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7년 07월 12일 08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바이오와 헬스케어 사업 강화를 위해 동양네트웍스 지분 투자를 결정하게 됐다."옐로모바일이 밝힌 동양네트웍스 유상증자 참여 배경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옐로모바일이 우회상장을 염두에 두고 유가증권 상장사인 동양네트웍스 지분 인수에 나선 것 아니냐는 시각이 팽배하다. 옐로모바일의 경영사정이 녹록지 않은 가운데 동양네트웍스 실적보고서 어디에도 바이오나 헬스케어 등의 단어를 찾을 수 없다 보니 무게가 실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옐로모바일은 시장의 이런 시선이 부담스러운지 재차 "우회상장 계획은 없다"며 선을 긋고 있다. 그럼에도 우회상장 얘기가 끊이질 않는 건 상장이나 실적 등 옐로모바일이 제시했던 비전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상당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번엔 달라 보인다. 옐로모바일이 우회상장을 할 만한 체력도 없을뿐더러 동양네트웍스를 자금조달 창구로 활용하는 게 벤처연합체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서다. 자산양수도를 통해 벤처연합체를 지원할 수 있는 실탄을 마련할 수 있고 엑시트 플랫폼도 우회적으로 생기는 만큼 자본시장을 통한 투자 유치도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작은 물고기가 모이면 고래의 꿈을 이룰 수 있다'고 얘기하던 옐로모바일이 고래 사냥에 나선 속내는 정확히 알 수 없다. 500억 원에 달하는 인수대금을 차질 없이 마련할 수 있을지 여부, 그리고 기존과 달리 상장사 인수라는 새로운 실험이 옐로모바일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도 미지수다.
다만 옐로모바일이 이런 부담을 감내하고 '옐로모바일 2.0'에 이어 동양네트웍스 지분인수까지 연이은 실험에 나선 건 시장에 증명해 보일 수 있는 숫자를 만들어 내기 위함 아닐까.
옐로모바일이 '벤처공룡' 수식어에 걸맞는 경영실적을 보여준다면 혁신의 아이콘으로 다시 비상하겠지만, 그 반대의 경우 벤처연합체의 정체성이 흔들려 파도 앞 모래성 처지에 놓일 공산이 높아 보인다. 절호의 기회이자 최대 위기가 될 수도 있는 동양네트웍스 패를 옐로모바일이 어떻게 갈무리 할지 주목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전력반도체 올인' 매그나칩, 2분기 내 DDI 철수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부·울·경 12곳 중 9곳이 적자, '빅3'도 PF 직격탄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흑자 기조 이어간 KB미얀마은행, 웃지 못하는 이유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ABL생명, 후순위채 의존도 급등…커지는 '자본의 질' 고민
- [보험사 CSM 점검]한화생명, 빅3 중 홀로 잔액 감소…효율성 악화에 발목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리테일 강자 된 인터넷은행…다음 타깃은 소호 금융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BNK캐피탈, 여신감리 기능 확대…자산 손실 최소화 목표
- [은행권 신지형도]'대형은행' 틈바구니 속, SC제일은행이 선택한 해법은
- [Sanction Radar]한화 금융그룹, '경영 취약성' 대거 적발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전북은행 PPCB, 포트폴리오 다변화 통했다…순익 '성장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