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선고 D-4, '말 아낀' 황각규 부회장 국세청창 초청 간담회 참석, 항소심 전망에 묵묵부답 후 "기다려 봐야"
박기수 기자공개 2018-10-02 08:36:34
이 기사는 2018년 10월 01일 14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D-4. 오는 5일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운명의 날'이다. 국정농단 연루 혐의로 1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은 후 법정 구속 중인 신 회장은 5일 항소심 선고를 받는다. 롯데그룹은 신 회장의 재판 결과에 대해 말을 아끼는 등 '초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분위기다.
|
롯데그룹은 신 회장의 항소심 전망 등에 대해 시종일관 "지켜봐야 한다"며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검찰은 현재 신 회장에게 징역 14년을 구형한 상태다. 롯데 입장으로서는 항소심에서 신 회장이 집행유예를 선고받아 구속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이 최상의 시나리오다.
롯데그룹은 총수 부재 속 황각규 부회장과 각 BU(Business Unit) 장들을 중심으로 '비상 경영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신 회장의 선고 결과에 따라 갈림길에 서 있는 롯데그룹의 중장기적 경영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재판 결과에 따라 특히 지주사 전환 이후 중단된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비롯해 핵심 계열사인 롯데케미칼의 대규모 투자 건 등도 재개될 수 있는 상황이다.
롯데그룹은 지주사 전환을 선포하며 지난해 10월 롯데지주를 설립했다. 다만 롯데카드와 롯데캐피탈 지분을 매각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현행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 일반 지주회사의 금융회사 주식 소유가 금지돼 있어서다. 기한은 내년 10월까지다.
또 롯데지주는 지배구조상 아직 그룹 핵심인 롯데케미칼을 품지 못해 '미완의 지주사'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 현재 롯데케미칼의 대다수 지분은 일본 롯데홀딩스가 최대주주로 있는 롯데물산과 호텔롯데가 1·2대 주주로 있다. 일본 롯데홀딩스가 직접 9.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투자 규모만 4조원이 넘는 인도네시아 유화단지 건설도 '올 스톱' 상태다. 황 부회장은 최근 "인도네시아 유화단지 건설은 신 회장의 석방된 이후 재개될 것"이라고 답한 바 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페퍼저축, 2년간 대출채권 1조 매각…올해 건전성 회복 기대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재무전략 분석]포스코퓨처엠과 한화에어로 유증이 다른 이유
- [Financial Index/생명보험]가중부실자산비율 평균 0.19%, 하나생명 가장 높아
- [CFO & Credit]이현규 LG CNS 상무, 'AA0' 도약 조력자 역할 '충실'
- [Financial Index/생명보험]농협생명, '압도적' K-ICS…한화·KDB '아슬아슬'
- 현금 쌓고 확장하는 CATL, LG엔솔과 정반대 행보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백종원식 가맹 사업 중심 사업 모델의 '명암'
- [더본코리아 재무 분석]'2000억 현금 창고'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HSD 시절보다 높아진 이사회 전문성
- [유동성 풍향계]'유심 해킹 사태' SK텔레콤, 재무 완충력은
- [조선업 리포트]한화엔진, 한화의 '한 수'…적중한 인수 의도