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고다교육, 분당 수내 역세권 빌딩 매각 토지 매수 후 16년만에 팔아, 백운환 왕자행거 대표 개인명의로 매입
김경태 기자공개 2017-10-12 08:36:54
이 기사는 2017년 10월 11일 16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부동산 소유욕을 드러내 왔던 파고다교육그룹이 분당 수내역 인근에 소재한 빌딩을 처분했다. 토지 매입 후 16년 만의 매각으로 눈길을 끈다.1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파고다교육그룹은 경기 성남 분당 수내동 13-1(황새울로258번길 40)에 위치한 파고다빌딩 토지와 건물을 올 6월 초 120억 원에 매각했다.
물건의 대지면적은 581㎡다. 도시지역과 중심상업지역 등으로 설정돼 있다. 건물은 지하 1층~지상 5층이고 연면적은 2601㎡다. 수내역에서 도보로 2분 정도 걸리는 역세권 빌딩이다.
|
그간 파고다교육그룹은 부동산 투자에 적극적이었다. 박 회장과 고 대표가 지분을 각각 55%, 45% 보유한 ㈜파고다타워종로의 지난해 말 유형자산 토지 장부가는 319억이다. 건물은 161억 원이다.
분당 파고다빌딩의 경우 ㈜파고다아카데미를 앞세웠다. 2001년 토지를 개인으로부터 매입했다. 그 후 건물은 2003년 만들어져 소유권 보존이 이뤄졌다.
㈜파고다아카데미는 1980년 대흥환경이라는 이름으로 탄생했다. 1993년 현재의 상호로 바꿨다. 박경실 파고다교육그룹 회장과 특수관계자들이 지분을 보유한 곳이다. 박 회장의 딸 고루다 씨가 지난해 대표이사로 올라섰다. 파고다아카데미는 분당 파고다빌딩 외에도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유형자산 토지의 장부가는 588억 원이다. 건물은 121억 원이다.
부동산업계 일각에서는 ㈜파고다아카데미의 최근 실적 악화가 부동산 매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파고다아카데미의 지난해 매출은 506억 원, 영업이익은 30억 원이다. 당기순이익은 22억 원이다. 매출과 이익 측면에서 모두 2009년 후 최악의 성적표였다. 매출과 당기순이익은 2년 연속, 영업이익은 3년 연속 감소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해 부동산 정리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
한편 이번 분당 파고다빌딩의 매입자는 백운환 왕자행거 대표다. 백 대표는 법인을 동원하지 않고 개인 명의로 분당 파고다빌딩을 품었다. 올 7월 농협은행 성남테크노지점과 근저당설정계약을 체결했다. 파고다빌딩 토지와 건물이 담보로 잡혔고 채권최고액은 48억 원이다.
백 대표의 분당 파고다빌딩 매입 후 왕자행거의 주력사인 왕자엔에이치시(NHC)가 부동산 투자 보폭을 넓힐 지 관심이다. 왕자NHC는 올 1월 부동산 임대업을 사업목적에 새롭게 추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