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형 ETF, 현대차·셀트리온 비중 늘었다 [펀드 포트폴리오 맵] 변화폭은 미미…삼성전자·NAVER 소폭 감소
강우석 기자공개 2017-03-16 11:41:04
이 기사는 2017년 03월 14일 16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 한 달 사이 국내 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에서는 현대자동차와 셀트리온의 편입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났다. 삼성전자와 NAVER의 비중은 전월 대비 소폭 줄어들었다.14일 theWM에 따르면 지난 1월 초 국내 주식형 ETF에서 전월 대비 편입 비중이 가장 늘어난 것은 현대자동차다. 현대자동차의 비중은 한 달 사이 0.31%포인트 늘어났다. 셀트리온(0.26%포인트)과 삼성SDI(0.23%포인트), KODEX코스닥150(0.18%포인트), 현대모비스(0.15%포인트) 등이 현대자동차의 뒤를 이었다.
|
종목 비중의 변화는 지난달에 비해 미미했다. 지난 12월 초 삼성전자와 KODEX200의 비중은 전월 대비 각각 1.27%포인트, 1.04%포인트 늘어났으나 이번 달의 경우 편입 비중이 0.5%이상 증가한 종목이 없었다.
현대자동차는 전체 주식형 ETF 중 4.74%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삼성전자(39.11%), SK하이닉스(5.37%)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비중이다. 코스피50·100·200 및 KRX100과 같은 대표 상품 뿐 아니라 자동차, 고배당, 대형주 ETF에도 대거 편입돼있다.
키움KOSEF고배당(5.20%포인트)이 현대자동차의 편입 비중을 가장 많이 늘렸다. 이 ETF는 코스피 시장에서 배당수익률이 가장 높은 상위 20개 종목에 투자한다. 현재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NH투자증권, 기업은행 등을 담고 있다.
셀트리온(0.26%포인트)의 비중도 소폭 늘었다. 대부분의 코스닥150지수 ETF가 해당 종목의 비중을 낮췄지만, 미래에셋TIGER코스닥150이 셀트리온 비중을 21.38%포인트 높이면서 전체 비중이 늘어나게 됐다.
같은 기간동안 국내 주식형 ETF에서 비중이 가장 낮아진 종목은 삼성전자(-0.43%포인트)였다. 삼성그룹주 콘셉트의 ETF가 삼성전자의 비중을 소폭 낮춘데 영향을 받았다. 삼성전자에 이어 비중이 줄어든 종목은 NAVER(-0.26%포인트)였다.
KODEX200의 편입 비중도 전월 대비 -2.64%포인트 줄어들었지만, 여러 주식형 ETF가 편입을 늘린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인버스 및 레버리지 ETF는 벤치마크 지수의 움직임을 따라가기 위해 KODEX200, TIGER200 등 코스피200 ETF를 일정 부분 편입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