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CS 초안 영향평가, 보험사 부담 줄었다 [2018 thebell 보험 Forum]정해석 금감원 팀장 "금리 측정 변경, 25조~30조원의 순자산 증가 효과"
조세훈 기자공개 2018-08-24 15:06:48
이 기사는 2018년 08월 23일 16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감독원이 신(新)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을 앞두고 실시한 보험사 계량 영향 평가(QIS) 결과 지난해보다 자본확충 부담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제기준을 토대로 만든 공개협의안 대신 올해는 국내 통계와 국내 보험사 실정을 고려해 작성한 K-ICS 초안을 적용한 덕분이다. 금감원은 이번 QIS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보완해 2021년 K-ICS 도입 시 보험사가 연착륙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계획이다.
|
금감원은 올해 초 확정한 K-ICS 도입 초안을 토대로 지난달까지 국내 보험사에 대한 QIS를 진행했다. 아직 결과를 제출하지 못한 1~2개 회사를 제외한 모든 보험사가 금감원에 QIS 결과를 보고했다. 대다수 보험사는 지난해 QIS 결과보다 훨씬 개선된 성적표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보험사에 노출된 리스크량을 뜻하는 요구자본이 지난해보다 감소했다.
올해 도입된 K-ICS 1.0은 충격수준과 위험계수를 국제기준에서 국내통계자료를 활용한 기준으로 변경했다. 지난해 공개협의안은 유럽 감독규제인 솔벤시2(SolvencyII)와 국제보험감독자협의회(IAIS)가 마련 중인 보험자본기준(ICS)등 국제기준을 참조했다.
생명보험과 장기손해보험의 요구자본은 지난해 QIS와 비교해서 생명보험사는 14%, 손해보험사는 5%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기준을 일부 국내통계를 활용해 적용한 덕분이다.
K-ICS 1.0은 사업비 위험 측정을 8% 증가에서 6% 증가로 부담 폭을 줄였다. 다만 장수, 대재해, 대량해지 등 3가지 리스크가 추가로 반영됨에 따라 회사별 경영효율에 따른 요구자본의 폭은 커졌다. 그 결과 보험리스크 중에서 해지, 사업비 리스크가 차지하는 비율은 40%에 달했다.
시장리스크 요구자본도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감소했다. K-ICS 1.0에서는 지난해와 달리 금리리스크를 장기선도금리(UFR)에 고정하고 시나리오별로 독립가정, 퇴직연금 측정을 추가했다. 보험사의 충격 부분을 조정하기 위한 금감원의 조치다.
그 덕분에 금리리스크 증가는 지난해 대비 20% 가량 감소했다. 정 팀장은 "대략 50bp 인상 효과가 있어 25조~30조원의 순자산 증가 효과가 있다"며 "(보험사들이) 작년 대비 올해는 여유가 생겼다는 부분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현재의 보험금 지급여력제도(RBC)보다 시장리스크의 큰 폭 증가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때문에 자산·부채의 종합관리(ALM), 금리리스크 헷지 방안 등 보험사의 자산운용 전략 및 시행이 필요하다고 금감원은 지적한다.
정 팀장은 QIS 결과 활용 방안에 대해 "지급여력 요구자본 산출 시스템 구축에 도움을 주는 것과 위험계수 수준 등을 재검증하는 과정에서 활용할 것"이라며 "최대한 활용해서 향후 K-ICS 2.0을 만들 때나 K-ICS 도입 시 보험사들이 연착륙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박셀바이오, 신사옥 구축 시동…첨생법 상업화 전략 본격
- [K-바이오텍 열전]고진국 알테오젠헬스케어 대표 "테르가제 해외 진출 시동"
- [제약바이오 현장 in]큐로셀, '림카토주' 적응증 확장에 넥스트 개발까지
- [제약사 IPO 전략 점검]제일약품 체질 개선 이끈 온코닉, 확고해진 3세 승계 기반
- 각자대표 전환 제이인츠바이오, 조안나·김춘옥 투톱체제
- [코스닥 주총 돋보기]'상장폐지' 대유, 주주제안 안건 부결
- [코스닥 주총 돋보기]'재선임' 우혁주 온타이드 대표, 적자 탈출 관건
- [코스닥 CB 만기도래]아이씨에이치, 첫 청구기간에 풋옵션 100% 행사
- [동원의 CFO]'기술 경영' 재무 조력자 동원시스템즈 원종훈 CFO
- [사외이사 BSM 점검]HD현대, '법률·금융' 전문가 중심 사외이사로 효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