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주펀드, '삼성전자' 팔고 '삼성전자우' 담았다 [펀드 포트폴리오 맵 LG디스플레이·기업은행, 비중 축소
김슬기 기자공개 2017-03-16 10:41:21
이 기사는 2017년 03월 14일 15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배당주펀드가 삼성전자를 팔고 삼성전자 우선주(이하 삼성전자우)를 담았다. 두 종목의 배당금은 비슷한 수준인데 반해 삼성전자우의 주가가 더 낮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배당주펀드는 LG디스플레이를 가장 많이 덜어냈다. 전월 확대했던 삼성전자 비중은 이달에는 축소로 돌아섰다.14일 theWM에 따르면 지난 1월 2일 기준으로 전체 운용사 배당주 펀드(대표펀드 기준)가 한 달간 편입 비중을 가장 많이 늘린 종목은 삼성전자우였다. 전월에 비해 0.36%포인트 증가해 국내 배당주펀드의 매집 1순위로 올라섰다.
|
전체 배당주펀드(대표펀드 기준) 250개 중에서 삼성전자우의 비중을 확대한 펀드는 총 40개였다. 특히 배당주펀드 중 순자산액 1570억 원인 '베어링고배당플러스증권투자신탁(주식)'이 전월대비 펀드내 보유비중을 1.74%포인트 늘려 6.55%까지 비중을 확대했다. 순자산액 438억 원인 '삼성배당주장기증권투자신탁1[주식]' 역시 전월대비 1.85%포인트 확대해 펀드내 보유비중을 5.64%까지 늘렸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연말이 다가오면서 배당수익률이 높은 주식을 중심으로 포트 구성을 한 것 같다"며 "배당주펀드들이 삼성전자우를 담는 것은 삼성전자와 배당금이 비슷한데 주가가 더 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1월 2일 기준 삼성전자의 주가는 180만 5000원이었으나 삼성전자우 주가는 144만 원이었다. 지난 1월 24일 삼성전자는 보통주 1주당 2만 7500원, 우선주 1주당 2만 7550원의 배당을 하겠다고 공시한 바 있다.
편입비 확대폭이 컸던 종목 2위와 3위는 LG(0.33%포인트), 아모레퍼시픽우(0.24%포인트)였다. LG의 경우 마이다스자산운용이 집중적으로 매수했다. '마이다스블루칩배당증권투자신탁1(주식)'은 LG의 편입비를 전월대비 2.23%포인트 늘려 3.01%까지 확대했다. '마이다스블루칩배당증권투자신탁W(주식)', '마이다스블루칩배당증권투자신탁C(주식)' 등도 편입비중을 늘렸다.
아모레퍼시픽우의 경우 신영자산운용이 비중확대를 주도했다. '신영밸류고배당증권자투자신탁(주식)'의 아모레퍼시픽우 편입비중은 0.12%포인트 늘어난 2.99%였다. 신영밸류고배당 펀드는 국내 배당주펀드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순자산은 1조 1675억 원이다.
신영자산운용 관계자는 "펀드 내 보유비중이 늘어난 건 아모레퍼시픽우를 매집했다기 보단 주가가 오른 영향을 받았다"며 "연말에 추가적으로 해당종목을 사진 않았다"고 밝혔다. 실제 아모레퍼시픽우 주가는 12월 2일(18만 7500원)에 비해 1.8% 상승한 19만 1000원이었다.
편입비가 가장 많이 줄어든 종목은 LG디스플레이(-0.81%p ), 기업은행( -0.35%p), 삼성전자( -0.33%p) 순이었다. LG디스플레이의 경우 1월 2일 종가 기준 3만 1150원으로 마감, 지난해 12월 2일( 2만 7900원) 대비 상승했으나 신영밸류고배당 펀드를 중심으로 편입비가 축소됐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LG디스플레이의 영업이익률은 4.95%커졌으나 매출액증가율은 6.62% 축소되는 등 투자매력도가 떨어졌던 것으로 관측된다.
전월 가장 많이 비중이 늘어났던 삼성전자 역시 신영밸류고배당 펀드, 베어링고배당플러스 펀드 등을 중심으로 편입비중이 감소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HLB제넥스, 진양곤 회장 관심 '건기식' 글로벌 B2C 확장
- [i-point]아이티센피엔에스 "국내 최고 보안 파트너사로 도약"
- [i-point]플리토, IBK기업은행에 AI 통번역 시스템 공급
- 이에이트, B2B 사업 통해 1분기 실적 성장
- [i-point]큐브엔터 '아이들', 미니 8집 'We are' 발매
- 한투운용, '세금 부담 반토막' 해외 커버드콜 내놨다
- 메리츠증권, 신주현 NH증권 본부장 스카우트…AI본부 가동
- 라이언운용, 달바글로벌 이어 '마녀공장' 투자
- 티아이운용, 'FoF 전략' 담은 IPO펀드 출격
- 엑스포넨셜, 멀티매니저 시스템 도입…SQUARE 1호 첫 적용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도우인시스 IPO]1분기 실적 주춤, 수요예측에 영향 줄까
- [발행사분석]공모채 단골 '한진', 시장선 A0급 대접
- [Policy Radar]회사채 캡티브 영업 검사, 한국·신한증권으로 확대
- 포스코퓨처엠 달라진 유증 환경…뚝 떨어진 수수료율
- KIST·M83, 인공지능 기반 3D 객체 식별 기술 '맞손'
- 4년만에 유상증자 포스코퓨처엠, 키움증권 합류 눈길
- [도우인시스 IPO]이사회로 본 '뉴파워프라즈마·삼성벤처' 동행, 유효기간은
- 미래에셋, 8.5%까지 끌어올린 ROE…목표 달성 가시화
- [도우인시스 IPO]삼성 의존도 '양날의 검'…시장 의구심 해소 필요
- [도우인시스 IPO]경쟁자 없는 UTG 강자…비교기업 산정에 '고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