장 규모가 컸다. 신한은행을 포함한 7개 은행이 DB형 적립금 상위 10개사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 DB 점유율 축소 지속…DC는 확대
머니투데이 더벨이 은행·보험·증권사 등 퇴직연금 사업자 43곳이 공시한 퇴직연금 적립금을 집계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DB형 적립금은 99조 6025억 원이다. 전년도에 비해 13조 2850억 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DC형과 IRP형이 각각 5조 3939억 원, 1조 5820억 원 늘어난 것에 비해 큰 증가폭이다.
DB형이 전체 퇴직연금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지난해 DB형 적립금 비중은 68.3%로 전년도 68.8%에 비해 0.5%포인트 감소했다. 지난 2015년 점유율이 70% 밑으로 내려온 이후 줄곧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반면 DC형은 지난해 점유율이 0.6%포인트 상승한 22.6%를 기록해 대조를 이뤘다.
DB형은 퇴직연금 제도가 도입되기 전에 있었던 퇴직보험과 유사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해왔다. 하지만 다수 대기업이 이미 DB형 가입을 마친 상태이고, 신규 가입하는 중소기업은 DC형을 더 선호해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임금피크제 구간에 진입한 DB형 가입자의 DC형 전환이 늘어나고 있는 것도 성장세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업권과 보험업권이 5조 4596억 원, 4조 5810억 원 씩 증가해 각각 42조 2073억 원, 38조 3584억 원을 기록했다. 증권업권은 3조 2442억 원 늘어난 19조 547억 원으로 집계됐다. 은행과 보험사의 점유율이 각각 0.19%포인트, 0.62%포인트 줄어든 가운데 증권사 비중이 0.82% 늘었다.
|
◇계열사 비중 높은 삼성生·HMC證 선두…은행권도 약진
DB제도 강자는 여전히 삼성생명과 HMC투자증권이다. 1위는 삼성생명으로, 지난해 말 기준 DB 적립금은 전년대비 1조 3117억 원 늘어난 17조 5557억 원으로 집계됐다. 2위 HMC투자증권은 1조 2093억 원 증가한 8조 4735억 원이다.
삼성생명과 HMC투자증권이 DB 선두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는 것은 계열사 지원 덕분이다. 삼성생명과 HMC투자증권의 DB 적립금 중 자기 계열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59.5%, 87.98%다. DB 적립금 상위 10개 사업자 대부분 자기계열사 비중이 한자리수 대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다.
삼성생명과 HMC투자증권을 제외한 DB 실적 상위권은 은행업 사업자들이 휩쓸었다. 은행업권은 상위 10개사 목록 중 7개 자리를 차지했다.
지난해 전체 퇴직연금 사업자 중 가장 많은 자금(1조 9189억 원)을 끌어 모은 신한은행은 DB에서만 9639억 원을 모았다. 신한은행의 DB 적립금 규모는 7조 6029억 원으로 3위다.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각각 6481억원, 4455억원을 끌어모으며 그 뒤를 이었다.
IBK기업은행은 6위에 머물렀지만 은행권 중 유일하게 1조원 넘는 적립금을 쌓았다. 1조 300억 원의 실적을 쌓으며 적립금 5조 7255억 원을 기록했다.DB 수요가 높은 중견기업과 공기업 마케팅을 강화했던 것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옛 대우증권과 통합한 미래에셋대우는 HMC투자증권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증권사 중 10위권에 들었다. DB형 적립금이 9395억 원 증가, 3조 7447억 원으로 교보생명을 제치고 10위권 안에 이름을 올렸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해외 법인장 인사 '성과주의 도입' 효과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카자흐, 2년 연속 '퀀텀점프' 성장 지속가능성 입증
- [thebell note]김기홍 JB금융 회장 '연봉킹 등극' 함의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명확해진 M&A 원칙, 힘실릴 계열사는 어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베트남은행, 한국계 해외법인 '압도적 1위' 지켰다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밸류업 재시동 트리거 '비은행 경쟁력'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NH농협, '보험 전문가' 후보군 꾸렸지만 선임은 아직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40년 커리어' 마지막 과업, 금융시장 '부채→자본 중심' 재편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JB금융, 사외이사 후보군 '자문기관 위주' 전면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